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3. 3. 18:22ㆍ美學 이야기
신사임당의 그림 - 초충도 8폭 병풍 + 자 유 게 시 판 +
신사임당(申師任堂, 1504년~1551년)은 조선 시대의 여류 문인이자 화가이다. 5만원권의 도안 인물이기도 하다.
5만원권 지폐에 도안된 신사임당
신사임당(申師任堂, 1504년~1551년)은 조선 시대의 여류 문인이자 화가이다. 5만원권의 도안 인물이기도 하다. 편집] 생애 신사임당은 강원도 강릉 태생으로 그의 생가 오죽헌은 지금도 보존되고 있다. 사임당의 형제 중에는 아들은 하나도 없고 딸만 다섯이었는데, 사임당은 그 중에서 둘째 딸이었다. 그는 외할아버지와 어머니의 사랑을 한몸에 받고 자랐다. 왜냐하면 사임당의 행동과 재주가 남달랐기 때문이었다. 본명은 신인선이었다. 아버지는 신명화(申命和)라는 이름의 선비였고, 어머니는 용인 이씨 집안의 선비인 이사온의 딸이었다. 스스로 사임당(師任堂)이라는 호를 지었는데, 주나라의 기틀을 닦은 문왕[1]의 어머니 태임(太任)에서 따왔다고 전한다.[2] 그 외에 인임당(姻姙堂) 또는 임사제(姙師齊)라는 호도 가졌다고 한다. 1522년 덕수 이씨의 이원수(李元秀)와 결혼하여 강릉에서 서울로 이사했으며 4남 3녀를 두었다. 율곡 이이는 신사임당의 셋째 아들이다. 그는 뛰어난 화가로서 7살 때 세종 시대의 화가 안견의 그림을 본따서 그림을 그렸고, 숙종, 송시열, 이형규 등 여러 지식인들이 그가 그린 그림에 발문을 쓸 정도였다. 서예가이자 시인이기도 한 그는 '어머니가 그리워'(思親)등의 한시(漢詩)를 여러 편 지었다. 별세 당시 그녀의 나이는 48세였다.
신사임당의 그림
신사임당 1504(연산군 10)~1551(명종 6). 조선 중기의 예술가. 신사임당묘소 시·글씨·그림에 모두 뛰어났으며 이이(李珥)의 어머니로 사대부 부녀에게 요구되는 덕행과 재능을 겸비한 현모양처로 칭송된다. 본관은 평산. 아버지는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인 명화(名和), 어머니는 용인이씨로 사온(思溫)의 딸이다. 이이는 〈행장기〉를 지어 사임당의 예술적 재능, 우아한 천품, 순효한 성품 등을 기록했다. 사임당은 주나라 문왕의 어머니인 태임(太任)을 본받는다는 뜻의 당호이며, 이밖에 시임당(媤任堂)·임사재(妊思齊)라고도 했다. 강릉 외가에서 자랐으며, 19세에 덕수이씨 원수(元秀)와 혼인했다. 그뒤 친정에 머물다가 38세에 시집살이를 주관하기 위해 서울로 왔다. 사임당의 작품으로 알려져 있는 그림은 40폭 정도인데, 산수·포도·묵죽·묵매·초충 등 다양한 분야의 소재를 즐겨 그렸다. 산수에서는 안견파 화풍과 강희안 이래의 절파 화풍을 절충한 화풍으로, 16세기 전반에 생겨난 산수화단의 새로운 경향을 보여주는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월하고주도 月下孤舟圖〉에서 산들은 나지막하고 옆으로 길게 뻗어 있으며, 수면을 따라 전개되는 공간은 막힘이 없이 끝없이 펼쳐져 있다. 이러한 작품의 구도나 공간처리 등은 안견파의 것을 확산시킨 듯하지만, 필묵법이나 준법은 절파 계통의 영향이 가미되어 있다. 〈초충도 草蟲圖〉에서는 여성적인 섬세한 필치와 미려한 설채법을 구사했다. 8폭의 〈초충도〉 중에서 '가지'를 살펴보면, 화폭의 중앙에 곡선진 가지의 두 줄기가 좌우대칭을 이루며 서 있고, 섬약한 줄기들에는 밤색과 흰색의 가지들이 곱게 열려 있다. 가지 주변에는 종류가 다른 화초와 곤충들이 배열되어 있어 그림에 생동감을 더해준다. 안정된 구도, 몰골법(沒骨法)으로만 이루어진 묘사, 아담하고 음영을 살린 설채법 등이 사임당의 예술적 재능을 보여준다. 이밖의 주요작품으로는 〈자리도 紫鯉圖〉·〈노안도 蘆雁圖〉·〈연로도 蓮鷺圖〉·〈요안조압도 蓼岸鳥鴨圖〉 등이 있다. 사임당의 화풍은 넷째 아들인 우(瑀)와 맏딸인 매창(梅窓) 이부인(李夫人)에게 전해졌다. 글씨는 초서 6폭과 해서 1폭이 남아 있다. 1868년 강릉부사 윤종의는 사임당의 글씨를 판각하여 오죽헌에 보관했다. 강릉을 떠나 대관령을 넘어 서울 시가로 가면서 지은 〈유대관령망친정 踰大關嶺望親庭〉과 서울에서 어머니를 생각하면서 지은 〈사친 思親〉 등의 시가 유명하다.
