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5. 14. 16:32ㆍ글씨쓰기
서도(書道) 신품사현(神品四賢) 탄연국사(坦然國師)
고려(高麗) 중기(中期) 새나라의 문화가 한창 무르익을 문종(文宗) 24년에 태어나 의종(毅宗)때까지 90세의 고령으로 고려의 왕사(王師)를 지내신 탄연(坦然)국사는 밀양손씨(密陽孫氏)로 밀양의 교위(校尉) 휘 숙(肅)의 아드님이시다. 13세에 육경(六經)의 대의를 통달하고 1085년(神宗) 2년에 명경과(明經科)에 합격하였다. 번저(藩邸)에 있던 숙종(肅宗)의 초청으로 세자를 보도(輔導)하다가 1088년 궁중에서 몰래 경북산 안적사(安寂寺)로 출가하였다.
그뒤 광명사(廣明寺)의 혜조국사(慧炤國師) 정현(鼎賢)의 문하에 들어가서 공부하다가 심요(心要)를 전수받고 다시 총림(叢林)을 두루 방문하며 증득(證得)한 바를 단련하였는데 모든 학자들이 그를 경모하였다. 뒤에 늙은 어머니 때문에 멀리 떠나지 못하고 외산(外山)에 조그만 절을 구하여 봉양하였다. 1104년(숙종 9년)에 대선(大選)에 합격하여 왕명에 따라 중원(中原) 의림사(義林寺) 주지가 되었고 1106년(예종1년)에는 대사(大師), 1109년에는 중대사(重大師), 1115년에는 삼중대사(三重大師)가 되었으며 1117년 선암사(禪岩寺)에 머물렀다.
1121년 선사(禪師)가 되었고 1123년(인종 1년)에 인종(仁宗)에게서 첨수가사(添繡袈裟)를 하사받았으며 1129년 보리연사(菩提淵寺)의 주지가 되어 법회(法會)를 개설하였다. 보리연사에는 뱀이 많아서 다니는 사람들이 어려움을 겪었는데 그가 법회를 열고난 후로부터는 뱀들이 모두 사라졌다고 한다. 1132년 대선사(大禪師)가 된 뒤부터 나라에 큰 일이 있을 때마다 왕의 자문(諮問)에 응하였고 1146년에 왕사(王師)가 되었다. 1148년 단속사(斷俗寺)로 돌아가 은퇴한 뒤 많은 제자들을 양성하여 선교(禪敎)의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한때 사위의송(四威儀頌)과 상당어구(上黨語句)를 지어 중국 광리사의 개심(介諶)에게 보냈더니 개심은 대단한 찬탄과 함께 의발(衣鉢)을 법(法)의 증표로 보냈다. 1159년 제자들을 불러서 “내가 가는 곳은 내가 벌써 알고 있으니 너희들은 당초에 세속의 본을 떠서 소기(小忌) 대기(大忌)를 지내지 말고 사십구재(四十九齋) 백일재 명재(明齋)도 지내지 말고 오직 부지런히 정진하라”는 유훈을 남긴 뒤 입적(入寂)하였다. 특별히 서예(書藝)에 뛰어나 왕희지(王羲之)의 필체를 따랐는데 서도신품사현(書道神品四賢)이라 부르는 김생(金生) 최우(崔瑀) 유신(柳伸)과 함께 당대의 명필(名筆)이었다.
춘천 청평사(淸平寺) 문수원(文殊院)의 중수비와 예천(醴泉)의 복룡사(伏龍寺)비 삼각산(三角山) 승가사(僧伽寺) 중수비등을 썼으며 경북 청도군 운문사(雲門寺)의 원응국사비(圓應國師碑)는 호부상서(戶部尙書) 문강공(文康公) 윤언이(尹彦?)가 찬한 것을 탄연국사가 쓰신 것으로 보물 제316호로 지정되어 있다. 귀부(龜趺)와 이수는 상실(喪失)되었으나 세조각이 된 비신은 복원되어 청정도량인 운문사 대웅전 옆에 서있다. 서거정(徐居正)이 말하기를 동방(東邦)의 필법은 김생(金生)이 제일이고 요극일(姚克一), 탄연(坦然)이 다음 간다고 높이 평가했다.
국사께서 입적하신 후 나라에서 국사(國師)로 추증되고 시호를 대감(大鑑)이라 하였다.
탄연의 청평사문수원기비
청평사는 고려 광종(光宗) 24년(973)에 영현선사(永賢禪師)에 의해 백암선원(白岩禪院)으로 창건된 유서 깊은 사찰이다.
이후 보현원(普賢院), 문수원(文殊院)으로 불려오다 조선 명종 때 허응당(虛應堂) 보우선사(普雨禪師)가 절을 크게 중건하고 이름을 경운산 만수성 청평선사(慶雲山萬壽聖淸平禪寺)라 고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오랜 세월과 한국전쟁 등의 피해로 우리나라 신품사현(神品四賢:書畵로 유명한 김생, 탄연, 최우, 유신을 일컫는 말)의 한 분인 탄연(坦然)의 글씨로 조각된 청평사 문수원기비(淸平寺文殊院記碑)도 파손되고 국보로 위용을 자랑하던 극락전(極樂殿)도 불타버렸다. 당시의 건물로는 회전문(보물 제164호)만이 남아 있을 뿐이고 지금의 건물들은 근년에 신축한 것이다.
