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북 여행지 경북 고령 가야로드 (3) 고령 대가야박물관 |
경북 고령 가야로드의 두 번째 코스는 고령 대가야박물관입니다. 경북 고령은 대가야라는 명확한 테마를 중심으로 하는 볼거리와 즐길거리가 참 많은 여행지인데요. 그래서 박물관 이름도 대가야박물관! 마침 '대가야 왕릉의 출현, 지산동 73호분'이라는 주제로 기획특별전이 열리고 있어 출현기 대가야 왕릉의 모습이 어땠는지 다양한 유물과 전시 자료를 통해 살펴볼 수 있었어요.

박물관 로비에 들어서면 이색적인 부조가 제일 먼저 눈에 들어오는데요. 여기서부터 대가야 알기가 시작돼요. 고령 중심의 대가야는 가야산 만물상의 여신 '정견모주'와 하늘의 신 '아비가'의 혼인에서 비롯되었답니다. 그들이 낳은 두 아들 중 큰 아들은 대가야의 시조인 '이진아시왕', 둘째는 금관가야의 시조인 '수로왕'이 되었거든요. 어느 날 하늘에서 6개의 알이 구지봉으로 내려와 그 중 하나에서 수로왕이 탄생했다는 김수로왕의 탄생 설화와는 차이가 있지만, 가야가 부족 국가들의 연맹체로 이뤄졌던 만큼 각 부족 국가마다 자기 지역 중심의 건국 설화를 만들지 않았을까 싶었어요.

기획 특별전 전시 공간에는 지산동 73호분의 발굴 당시 모습을 재현해 놓았는데요. 봉황무늬 고리자루큰칼과 무늬 없는 고리자루칼, 쇠창, 쇠화살촉 등 다양한 철제 유물들이 철의 왕국이었던 대가야의 위용을 뽐냅니다. 전성기 때 대가야 귀족들 사이에서 유행했던 금귀걸이를 보면 어떻게 그 시대에 세심한 세공이 가능했을지 감탄하지 않을 수가 없는데요. 이렇게 찬란한 문화와 철기 시대의 강력한 무력을 발전시켰던 대가야가 신라의 공격이 시작되자 하루 아침에 무릎을 꿇었다니... 모든 것이 미스터리입니다.






대가야박물관 1층에는 고령을 대표하는 또 다른 특별 전시 공간이 있습니다. 바로 조선 연산군 시절 무오사화로 봉변을 당한 영남학파의 종조, 점필재 김종직의 유물들이 모셔져 있는 공간인데요. 당후일기, 상아홀, 옥벼루, 강독죽통, 영의정 추증 교지, 문충공 시호 추증교지 등 그의 유품들을 비롯해 어머니인 밀양 박씨와 부인인 창녕 조씨가 김종직 선생에게 보낸 편지글도 이곳에 보관 전시되어 있어요. 그가 지은 조의제문이 빌미가 되어무오사화에 휘말려 부관참시까지 당했으나 사후에야 영의정으로 추증되었다니.. 그의 후손들은 이곳 고령에 뿌리를 내리고 종가를 이어오고 있다지만 개인으로서의 삶은 너무나 애달프네요.



1층을 뒤로하고 상설 전시실인 2층으로 자리를 옮깁니다. 입구에는 아까 전에 봤던 장기리 암각화 복제본이 떠억! 흐릿했던 문양들이 선명해 보이네요.










잃어버린 왕국 대가야의 역사와 문화가 눈앞에서 되살아납니다. 대가야는 주산의 지산리 고분군 외에는 현존하는 유물이 많지 않기 때문에 고령을 찾는다면 박물관을 둘러보아야 제대로 된 대가야, 고령의 역사를 알 수 있답니다.


시조인 이진아시왕(伊珍阿豉王)부터 도설지왕(道設智王)까지 무려 16대에 걸쳐 520년간이나 이어졌다고 하지만 대부분의 역사를 알 수 없는 나라... 하지만 엄청난 숫자와 규모의 고분군, 거기서 발굴된 유물들은 오늘날 후대인들에게 많은 궁금증을 불러일으키는데요. 1박 2일간 대가야의 모든 것을 알 수는 없었지만 대가야 왕국이 지녔던 역량과 힘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는 시간이었어요.
고령 대가야박물관 이용 시간 하절기(3~10월) 09:00~18:00 동절기(11~2월) 09:00~18:00 관람료 성인 2,000원 학생 및 청소년 1,000원 유아 및 노인 무료 경북 고령군 고령읍 대가야로 120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