2016. 1. 3. 18:00ㆍ美學 이야기
|
당나라(616~)
당은 중국 역사상 가장 찬란한 문화를 형성했던 중국의 통일 왕조로서 시기적으로 (7C~9C)에 이른다.
이 시기에는 ①동서의 문화교류를 통해 불교와 도교가 발달하였고,
②회화 개방의 시기로서 많은 화가를 배출하였을 뿐 아니라
③외래사상을 독창적으로 소화하여 체계적인 회화이론과 기교를 발전시켰다.
이리하여 당 회화의 특징은 ①이사훈과 왕유의 출현에 의한 회화 품(풍)격의 통일,
(오도자의 가교 역할이 있었기에)
②파벌과 단체 조직의 융성,
③현실주의적 회화 발달,
④산수화와 화조화의 독립
⑤회화영역의 확대됨..인물화 중심에서 산수화와 화조화.
인물화 배경으로 산수, 화조에서 산수화,화조화로 독립
요약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당조의 회화는 세 시기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①당 초기에는 (618~712)정치적 색채가 강하여 궁정 정치 방침에 배합하는 창작이 이루어져 작가의 개성을 드러내지 않았다. 크게는 염립본, 염립덕 형제를 대표로 하는 전통파이 귀족회화와 위지을승 등 불교사상을 가진 서역파가 대립되었는데, 특히 위지을승의 서역화풍은 사실주의적인 것으로 음영법이 사용되었다.
②중기에는 (712~762)종래의 세밀하고 정교하던 기법이 웅장한 풍으로 변화되었고, 서역화풍이 전래되어 새로운 화풍이 가미 되었다. 그리하여 종래에는 인물과 불상 위주이던 회화의 소재가 생활주변의 모든 것으로 확대되었다. 오도자와 같은 천재화가가 등장하여 수묵화의 시조가 되었으며, 남북조 시대 이래 태동된 산수화가 자리를 잡아 이사훈과 왕유라는 대가로 이어졌다. 이사훈은 이후 북종화의 시조로서 귀족화가로 청록산수를 그렸는데, 그는 산수화에 이상을 표현하였으며 유,불,도 삼교를 포용한 합일 사상을 지녔다. 왕유는 이후 남종화의 시조가 된 시문을 겸비한 승려화가이다. 당 중기 이후부터 정치가 쇠약해지고 호화로운 궁정생활이 궁핍해지자 선종이 흥하여 사대부들의 출세사상이 유행하고 은거하는 자가 많아졌다. 예술 또한 이러한 시대상을 반영하여 수묵산수가 유행하게 된 것이니 왕유는 중국 문인화의 시조라 할 수 있다. 그는 회화사상이 당초와 달라 작가의 감흥에 의해 그려야 할 것을 주장하였다.
③당 말기에는 안녹사의 난 등 정치적, 정세적 불안으로 회화의 발전을 기대하기 어려웠던 시기이다. 오히려 여러 난을 거치면서 명화가 대중에게 보존되어 회화감상의 대중화 및 민간 회화의 발전이 이루어졌다. 말기의 인물화로 주방, 장훤의 그림은 규방생활을 주제로 귀족의 인물과 생활을 그려냈는데 부피와 운동감의 묘사가 뛰어났다. 이 시기에 특히 주목할 것은 왕유의 수묵산수화 기법을 이어받은 발묵 산수기법으로 일품산수화가 8C 후반부터 등장했던 것이다. 일품산수는 전통산수화와는 상반된 필법으로 천재적 재주와 개성으로 즉흥적으로 그려낸 비전통화로서 당 말기에 점차 부흥되어 사실적 화풍을 사의적으로 변환시키고 오대 이후 화단에 더 큰 영향을 미치게 되니, 북송의 미법산수에 계승된다. 일품산수화가로 왕묵, 장조, 장지화 등이 있다
일품화 : 8C후반 (당말기)등장.