그러나 예스러움이 남아 있는 초석(礎石)과 석축, 4개의 부도(浮屠)가 있으며 이곳에 전해오는 전설로 일명 공주탑이라 불리는 삼층석탑이 남아 있다.
또 고려시대에 벼슬을 버리고 이곳에서 은거(隱居)했던 진락공(眞樂公) 이자현(李資玄)이 조성한 고려정원의 영지(影池)와 그의 글씨가 바위에 새겨져 있다.
이 곳 절터는 사찰 뒷 편에 오봉산이 병풍처럼 둘러지고 전면에 계곡이 흐르는 전형적인 산지가람(山地伽藍)의 풍수를 따른 곳이다.
고려 승려 탄연(坦然)
탄연(坦然, 1070~1159)은 안적사(安寂寺)에서 출가하여 고려 예종 1년(1106년) 때에 대사가 되고 인종 24년(1146년)에 왕사(王師)가 된다. 그는 신품사현(神品四賢)의 한 사람으로, 한국의 선문을 중흥시켰고 필법이 가장 정묘하여 홍관(洪灌)과 함께 이름을 날렸다. 서거정(徐居正)은 “동국의 필법에 김생이 제일이요, 탄연이 다음 간다.”라고 평하였다. 글씨는 구양순체를 본받았으며 詩에도 조예가 깊었다. 춘천의 문주원비(文株院碑), 예천의 북룡사비(北龍寺碑), 삼각산 승가굴중수비(僧伽窟重修碑) 등을 썼다. 이번 전시회에는 문주원비(眞樂公重修淸平山文殊院記) 탁본 글씨가 전시되었다.
진락공중수청평산문주원기<眞樂公重修淸平山文殊院記>, 1130년, 개인소장
고려의 개략역사
성립·발전 신라 말에 송악(松嶽;지금의 開城)의 호족(豪族) 왕건(王建)이 태봉(泰封)의 왕인 궁예(弓裔)의 부하로 있다가, 918년 민심을 잃은 궁예를 몰아내고 고려를 세워 연호를 천수(天授)라 하였다. 왕건은 철원(鐵圓;지금의 鐵原)에서 즉위, 고려 태조가 되었는데 도읍을 송악으로 옮긴 다음 호족세력을 통합, 북진정책과 숭불정책으로 세력을 굳혔다. 935년(태조 18) 신라를 평화적으로 병합하였으며, 다음해에 후백제를 멸하여 후삼국을 통일하였다. 경종 때 토지제도를 개혁하여 토지를 원칙적으로 국가의 지배하에 두고 이를 관료들에게 관계(官階)에 따라 분배하여 줌으로써 관료제도의 기초를 세웠으며, 제 6 대 성종은 중앙과 지방의 관제를 대폭 개혁하고 학문과 산업을 장려하여 국가의 기반을 굳게 하였다. 11대 문종 때에 이르러 전제(田制)·관제(官制)·병제(兵制) 등 모든 제도가 완비되고 중앙집권적 국가체제가 완성되었다. 그러나 예종·인종 때에 이르러 권력층은 토지를 겸병(兼倂)하기 시작하여 농민들의 몰락을 촉진하였다. 또 인종 때에는 승려 묘청(妙淸)이 수도를 서경(西京;平壤)으로 옮기려고 했다가 뜻을 이루지 못하자 반란을 일으켰으며(묘청의 난), 1170년(의종 24)에는 정중부(鄭仲夫)·이의방(李義方) 등의 무신들이 난을 일으켜 문신 50여 명을 죽이고 의종을 추방하고 명종을 세웠다(정중부의 난). 이로부터 30년 동안 무신들간에 권력쟁탈전이 끊임없이 벌어지고 지방에서도 반란이 일어나서 나라의 형편이 매우 어지러웠다. 이 무신들간의 싸움은 1196년(명종 26) 최충헌(崔忠獻)의 집권으로 매듭지어져, 이후 최씨 일가의 무단정치(武斷政治)가 우(瑀)·항(沆)·의 4대에 걸쳐 계속되었으나 1258년(고종 45) 왕권이 회복되었다. 고종 다음의 원종은 몽골과 강화하고 1264년(원종 5)에 개성으로 도읍지를 옮겼다. 이때부터 약 80년간 고려는 원(元;몽골)의 지배를 받아 왕실은 원나라에 예속되고, 원나라 공주와 결혼함으로써 겨우 맥을 이어나갔다. 원나라의 세력이 새로 일어난 명(明)에 밀리자 공민왕은 원나라 세력을 몰아내고 국권을 회복하였다. 그러나 조정의 기반을 굳히기 전에 밖으로부터 홍건적(紅巾賊)과 왜구가 쳐들어와서 이를 방어하기 위해 중용된 이성계(李成桂) 등 신흥 무장(武將)들이 세력을 얻게 되었다. 멸망 1388년(우왕 14) 고려는 이성계를 우군도통사(右軍都統使)로 삼아 그에게 요동정벌에 나서게 하였는데, 이때 이성계는 요동정벌(遼東征伐)을 반대하고 위화도(威化島)에서 군대를 이끌고 개성으로 돌아왔다(위화도 회군). 이어 반대파인 최영(崔瑩) 등을 제거한 후 우왕을 폐위시키고 아들 창(昌)을 창왕으로 즉위시켜 자기 세력을 키운 끝에, 1392년(공양왕 4) 마침내 고려를 무너뜨리고 조선을 세웠다. 