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좌음(獨坐吟)" / 우세화시집(又細和詩集)

2016. 1. 12. 04:00茶詩

 

 

1. 우세화시집에 나오는  "독좌음(獨坐吟)"에서 다산이  차운한 원중(原仲)의 시이다. 
 
   기묘년 춘계(春季)에 내가 학사(學士) 윤외심(尹畏心)이 송파(松坡) 집에 들러 이틀 밤을 묵고 시집(詩集) 두 권을 가지고 돌아왔는데, 그 중에 세화집(細和集)이라 이름한 것이 있었으니, 그것은 대체로 운도(雲濤) 육원중(陸原仲)의 시를 화운한 것이었다. 그리하여 내가 외심을 생각할 때마다 그 운을 따라서 지어 이를 다 짓고는 이 시집을 우세화(又細和)라 이름하고서 후일에 서로 만나 함께 보고 한번 웃음거리로 삼기를 기다리는 바이다. 그러나 운도의 시가 그리 취할 만한 것이 없는 것으로 보아, 외심이 그 시를 화운한 것은 자못 궁곤하고 개결함이 서로 비슷한 데에 느낌이 있어서 그랬던 듯하다. 그러므로 지금 내가 화운하는 것은 곧 외심의 시를 화운하는 것이요 운도의 시에는 미칠 겨를이 없으니, 사무진(謝茂秦 무진은 명 나라 시인 사진(謝榛)의 자)이 이른바 “살아 있는 한 노남(盧枏)은 구해줄 줄 모르면서 이내 천 년 위로 올라가 굴원(屈原)을 슬퍼하고 가의(賈誼)를 조위한다.”고 한 격이다. 이 해 6월에 백분(伯奮)은 제한다.
 
[주D-001]육원중(陸原仲) : 명 나라 때의 시인 육과(陸果)를 말함. 원중은 그의 자, 그는 곤궁하면서도 성품이 개결하였다 한다.
[주D-002]노남(盧枏) : 명(明) 나라 사람으로 재주가 높고 특히 시에 뛰어나서 사진(謝榛)과도 교의가 깊었는데, 일찍이 현령(縣令)에게 거슬러서 옥고(獄苦)를 치르기도 하였고, 평생 동안 뜻을 펴지 못하고 죽었다.

 

 

     

 

     3. 독좌음(獨坐吟)

                                                                       운도(雲濤) 육원중(陸原仲) : 명나라 시인

 

 

무더우면 절로 의당 음우가 많은 법이라             鬱蒸自合多陰雨
서늘한 달빛 맑은 밤을 만나기 쉽지 않네            涼月淸宵不易逢
용정과 옥호에는 자연의 소리 고요한데              龍井玉壺天籟靜
소상강 이슬 아래에는 대가 무성하도다              瀟湘露下竹融融

 

 [주D-009]용정(龍井)과 옥호(玉壺) : 용정은 차[茶]의 별칭이고, 옥호는 술의 별칭이다.

 

 - 시(詩) 우세화시집(又細和詩集) [1] 제7권 / 다산시문집

 

 

 http://sambolove.blog.me/150101060817

전용뷰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