- 정통화법을 벗어난 작가의 감흥과 호방한 개성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그림
- 주경현<당조명화록> : 신, 묘, 능 3품/일품
-일품이란 "상법에 어긋나는 것, 본법이 아닌 것, 예전에는 없던 것
⇒ 최하위 등급
- 황휴복<익주명화록> : 송초
-일품에 최고의 평가 부여
①왕유의 수묵 산수기법을 이어받은 발묵 산수기법
②비정통화/ 즉흥적/ 광적 작화 태도
③당 말기부터 부흥 → 오대 이후 더욱 큰 영향
④사실적 화풍 전환 → 사의적화풍 ⇒ 문인화의 발달에 영향을 크게 미침
⑤6법중- 골법용필, 응물상형, 수류부채를 버리고(사실에서 사의적으로 화풍이 바뀜으로)
기운생동 중시 ⇒추상적 성격
⑥화가 자신의 자유로운 의사 표현을 인정하는 새로운 회화의 길
⑦장자의 일(逸)품 철학과 상통
⑧당 → 왕묵, 장조, 장지화
오대 → 손위, 선월, 석각
⑨후대 영향 → 송: 미불부자 원: 고극공
목계 / 옥간 →조방필법
팔대산인 → 조방필법
오창석 / 제백석
회 화
남종화, 북종화의 개념 - 그림 그릴 때의 표현 방법의 차이, -산수화 기법의 완성
북종화 표현 : 정밀한 세필과 표현기법, 관념적이고 장식위주
남종화 표현 : 맑고 우아함, 먹의 농담변화의 삼묵법, 문인화
- 송 : 형호, 관동, 거연, 곽충서 미불, 미우인
- 원말 사대가 : 황공망, 예찬, 오진, 왕몽
- 명 : 심주, 문징명, 동기창
- 명, 청대에 남종화 전성기
오도자는 당대의 천재적인 화가였습니다. 그는 8C기에 주로 활동하였는데, 8C는 시기적으로 당 중기에 해당하며 당 초기의 회화가 정치적 색채를 띄고 작가의 개성의 개입없이 궁정의 정치 방침에 배합하는 것으로 일관되어 있던 한계를 벗어나 소재의 폭을 넓히고 활발히 회화 활동이 전개 되었던 시기입니다.이러한 때에 오도자는 특히 도석 인물화로 유명하다. 그는 당대 최고의 벽화가로서 벽화를 많이 남겼다. 그의 화법은 본래 장승요의 화법을 배우고 후에 섬세 화법을 가미하여 자신만의 독특한 선미화법을 창안하였으니 이는 오대 당풍식이다. 그의 회화는 대중적이었으며 진실로 수묵화의 시조라 할 선묘방식을 사용하였다. 오도자의 업적은 이에 그치지 않고 산수화에 있어서도 탁월한 업적을 세웠으니, 이는 남북조 시대의 왕미, 종병으로부터 연유된 산수화를 확립하여 이사훈과 왕유로 연결시키는데에 공헌을 세웠다는 것이다. 이와같이 당대에 확립된 산수화는 후에 중국회화에 있어 가장 중요한 영역으로 자리잡아 발달하게 되니, 이것은 중국인들의 산수자연에 대한 사랑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상적으로 장자의 유철학, 선종의 도에 관한 희구로부터 기인한다 하겠다.
①천재적인 화가
②도석 인물화로 유명
③당대 최고의 벽화가
④장승요의 화법을 배우고 후에 섬세화법을 가미하여 자신만의
독특한 선미화법 창안 → 오대,당 풍식
⑤대중적
⑥수묵화의 시조 →선묘방식 사용
⑦산수화 확립
⑧산수화 → 중국인들의 산수 자연에 대한 사랑을 의미
장자의 유(游)철학 선종의 도에 관한 희구에서 기인
이사훈 : 북화의 시조 -청록산수화 -작품 : 명황행촉도
①귀족화가 / 정통화가
②청록산수 / 북파의 시조
③산수화에 이상을 표현
④한 화면에 해수, 인마. 수림, 사관을 장엄하게 표현
⑤유, 불, 도 3교대파를 포용하는 '합일사상'
왕유 : 남화의 시조 - 관념적 수묵산수화 “화중유시 시중유화-소동파”
①수묵산수 / 승려화가 / 남화의 시조 / 은거
②당 중기 이후 선종의 출세사상
→ 은거자 다출
→ 수묵산수로 점차 변천
③시인의 바탕위에 회화적 예술성을 표현하는 서정예술 완성
④중국 문인화의 시조
⑤작가의 감흥과 흥취에 의한 창작 주장
이사훈과 왕유는 당 중기에 해당하는 8C전반에 활약했던 화가로서 중국 산수화 발전사를 이해함에 있어 빠져서는 안될 중요한 인물이다. 본래 산수화는 남북조 시대에 왕미와 종병에 의해 태동 되었고 당의 오도자에 의해 확립되어 이사훈과 왕유에 의해 그 틀을 완성하고 오대, 송에 절정으로 꽃 피우게 된다. 특히 이들이 활동했던 8C는 당 초의 화풍, 즉 정치적 색채를 띄어 교화적이며 작가의 개성표출을 기대할 수 없던 회화풍이 면모하여 문인화의 터전이 성립되고 회화의 소재면에서 인물과 불상 위주로 한정되었던 것이 생활주변의 모든 것으로 확대 되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사훈은 왕유보다 49세 연상이다. 그래서 왕유는 초년에는 이사훈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러나 엄격히 이사훈과 왕유는 화법상 구분된다.