고려는 처음부터 고구려의 옛땅을 회복하는 것을 이상으로 삼았으나 항상 북방 민족의 침입으로 고민하였고, 한때는 전국이 그들의 지배를 받았으며, 이러한 북방민족과의 갈등은 이성계에게 나라를 빼앗기게 되는 간접적 원인을 제공하였다. 즉 왜구·홍건적 등 잦은 외적의 침입은 무신의 세력을 키워 마침내 고려 멸망의 원인을 만들었던 것이다. 정치 태조 왕건은 태봉과 신라의 제도를 아울러 사용하였으나 이것은 신라시대의 골품제(骨品制)를 청산하고 왕권이 확립될 때까지의 과도기적 조치에 지나지 않았다. 왕권이 확립된 성종에서 문종에 이르는 기간에 당(唐)·송(宋)의 제도를 수입하여 관제를 정비·완성하였다. 중앙 행정의 최고기관으로는 3성 6부가 있었으며, 3성(三省)은 중서(中書;초기에는 內議 또는 內史)·문하(門下)·상서(尙書;성종 때는 尙書都省)인데 이것은 당나라의 제도를 모방한 것이다. 이 중에서 문하성과 중서성은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어 합쳐서 중서문하성이라 불렀다. 상서성의 지휘를 받는 6부는 이부(吏部)·병부(兵部)·호부(戶部)·형부(刑部)·예부(禮部)·공부(工部)였다. 이밖에 3성과 거의 같은 자격을 가진 3사(三司)가 있었는데 국가재정을 통할하였다. 또 군국(軍國)의 기밀과 숙위(宿衛)를 맡은 기관을 중추원(中樞院;후에 樞密院이라 고쳤다)이라 하고 그 장관을 판원사(判院事)라 하였다. 중추원은 3성과 더불어 국가의 최고기관으로, 그 고관을 추신(樞臣)이라 했고, 3성의 고관인 재신과 아울러 재추(宰樞)라 불렀다. 이 두 기관을 양부(兩府)라 하였다. 중앙집권적인 통치체제는 군사제도의 정비에도 나타나 중앙에 2군(二軍) 6위(六衛)를 두었는데 2군은 응양군(鷹揚軍)·용호군(龍虎軍), 6위는 좌우위(左古衛)·신호위(神虎衛)·흥위위(興威衛)·금오위(金吾衛)·천우위(千牛衛)·감문위(監門衛)였다. 각 군과 위(衛)의 아래에는 영(領;부대)이 소속되었다. 또 군과 위에는 각각 상장군(上將軍)·대장군(大將軍)이 1명씩 있었고, 지휘하는 영의 수에 따라 영마다 장군 1명, 중랑장(中郎將) 2명이 있었고, 그 아래 낭장(郎將)·별장(別將)·산원(散員)·위(尉)·대정(隊正) 등 군관이 배치되었다. 2군 6위의 상장군 8명과 대장군 8명으로 중방(重房)을 구성하였으며 중방은 최고급 장성들의 회의기관이었다. 관계(官階)를 보면 종 1 품(從一品)에서 종 9 품(從九品)까지 29계가 있었는데 정 4 품 이하는 같은 관계에 상하의 두 계단이 있었다. 지방의 관제는 983년(성종 2)에 12목(牧)을 두어 중앙의 관원을 파견한 것이 처음이다. 995년(성종 14)에 경기 이외의 전국을 편의상 10도(道)로 나누고, 아울러 12주(州)의 절도사(節度使)를 비롯하여 아래로 단련사(團練使)·자사(剌史)·방어사(防禦使) 등을 설치하였다. 현종 이후에는 12주가 개편되어 이루어진 4도호부·8목이 서경(西京;平壞)·동경(東京;慶州)·남경(南京;서울)에 설치되고, 북방의 국경지대에 설치된 양계(兩界)와 함께 지방행정의 중심이 되어 전국의 군(郡)·현(縣)·진(鎭)을 분담하여 다스렸다. 그 밑으로 특수한 하급 행정구획이던 촌(村)·향(鄕)·소(所)·부곡(部曲)이 있었다. 그리고 교통상의 요지에는 진(津)·역(驛)·관(館)이 있었으며, 군사상의 요지에는 진(鎭)이 설치되었다. 사회·경제 국초에는 구세력을 포섭하기 위해서 그들에게 식읍(食邑)·사전(賜田)을 주어 경제적 기반을 유지하게 하는 한편, 문무 관료들에게는 공로와 성품에 따라 역분전(役分田)을 주었다. 새로운 국가가 차츰 확고한 체제를 갖추어 감에 따라 관품제도도 확립되었고, 이에 따라 976년(경종 1) 처음으로 전시과(田柴科)가 정해져서 관료들은 관계(官階)에 따라 전지(田地)와 시지(柴地;땔나무와 숯을 얻는 땅)를 받았다. 998년(목종 1)에는 문무백관과 일반 군인의 전시과를 개정하여 18과(科)를 두었는데 제 1 과(정 1 품)는 3성의 장관에 주는 것으로 전지 100결(結)·시지 70결, 제 8 과(종 9 품)는 말단관료·병졸들에게 주는 것으로 전지 20결이었고, 관계에 오르지 못한 자(말직자;閑人)에게는 일률로 17결을 주었다. 