|
Re:어숭이를 아시나요? 질문과 답변
1. 어숭이라는 꽃에 대하여 신사임당 초충도병에 그려진 신사임당의 초충도는 지본채색으로서 종이에 채색하여 그린 그림입니다.
8폭 제목은 조금씩 다르게 표현합니다 0 오이와 메뚜기, 물봉선화와 쇠똥벌레, 수박과 여치, 가지와 범의 땅개, 맨드라미와 개구리, 가선화와 풀거미, 봉선화와 잠자리, 원추리와 벌 0 가지와 방아개비, 수박과들쥐, 어숭이와 개구리, 산차조기와 사마귀, 원추리와 개구리, 양귀비와 도마뱀, 오이와 개구리 0 오이와 메뚜기, 추규(접시꽃, 해바라기)와 잠자리, 수박과 여치, 가지와 사마귀, 맨드라미와 개구리, 양귀비와 풀거미, 봉숭아와 잠자리, 원추리와 벌 등입니다 어숭이에 대해선 알려진 게 거의 없다시피 하네요.
다만, 추규(접시꽃, 해바라기)라고 설명이 되어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접시꽃을 부르는 명칭이 각 지방마다 달랐다고 합니다.
서울지방에서는 어숭화, 평안도에서는 둑두화, 삼남지방에서는 접시꽃이라 불렀다고 합니다. 또 촉규화(蜀葵花)라고도 불렀는데, 신라시대 최치원이 촉규화에 대한 시를 지은 것으로 보아 재배된 역사가 무척 오랜 꽃으로 보입니다. 사전을 찿아보면 규<葵>는 해바라기로 나옵니다. <葵心>은 해바라기의 마음일텐데 사실 이때 규<葵>는 해바라기가 아니라 흔히 식용약초로 많이 먹는 아욱, 꽃으로는 아욱과의 접시꽃을 가리킵니다.
2. 원추리 에 대하여 약 15종(種)이 있으며 유럽 중부에서 아시아 동부에 걸쳐 분포합니다. 큰원추리, 각시원추리, 애기원추리, 노랑원추리 등 종류도 많습니다.
우리말로는 넘나물. 산과 절 주변에 흔히 보이는 백합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로 종모양의 주황색꽃이 피며 이름도 ‘황화채’ ‘모애초’ 꽃봉오리는 ‘금침채’ 라 합니다.
모애초란 가을에 말라버린 잎들이 겨울엔 땅속의 씨를 덮어주고 썩어서 거름이 되니 엄마 사랑 같은 풀이라는 뜻이며 약으로쓸때 이름은 훤초. 훤(萱)은 ‘잊을 훤’에서 비롯된 것. 원추리꽃차는 은은한 향기가 일품인데 황홀해져서 근심을 잊게된다는 것입니다. cafe.daum.net/ewclub/7lnW/65 환경과 들꽃연구회 |
황촉규화
황촉규화 : 중국 원산의 아욱과의 한해살이풀로 꽃은 8∼9월에 핀다. 가운데 부분이 짙은
자주색을 띠는 노란 색으로 피고 꽃잎은 5장으로 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뿌리는 점액이 많기 때문에 종이를 만드는 데 중요한 풀 이 된다. 우리 말 이름은 닥풀이다.
황촉규화
흥덕사지에 갔다가
막 피어난 연노랑의 여리디 여린 꽃
황촉규화를 만났습니다
신사임당의 여덟 폭 병풍
초충도 속에
고운 자태로 수줍게 웃고 있던 꽃입니다
순백의 한지 펼쳐 놓고
종일토록 꽃을 그리시던
당신이 하신 말씀이 생각났습니다
그리움이 향기로운 건
그리운 사람이 꽃으로 피기 때문이라던
글.사진 - 백승훈 시인
blog.joins.com/media/folderListSlide.asp?uid=pojj01122002&folder=6&list_i..
'美學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후기의 문인화 (0) | 2017.03.18 |
---|---|
송광사가 품은 동양의 보물 / YTN 사이언스 (0) | 2017.03.08 |
일본화(日本畵)가 프랑스 인상파화가들에게 미친 영향 (0) | 2017.03.03 |
일본회화(日本繪畵) (0) | 2017.03.03 |
[전인아개인전_2017 색色, 동動] - 현대미술의 화두는 몸, 붓 대신 손으로 그리다 (0) | 2017.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