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조류
필드 가이

크낙새

다른 표기 언어


요약 테이블
분류 딱다구리과(Picidae)
문화재 지정 (지정일)천연기념물 제197호
서식지 인도 서부, 미얀마, 타이, 베트남, 말레이시아, 수마트라, 자바, 인도네시아, 필리핀, 북한에 서식하며, 남한과 대마도에서는 멸종되었다.
크기L46cm
학명Dryocopus javensis White-bellied Woodpecker

              

서식

   인도 서부, 미얀마, 타이, 베트남, 말레이시아, 수마트라, 자바, 인도네시아, 필리핀, 북한에 서식하며, 남한과 대마도에서는 멸종되었다.

행동

   고목으로 울창한 저지대 산림에 서식한다. 경계심이 강하다. 나선형으로 나무를 타면서 나무줄기를 쪼아 속에 있는 곤충 유충을 잡는다. 곤충을 잡기 위해 뚫은 구멍을 박새류와 나무발발이 등이 둥지로 이용하기도 한다. 둥지는 참나무, 소나무, 밤나무 등 수령이 오래된 거목에 튼다. 3월 하순에서 5월 초순에 알을 3~4개 낳아 14일 동안 포란하며, 새끼는 부화 26일 후에 둥지를 떠난다. 잠자리로 돌아올 때 까막딱다구리와 달리 울음소리를 전혀 내지 않는다.

특징

   대형 딱다구리다. 배와 허리의 흰색을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검다. 첫째날개깃 끝이 폭 좁은 흰색이다. 날 때 아랫날개덮깃이 흰색으로 보인다.

수컷

이마에서 머리꼭대기와 뺨선이 붉은색이다.

암컷

머리 전체가 검은색이다.

아종

지리적으로 14 또는 15아종으로 분류한다. 한반도에서만 서식하는 아종은 richardsi이며 아종 중 가장 북쪽에 분포한다.

실태

천연기념물 제197호다. 북한의 일부 지역(린산, 평산, 장풍, 개성 박연리)에서 극히 적은 수가 번식하는 텃새로 알려지고 있으나 최근 북한에서 발표된 번식기록, 개체수 동향 등에 대한 신빙성 있는 자료가 없어 정확한 현황 파악이 어렵다. 1993년 이후 번식지로 알려진 경기 남양주 광릉 숲에서 확인되지 않고 있어 남한에서는 멸종된 것으로 판단된다. 1940년대까지 30개체 이상이 채집되었다(금강산 송림사, 황해 평산, 개성 송악산, 경기 남양주 광릉, 수원, 양평, 군포, 충북 조령, 충남 천안, 부산 등지에서 포획되었다).



크낙새 수컷(1986.3. 경기 포천 국립수목원) 


                        

크낙새 수컷(1960.4.8. 경기 남양주 광릉. 이화여대자연사박물관) 



                        

크낙새 암컷(1939.6. 경기 남양주 광릉. 이화여대자연사박물관)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도서

야생조류 필드 가이드
야생조류 필드 가이드 저자박종길 | 출판사자연과생태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반도에서 기록된 새 전종(74과 551종)을 수록한 새 도감이다. 20여 년간 종 보고자료와 분류학적 논문을 수집하고, 탐문, 표본 및 현장 확인, 실측을 통한 검증....펼쳐보기

집필자

박종길 전체항목 집필자 소개

국립공원관리공단에 근무하며, 조류 분류 연구, 가락지 부착 조사 등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의 야생조류 길잡이』(신구문화사), 『한국의 도요물떼새』(자연과생태), 『한국의 맹금류....펼쳐보기

제공처

자연과생태 전체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