그 뒤 덕종과 문종 때에 이를 개정하였다. 토지는 국가의 소유이므로 이것을 받은 자는 수익권(收益權)을 가질 뿐 매매하거나 죽은 뒤에 자손에게 상속시킬 수는 없었다. 이 밖에 1049년(문종 3)에 공음전시과(功蔭田柴枓)를 제정하여 공로있는 문무신에게 최고 전지 25결·시지 15결, 최하 전지 15결·시지 5결을 주어 자손이나 조카·사위 등에게 상속시켰다. 또 병역의 의무가 있는 남자는 20세가 되면 전지 20결을 주었다. 국가 기관의 경비를 충당하기 위해서 중앙의 각 관서와 지방의 주·군·현·관(館)·역(驛)에 이르기까지 토지를 배당하였는데 이를 공해전시라 하였다. 그러나 1170년(의종 24) 정중부(鄭仲夫)의 난 이후 정권이 무인들의 손에 들어감에 따라 공전제도는 크게 어지러워져 말기에는 거의 전부가 사전(私田)이었다. 한편 농민과 예민(隸民)들은 이 땅을 경작하여 전조(田租;地代)·세공(歲貢)·기타 잡세를 바치고 부역을 했다. 전조는 일종의 현물세로 국가재정의 기본이 되었으며, 또한 각 지방의 특산물을 나라에 바치는 공부(貢賦)라는 것이 있었다. 부역(賦役)은 요역이라고도 불렀는데, 남자 16세가 되면 <정(丁)>이라 하여 나라의 역사에 종사할 의무가 생기고 60세가 되면 <노(老)>라 하여 면제되었다. 화폐제도는 996년(성종 15) 건원중보(乾元重寶)라는 철전(鐵錢)을 만들어, 한국 주전(鑄錢)의 시초를 이루었는데, 1102년(숙종 7)에 다시 해동통보(海東通寶)와 아울러 은병 (銀甁;은 600g으로 주전)도 사용하였다. 고려의 주전에는 해동통보 외에 해동중보(海東重寶)·삼한통보(三韓通寶)·삼한중보(三韓重寶)·동국통보(東國通寶)·동국중보(東國重寶) 등이 지금까지 전해오고 있다. 1331년(충혜왕 1)에는 소은병(小銀甁)을 새로 만들었고 91년(공양왕 2)에 교역의 불편을 덜기 위해 저화(楮貨;지폐)를 인쇄하였으나 유통되지 못하였다. 교육 태조 때부터 교육기관으로 개경학(開京學)·서경학(西京學)이 있기는 했으나 본격적으로 정비된 것은 성종 때부터였다. 고려는 유교를 정치이념으로 삼았으므로 유교교육을 받은 관리양성이 필요하였다. 992년(성종 11) 개성에 국자감(國子監)을 설치하였으며, 국자감에는 국자학(國子學)·대학(大學)·사문학(四門學)·율학(律學)·서학(書學)·산학(算學)의 6개 부문을 두었는데 이것을 경사육학(京師六學)이라고 하였다. 국자학은 3품 이상의 자제, 대학은 5품 이상의 자제, 사문학은 7품 이상의 자제와 우수한 서인(庶人)을 대상으로 했다. 3학에는 각각 경학(經學)에 정통하고 품행이 단정한 박사(博士)와 조교(助敎)를 두어 가르치게 했다. 8품 이하 관료들의 자제와 서인이 들어가는 율학·서학·산학에는 박사만 두었다. 1109년(예종 4) 국자감에 무학(武學)을 두었다가 인종 때에 폐지하였다. 성종은 12목(牧)에 경학박사(經學博士)와 의학박사(醫學博士) 각 1명씩을 보내어 가르치게 하였고, 인종 때에는 각 주에 주학(州學)을 세우게 하였는데 이들 관학 외에 사학(私學)도 많이 있었다. 또한 958년(광종 9)에 후주(後周) 사람 쌍기(雙冀)의 건의에 따라 과거제도를 실시하였다. 진사(進士)·명경(明經)의 2과가 중심을 이루었으며, 공양왕 때에 무과가 설치되었다. 국사편찬 국초부터 시정(時政)을 기록하는 기관으로 사관(史館)을 두었는데, 뒤에 춘추관(春秋館)이라고 이름을 바꾸었다. 황주량(黃周亮)·왕가도(王可道) 등이 사료를 수집·정리하여 태조부터 목종에 이르는 《칠대사적(七代事跡)》 36권을 1032년(덕종 1)에 편찬하였는데 오늘날 전하지 않는다. 실록의 편찬과 아울러 다른 사서(史書)의 편찬에도 힘썼는데 제11대 문종 때 박인량(朴寅亮)은 《고금록(古今錄)》 10권을 편찬하였으며, 또 일찍이 작자·연대 미상인 《편년통재(編年通載)》라는 역사책도 편찬되었다. 예종은 《편년통재》를 보고 홍관(洪灌)에게 명하여 상고시대부터의 국사를 편찬하도록 하였으니, 이것이 《편년통재속편(編年通載續篇)》이다. 1145년(인종 23)에는 김부식(金富軾) 등이 《삼국사기(三國史記)》 50권을 완성하였으며, 의종 때에는 김관의(金寬毅)가 《편년통록(編年通錄)》과 《삼대종록(三代宗錄)》을 엮었다. 