이사훈은 귀족화가로서 정통파 화가이다. 그는 청록 산수(금벽산수)로 유명하며 명대 동기창은 산수화를 남북종으로 구분하였는데 그 북파의 시조가 바로 이사훈이다. 이사훈은 당 초기의 국위를 선양하려는 작품과는 달리 산수화에 이상을 표현하였으며, 한 화면에 해수, 인마, 수림, 사관을 장엄하게 표현하였다. 사상적으로는 유, 불, 도 3대교파를 포용하는 합일사상을 갖고 있었다.
왕유는 초년에는 이사훈의 금벽산수에 영향을 받기도 하였으나 이후 자신만의 독특한 수묵법으로 유명하다. 그는 이사훈의 북화에 대해 남화의 시조라 한다. 왕유는 말년에 승려처럼 은거하는 예술가의 전형이라 할 수 있다. 당 중기 이후 정치의 쇠약으로 호화로운 궁정생활이 궁핍해지자 선종이 유행하게 되었다.
본래 선종의 교리는 완전히 현실 인생의 일상 생활에 돌아가 웃고, 울고, 화내는 동안에 도를 깨칠수 있다고 가르치며 곧 종교적 속박을 벗어나 현실 인생으로 귀의 할 것을 촉구하였다. 이 같은 선종은 장자의 철학과 함께 산수화의 발달에 사상적으로 많은 영향을 끼쳤다. 어쨌든 당시의 선종의 유행은 사대부들의 출세사상을 흥하게 하여 은거하는 자가 많았다. 예술도 시대상을 반영하는 것으로 이사훈식 귀족취향의 금벽산수는 왕유이래 수묵산수로 점차 전환하게 되었다.
왕유는 그러므로 수묵산수의 시조로서 시인의 바탕위에 회화적 예술성을 표현하는 서정 예술을 완성하였으니 중국 문인화의 시조라 할 수 있다. 그는 당 초기의 경직된 화풍과는 달리 작가의 감흥과 흥취에 의한 창작을 주장하였다. 이것은 지식인의 호감을 얻어 널리 발전하였다.
장언원 : <역대 명화기> 최초의 회화사서
서예 : 안진경 -힘이 넘침. 1000년동안 중국 과거 시험장 표본글씨
~~~~~~~~~~~~~~~~~~~~~~~~~~~~~~~~~~~~~~~~~~~~
백묘법은 선만으로 조형을 구사하고 실체에는 비어두는 기법입니다.
담채로 분위기에 조화를 이루기는 하나 근본적으로 선으로 모든 것을 끝내는 그림으로 보면됩니다.
사생과 다른점은 사생은 형체를 대략적으로 본을 뜨고 다시 재구성 하거나 세밀한 붓놀림이 가미
하여 더많은 내용을 그려 넣는 반면 백묘법은 일단 선이 한번 지나가면 그것으로 다 되는 것이다.
선만으로 그림을 그리고 내용에 아무 것도 없이 비어둔다 하여 백묘라 하였습니다.
다음은 선미화법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만든이가 중국의 오도자란 분이 만드셨네요.
문인화는 당대에 오도자(670? ~760?), 왕유에 이르러 수묵화가 본격적으로 전개되어 산수화 위주로 그려지고, 송대에 문인화의 意識(의식)과 회화양식이 형성되었던 것이다. 오도자는 742년에 현종의 명을 받아 촉(蜀)의 자링강[嘉陵江] 300여 리의 경치를 대동전(大同殿)에다 하루 사이에 그려 “이사훈 수월의 공, 오도자 하루의 필적”이라고 일컬어진 이야기는 유명하다. 그는 또 나무 ·들 ·땅거죽 등의 주름을 그리는 동양화 입체표현(서양의 음양법)의 한 방법인 준법(皴法)을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이를 서양미술사와 비교하면, 즉 남종화의 常理(상리)와 같이 사실적 표현에서 탈피한 미술사조인 印象派(인상파), 野獸派(야수파), 立體派(입체파) 등 서양미술의 출현은 천여 년 이상의 시간의 격차를 두고 있는 것으로 동양미술의 우월성을 알 수 있는 것이다.
http://blog.daum.net/4855028/15967680
다음 블로그 < 나의 공간 > 아놀드 님의 글 중에서 전재 ......
'美學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회화사 (0) | 2016.01.03 |
---|---|
먹의 사용..필법.준법.원근법.투시법...동양화에서 (0) | 2016.01.03 |
중국 서화 이론가와 작가 (0) | 2016.01.03 |
[그림의 종류 6] 산수화, 산수인물화 (0) | 2016.01.03 |
[그림의 종류 5] 초충도 (0) | 2016.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