충렬왕 때에는 특히 여러가지 사서가 나왔는데, 일연(一然)의 《삼국유사(三國遺事)》, 임익(任翊)의 《선원록(璿源錄)》, 원부(元傅) 등의 《고금록(古今錄)》, 이승휴(李承休)의 《제왕운기(帝王韻記)》, 정가신(鄭可臣)의 《천추금경록(千秋金鏡錄)》, 민지(閔漬)의 《세대편년요록(世代編年要錄)》 및 《본조편년강목(本朝編年綱目)》 등이다. 그러나 이들 사서는 대개 없어지고 오늘날 남아 있는 것은 《삼국사기》 《삼국유사》 등 몇 가지뿐이다. 예술 고려의 예술은 호화로운 궁정생활·귀족생활과 불교에 의해 크게 발전하였다. 전체적으로는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의 양식에 독특한 창의를 가미하였는데, 도자기와 그림은 송(宋)·원(元)나라의 영향을 받았다. 고려는 화가 양성을 위하여 도화원(圖畵院)을 설치하였으며, 대표적인 화가로 정득공(鄭得恭)·이영(李寧)·이광필(李光弼)·고유방(高惟訪)·안치민(安置民)·공민왕(恭愍王)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당시의 그림으로 남아 있는 것은 소수이며, 이영의 《예성강도(禮成江圖)》와 공민왕의 《천산대렵도(天山大獵圖)》 《음산대렵도(陰山大獵圖)》와 《안향(安珦)의 초상》, 사원벽화로는 부석사조사당(浮石寺祖師堂) 벽화의 사천왕상(四天王像) 등이 있다. 도자기는 고려예술의 극치라고 할 수 있는데 초기에는 송나라 도자기의 영향을 받았으나 예종·인종 때에 크게 발전하여 비색청자(翡色靑磁)의 독창적인 작품들을 만들었다. 특히 중기 이후의 상감청자(象嵌靑磁)는 정묘하고 아담한 모양을 가미하여 자기예술의 극치를 이루었다. 서예는 왕희지(王羲之)체와 구양순(歐陽詢)체가 문신귀족들에게 환영을 받았는데 문종 때의 유신(柳伸)과 인종 때의 승려 탄연(坦然), 고종 때의 최우(崔瑀)가 명필로서 신라의 김생(金生)과 함께 신품사현(神品四賢)이라 일컬어졌다. 건축은 초기에는 귀족적이고 불교적이었으나 후기에는 고려의 독특한 기상을 나타내고 있다. 대부분 목조건축으로 여러 차례의 전란으로 불타버리고 현재 남아 있는 것은 영주(榮州) 부석사(浮石寺)의 무량수전(無量壽殿)과 조사당(祖師堂), 덕산(德山) 수덕사(修德寺)의 대웅전(大雄殿) 등이다. 이 중 부석사의 무량수전은 한국 목조건물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장중한 구조와 화려한 균형미를 나타내고 있다. 이 밖에 불교예술을 나타내는 것으로 불상과 탑을 들 수 있다. 불상은 신라시대의 수준에 미치지 못하나 대표적인 것으로는 논산(論山)의 관촉사(灌燭寺) 미륵보살입상(彌勒菩薩立像)으로 거대하지만 균형이 잡히지 않아 예술적 가치는 적다. 탑은 처음에는 신라시대의 양식을 계승하였으나 차츰 독자적인 발전을 보여 방탑(方塔) 외에 6각탑·8각탑이 생겼고, 경천사(敬天寺)의 10층석탑과 같이 라마예술의 영향을 받은 원나라 양식도 나타났다. 대표적인 것은 예천(醴泉) 개심사(開心寺;지금은 폐사)의 5층탑, 현화사(玄化寺)의 7층탑, 흥국사탑(興國寺塔) 등이 있다. 시가·음악 고려 초기에는 신라시대의 향가 형식이 그대로 남아 있은 듯하다. 그러나 중기로 접어들면서 향가는 차츰 장가(長歌)의 형식으로 발전하여 지식계급에서는 향가에서 변모한 경기체가(景幾體歌)가, 일반 민중 사이에서는 민요가 유행하였다. 오늘날 남아 있는 것으로는 《동동(動動)》 《서경별곡(西京別曲)》 《쌍화점(雙花店)》 《청산별곡(靑山別曲)》 《처용가(處容歌)》 《만전춘(滿殿春)》 《이상곡(履霜曲)》 《정석가(鄭石歌)》 《사모곡(思母曲)》 《정읍사(井邑詞)》 《가시리》 《정과정곡(鄭瓜亭曲)》 《한림별곡(翰林別曲)》 《관동별곡(關東別曲)》 《죽계별곡(竹溪別曲)》 등으로 그 가운데에 한문조의 가사(歌詞)도 있다. 시조는 중기 이후에 나타났다. 오늘날 남아 있는 것은 우탁(禹倬)·이조년(李兆年)·이존오(李存吾)·최영(崔瑩)·이색(李穡)·정몽주(鄭夢周)·이방원(李芳遠) 등의 시조이다. 무신의 난 이후의 한문학 경향은 고려 초기의 향가문학이 사라지면서 패관문학(稗官文學)이 대두되어 최씨 무신집권 하에서 절정을 이루었다. 현재까지 전하는 문집(文集)으로 초기의 것은 금석문(金石文)의 일부와 중기의 것으로 대각국사문집이 있을 뿐이다. 중기 후반부터 말기에 이르는 것에는 임춘(林椿)의 《서하집(西河集)》과 진매호(陳梅胡)의 《매호집(梅湖集)》, 이규보(李奎報)의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이승휴(李承休)의 《동안거사집(動安居士集)》, 이색(李穡)의 《목은집(牧隱集)》, 김구용(金九容)의 《척약재집》, 정몽주의 《포은집(圃隱集)》, 길재(吉再)의 《야은집(冶隱集)》 등이 있다. 또 고려의 음악을 보면 속악(俗樂)·아악(雅樂)·당악(唐樂)의 3가지가 있었다. 속악은 예전부터 전해 오던 고유의 음악이며, 아악은 궁정·종묘·교사(郊祀)에서 연주되는 정악(正樂)으로 송나라에서 들어온 대성악(大晟樂)이다. 태묘악장(太廟樂章) 등 10편 안팎의 악장이 지금까지 전해오고 있다. 아악은 1370년(공민왕 19)에 명나라 태조가 고려 사신에게 새로 악기를 더 보내어 내용이 풍부해졌으며, 발생지인 중국이나 또 일본에는 전해지지 않고 오직 한국에만 보존되어 있는 동양의 고전적 정악이다. 당악은 전부터 내려오던 중국의 속악으로 가곡에는 《헌선도(獻仙桃)》 《수연장(壽延長)》 등 40여 편이 있다. 풍속 고려는 귀족들과 농·공·상에 종사하는 일반 서민을 중심으로 하여, 그 중간에 서리(胥吏)들, 가장 밑바닥에 천민과 종들이 있는 계급사회였다. 귀족들은 임금을 정점으로 한 문무백관(文武百官)으로 구성되었는데 중앙과 지방을 합하여 약 3000명이었다. 계급의 차별은 매우 엄격하여 의복·그릇에 이르기까지 양반·농민·노예에 차별이 있었다. 백관의 관복(官服)은 광종 때에 송나라 제도를 따랐다가 몽골이 들어온 후로는 몽골의 제도로 바뀌었고, 말기에 원과 명의 세력이 바뀜에 따라 몽골과 명의 제도가 혼용되었다. 이성계가 위화도에서 돌아온 후로는 명제가 확정되어 근세에 이르렀다. 일반 서민은 대개 흰옷을 입었고, 여자들은 홍(紅)·황(黃) 등 색옷을 입기도 하였다. 처녀는 붉은 댕기, 총각은 검은 댕기를 달았고, 귀족은 가죽신, 서민은 짚신을 신었으며 귀족의 부인은 너울을 썼다. 죄인은 관이나 두건을 쓰지 못했다. 왕실과 귀족들은 금·은그릇과 정밀한 도자기를 썼고, 서민은 조제(粗製)도자기·토기·구리그릇·놋그릇을 썼다. 불교가 성행함에 따라 사람이 죽으면 화장(火葬)하는 풍습이 퍼졌고, 부모상에는 대개 100일 동안 복상(服喪)하였다. 고려 말에는 주문공가례(朱文公家禮)가 수입되어 3년 동안 복상하는 풍습이 생겼다. 무당이 많았고 산신(山神)을 모신 사당과 서낭당[城隍堂(성황당)] 등이 있었으며, 기타 귀신도 많이 모셨다. 고려의 명절로는 설·정윌보름·한식·상사(上巳;3월 3일)·단오·추석·중양절(重陽節;9월 9일)·동지·팔관회(八關會)가 있었다. 이 밖에 인일(人日;1월 7일)·입춘·2월 연등·3월 삼짇날·사월초파일·유두(6월 15일)·우란분재(盂蘭盆齋;7월 15일)·제석(除夕;섣달 그믐) 등이 있었다. 설에는 차례를 지내고 관청에서도 전후 7일의 휴가를 주었다. 보름에는 다리밟기, 입춘에는 첩자(帖子)를 써붙였고, 한식에는 성묘(省墓)와 그네, 삼짇날에는 들놀이에 쑥떡을 먹었다. 사월초파일에는 연등(燃燈)을 하였으며 우란분재에는 절에 가서 공양을 하였다. 이 가운데서 국가적 경축일은 원정(元正) 즉, 설·동지·팔관·성상절일(聖上節日;임금의 생일)이었다. 불교 유교가 고려의 정치이념이 되었는데 비하여 불교는 정신계의 지도이념이 되어 현실에 큰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왕실·귀족들의 두터운 보호 속에 번성하였는데, 수도 개성을 비롯하여 전국에 많은 사찰이 있었다. 종파로는 오교(五敎)의 교종(敎宗)과 구산(九山)의 선종(禪宗)이 아울러 발전하였다. 교종의 5종파는 화엄(華嚴)·법상(法相)·법성(法性)·열반(涅槃)·계율(戒律)이다. 광종은 일반 과거제도와 아울러 승과(僧科)도 설치하여 승려들을 등용했다. 교종의 과거인 교종선(敎宗選)은 교종의 총본산 삼륜사(三輪寺;개성 소재), 선종의 과거인 선종선은 그 총본산 광명사(廣明寺;개성 소재)에서 실시하였다. 여기에 합격하면, 대선(大選)이라는 첫단계의 법계(法階)를 주었다. 이로부터 대덕(大德;住持의 자격이 있음)·대사(大師)·중대사(重大師)·삼중대사(三重大師)에 차례로 오르고, 그 이상은 교·선종이 각각 달라서 교종은 수좌(首座)·승통(僧統), 선종은 선사(禪師)·대선사(大禪師)로 각각 승진하였다. 특히 덕이 높은 승려에게 왕사(王師)·국사(國師)의 법계를 주었는데 이것은 승통이나 대선사의 위에 위치하였다. 국사 중에서 가장 유명한 사람은 대각국사(大覺國師) 의천(義天)과 보조국사(普照國師) 지눌(知訥)이다. 의천은 선·교(禪·敎)가 각기 한쪽에 치우치는 폐단을 고쳐 교관겸수(敎觀兼修)를 내세우고 천태종(天台宗)을 창설하였다. 지눌은 9산의 선문(禪門)을 통합하여 조계종(曹溪宗)을 개창하고 돈오점수(頓悟隷修)·정혜쌍수(定慧雙修)를 제창하여 선문에 독특한 경지를 개척하였다. 고려 말기에는 보우(普愚)·혜근(惠勤) 등 고승도 나타났으나 여러 갈래로 갈라져서 파쟁이 심했다. 한편 불교는 민간신앙과도 결합하여 승려들은 무복(巫卜)·풍수·도참(圖讖)을 통해 이것으로 민심을 좌우하었다. 또, 많은 경비를 들여 절을 짓고 불교행사를 마련한 것은 고려 멸망의 한 원인이 되었다. 유교 문종 때의 최충(崔沖)은 정치가이자 덕망이 높은 학자로 해동공자(海東孔子)라는 칭송을 받았다. 그는 벼슬에서 물러난 뒤에 9재(九齋)를 만들었는데, 수도 개성에는 최충의 9재를 본따 사학(私學)을 만들고 교육에 힘쓴 학자가 11명 있어, 그 제자들과 최충의 제자들을 합하여 12도(徒)라 불렀다. 고려에 처음으로 송나라 정자(程子)·주자(朱子)의 성리학을 들여온 사람은 안향(安珦)이다. 안향은 1289년(충렬왕 15) 왕을 따라 원나라의 수도 연경(燕京)에 갔다가 《주자전서(朱子全書)》를 보고 이것을 유교의 정통이라 생각하여 책을 손수 베끼고 주자의 초상을 그려 가지고 돌아와 최초의 성리학자가 되었다. 충선왕은 연경에 만권당(萬卷堂)을 설치하여 양국의 문인들을 교류시킴으로써 본격적으로 유학을 연구하였다. 이어 백이정·이제현(李齊賢)·우탁 등 성리학에 정통한 학자들이 배출되었다. 고려 말기에는 이색(李穡)·정몽주(鄭夢周)·이숭인(李崇仁)·정도전(鄭道傳)·권근(權近)·길재(吉再) 등 뛰어난 학자들이 나타나 한국 성리학의 기반을 세웠다. 외세와의 투쟁 고려는 개국 이래 중국의 양(梁)·당(唐)·진(晉)·한(漢)·주(周)의 5대조와국교를 맺었는데, 그 뒤 중국을 통일한 송(宋)나라와도 외교관계를 맺고 있었다. 이것은 신라와 중국과의 관계를 계승한 것으로, 고려도 중국의 문물에 대해서는 모화사상(慕華思想)의 경향이 많았다. 따라서 오랑캐 나라인 요와는 단순한 국교조차 맺지 않으려고 하였다. 그러나 요나라의 성종(聖宗)은 압록강 하류의 여진(女眞)을 정복하고, 993년에는 고려와 송나라의 관계도 끊기 위해 고려의 영토 서북면에 쳐들어왔다. 이에 고려는 사대의 관계를 송나라로부터 거란(契丹)에 옮겨서 거란 황제의 정령을 받는 대신 압록강 동쪽의 여진이 차지하고 있던 땅을 소유하게 되었다. 고려와 중국과의 정치적인 관계는 이로써 일대 전환을 보게 되었는데 10여 년 뒤에 고려의 목종이 피살되고 현종이 즉위하자, 요나라 성종은 친히 대군을 거느리고 고려에 침입하여 서울인 개경(開京)을 함락시키는 한편 대묘(大廟)·궁궐을 불태워 버렸다. 이어 강동육주(江東六州)의 반환을 핑계로 삼아 1019년(현종 10)에 이르기까지 전후 4차에 걸쳐 고려에 침입해 왔으나 끝내 이기지 못하고 군사를 철수하였다. 고려는 태조 때부터 화주(和州;永興)에 변성(邊城)을 두었으며, 성종 이후는 안변도호부(安邊都護府)라 하고 변경 밖의 여진을 다스리는 데 힘썼다. 특히 밀접한 관계가 있었던 것은 함관령(咸關嶺) 안에 있던 여진으로, 여러 추장들은 어느 정도까지는 고려에 복종하고 물질적인 이익을 얻고자 자주 조공하였으나 그와 동시에 외적이 되어 때때로 변경에 침범하였다. 숙종조에 이르러 북만주 아집하(阿什河)를 본거지로 하는 생여진(生女眞)의 완안씨(完顔氏)가 주위의 여러 부족을 통일한 뒤 두만강 하류 유역으로 진출하여 그곳 여진을 이끌고 또다시 남하, 고려 변방의 갈라전(曷懶甸)의 여진을 세력권 내에 넣었다. 그런 후에 정평성(定平城) 밖에서 고려와 충돌하고 2차례에 걸쳐 고려의 군사를 무찔렀다. 이에 고려는 갈라전을 고려의 영토로 하고자 예종 초, 윤관(尹瓘)을 장수로 한 유명한 9성(城)의 싸움을 일으켰다. 그러나 군사를 보낸지 1년 반이 지나도 완안씨의 군사를 완전히 몰아내지 못하게 되자, 그들의 완전복종을 조건으로 성의 포기와 갈라전의 전지역을 완안씨에게 돌려 주고 되돌아왔다. 그 뒤 곧 완안씨의 아구다[阿骨打(아골타)]는 요나라에 모반하고 군사를 일으켜 국호를 금(金)이라 정한 뒤, 1116년(예종 11)에 고려에 대하여 형제의 나라로 국교를 맺도록 하였다. 금과의 사대관계는 금나라가 몰락할 때까지 계속되는 한편, 남송(南宋)과의 교섭도 끊어지지 않았다. 13세기 초, 몽골의 태조 칭기즈 칸[成吉思汗(성길사한)]이 금나라 정벌싸움을 일으키자, 거란족은 다시 고려에 침입하여 전후 3년 동안 경상도·충청도·전라도 지방을 제외한 북방 일대를 차지하였다. 고려는 1219년(고종 6) 몽골과 보선만노(蒲鮮萬奴;금나라에 모반한 장군)가 세운 동진국(東眞國)의 군사와 협력하여 그들을 쳐서 멸망시켰으나, 대신 몽골과 형제지간의 국교를 맺게 되었다. 이후 몽골은 해마다 사신을 보내 공물을 받아 갔으며, 수년 뒤 몽골의 사신이 돌아갈 때 국경지대에서 암살되자 이를 빙자하여 고려 정벌을 단행하였다. 이 정벌은 몽골의 태종 초부터 정종·현종조를 거쳐 세조가 즉위할 무렵까지 29년 동안이나 계속되었는데 그동안 고려는 강화도로 천도(遷都)하여 저항했으나 원 세조의 회유책으로 결국 몽골에 복종하였다. 1269년(원종 10) 강화도에서 개경으로 다시 서울을 옮긴 고려는 몽골과 연합군을 편성하여 74년(원종 15)과 81년(충렬왕 7) 2차례에 걸쳐 일본을 정벌하려 하였으나 모두 실패하였다. 원종에서 공민왕 초에 이르기까지 90여 년 동안 고려는 거의 원나라에 예속되다시피 하였다. 고려왕은 원나라에 의해 책봉되는 국왕인 동시에 정동행성(征東行省)의 장관격이었다. 충렬왕은 세자로 있을 때 원나라 공주와 결혼하였으며 이때부터 역대의 여러 왕들은 모두 원나라 공주를 왕비로 맞아 두 나라 왕실은 서로 사돈의 관계를 맺게 되었다. 따라서 원나라가 고려왕의 폐위·복위를 마음대로 하게 되었으며, 때로는 벌을 받아 귀양갔던 왕도 있었다. 충렬왕 이후의 여러 왕들이 죽은 뒤 묘호(廟號)를 부르지 못한 것도 원나라의 간섭 때문이었다. 1368년(공민왕 17) 순제가 연경에서 쫓겨나 막북(漠北)으로 도망치고, 뒤를 이어 명나라 태조가 황제가 되어 이를 고려에 통고해 왔으므로 이듬해 왕은 사신을 보내 태조의 등극을 축하하고 그의 책봉을 받았다. 공민왕이 세상을 떠나고 우왕이 즉위하자, 고려 조정에서는 친원(親元)·친명(親明) 두 파로 분리되어 대립이 심하였는데 88년(우왕 14) 명나라가 철령 이북의 땅을 그들의 영토인 요동에다 예속시키겠다고 통고해 왔으므로, 친원파의 영수 최영(崔瑩)은 명나라 정벌을 계획하고 조민수(曺敏修)·이성계(李成桂)와 함께 요동을 치려 하였다. 그러나 이성계는 압록강에 있는 위화도(威化島)에서 군사를 돌려 우왕을 폐한 뒤 창왕을 세워 친명의 국책을 확립시켰다. 4년 뒤인 92년 이성계는 공앙왕을 폐하고 스스로 왕위에 올라 조선을 개국하였다. |
'글씨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姜世晃 行草豹菴遺彩 (0) | 2013.05.14 |
---|---|
신품4현 고려 崔瑀 (0) | 2013.05.14 |
신품4현 고려 柳伸 (0) | 2013.05.14 |
한국의 서예 & 대자 결구 84법 (0) | 2013.05.14 |
神品第一 신라 金生 (0) | 2013.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