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학자 이성희 '이미지의 모험' <37> 공개 '중산출유도': 울분과 익살을 가로지르는 귀신들의 카니발
2017. 3. 23. 04:09ㆍ美學 이야기
龔開(1222—1304), 중산출유도(中山出遊圖)
宋末元初 长卷 纸本水墨 纵32.8厘米 横169.5厘米 (美)弗利尔美术馆藏
미학자 이성희 '이미지의 모험' <37> 공개 '중산출유도': 울분과 익살을 가로지르는 귀신들의 카니발
'물러가라 元 악귀야' 나라 잃은 백성의 비분강개와 해학
- 국제신문
- 디지털뉴스부 inews@kookje.co.kr
- | 입력 : 2015-12-22 18:54:06
- | 본지 20면
송나라가 망하고 원나라가 들어서던 시기에 살았던 중국 화가 공개(1222~1307)가 그린 두루마기 그림 '중산출유도(中山出遊圖)'. '귀신은 귀신이되 귀신 잡은 귀신'인 종규를 중심으로 귀신들이 행렬하는 모습을 그렸다. - 남송 대신의 막료로 전쟁에 참여 - 망국 유민으로 낙향, 그림 그려 - 귀신 잡는 귀신 종규 앞장서고 - 누이 가마·귀신 뒤따르는 행진 - 요란하면서도 익살스럽다 - 혼례행렬인지 의심스럽지만 - 인물들 시선과 리듬 역동적 귀신 시로 유명한 당나라 이하(李賀)의 싯구, "남산은 어찌 그리 슬픈가/ 귀신 비 쓸쓸히 풀 위에 내린다"에는 을씨년스럽고 처량한 귀곡성이 들린다. 그러나 송원교체기를 산 공개(龔開, 1222∼1307)의 귀신 그림에는 요란하면서도 약간은 익살스러운 행진곡이 들린다. 그의 두루마리 그림 '중산출유도(中山出游圖)'의 행렬을 보라. 그들은 우리 앞으로 시끌벅적한 퍼레이드를 벌리며 지나간다. 그러나 경쾌한 행진곡은 한순간에 음침한 장송곡으로 바뀔지 모른다. 귀신들이 괴성을 지르고 썩은 내를 풍기며 우리에게 와락 달려든다면 어쩔 것인가? 그런데 그래도 별로 무서울 것 같지 않은 묘한 귀신들의 사육제다. 공개는 남송 말기 대신인 이정지의 막료로서 원(元)과의 전쟁에 참여했다. 남송이 결국 원에 망하자 그는 울분 속에 낙향하여 그림을 그리면서 궁핍한 삶을 살아갔다. 이 망국의 유민은 어쩌면 사람으로서 삶을 끝내버렸던 것이었을까? 그는 귀신을 그리기 시작했다. 그런데 '중산출유도'는 귀신은 귀신이되 귀신 잡은 귀신인 종규(鐘馗)의 그림이다. 그림의 오른쪽에 온통 털로 덮인 크고 시커먼 얼굴, 왕방울 눈에 돼지코를 하고 가마에 앉은 자가 바로 퇴마사 종규다. ■귀신 잡는 귀신, 종규의 등장 송나라는 성리학의 나라다. 동아시아 중세를 지배한 그 합리주의 사상은 귀신을 음양의 현상으로 해소해 버린다. 그러나 그러한 철학적 해명은 민초의 삶에서 만나는 귀신 문제를 전혀 해결해 주지 못한다. 민초의 상상력 속에서 귀신은 삶 속에 실존하는 두렵고도 신비로운 힘이다. 귀신은 원한을 품거나 애정을 드러내면서 삶에 끊임없이 관여한다. 밤이 되면 세상은 온갖 귀신들로 들끓는다. 그러다가 도도산 복숭아나무 위의 금계(金鷄)가 새벽을 알리면 천하의 밤을 떠돌던 귀신은 모두 귀문(鬼門)을 통해 귀신의 세계로 들어간다. 이때 신도와 울루라는 수문장이 지키고 있다가 인간에게 해코지 한 놈들만 찍어내 호랑이 밥으로 던져버린다. 신도와 울루는 귀신 잡는 귀신인 것이다. 그런데 신도와 울루의 검문이 썩 믿음직하지는 못했던 모양이다. 민초의 상상력은 기어코 귀신 잡은 귀신의 새로운 캐릭터를 만들어낸다. 그리하여 종규가 등장한다. 종규는 당 현종의 꿈에 나타나 악귀를 퇴치하고 황제의 병을 낫게 함으로써 일약 새로운 스타로 떠오른다. 현종은 당시 화성(畵聖)으로 불리던 오도자에게 꿈에 본 형상을 그리게 하였다. 그리하여 상상계의 무중력을 떠돌던 종규는 비로소 인간 세계의 형상을 갖게 되었다. 이후 종규의 형상은 황제가 신하에게 하사하는 신년 선물의 필수 품목이 되고 악귀를 쫓고자 하는 민가의 대문마다에 걸리게 된다. 그런데 '중산출유도'에서 종규의 나들이는 그 정체가 좀 모호하다. 그것은 두 번째 가마에 있는 종규의 누이 때문이다. 험상궂은 종규에게는 아름다운 누이가 있었다. 그 누이와 함께 나오는 도상은 누이를 시집보내는 '종규가매도(鐘馗嫁妹圖)'라는 제목이 붙는다. 그렇지 않은 종규의 나들이는 대개 귀신 사냥이다. 화제가 '중산출유도'인 것을 보면 화가는 아마 귀신 사냥을 그리려 했던 것 같다. 그러나 긴 두루마리의 구성을 위해 종규의 여동생을 그려 넣는 순간 이미지들은 화가의 기획 의도를 조금씩 벗어나기 시작한다. ■'비분강개'에 끼어든 익살 '중산출유도'의 등장인물은 크게 세 그룹으로 나누어진다. 첫째 그룹은 종규를 가마에 태우고 앞장서 가는 그룹이다. 두 번째는 종규 여동생과 시녀들의 그룹이다. 세 번째 그룹은 짐을 들고 가는 졸개 귀신들의 행렬이다. 세 그룹은 시선에 의해 절묘하게 서로 이어진다. 뒤돌아보는 종규의 시선을 누이가 받고, 누이 그룹에서 고양이를 안은 한 시녀가 뒤를 돌아봄으로써 셋째 그룹과 이어진다. 마치 눈짓에 의해 장면을 하나씩 만들어가는 환술처럼. 첫 번째 그룹의 시선 가운데 정면을 응시하는 시선들이 있다. 우리에게 할 말이 있다는 표시다. 그 할 말이란 곧 비분강개 속에서 귀신을 그리는 화가가 하고 싶은 말이리라. 그것은 악귀 같은 이민족, 원 왕조의 퇴출이 아니겠는가. 그리고 정면응시는 우리를 그림 속으로 끌어들이는 장치이기도 하다. 특히 유일하게 대열을 이탈하여 그림과 우리가 만나는 접선까지 내려와 우리를 바라보는 까만 도깨비는 우리를 그 어두운 세계로 유혹하는 호객행위를 하고 있다. 그런데 도깨비의 모습이 익살스럽다. 여기서부터 화가가 기획했을 비분강개에는 해학적 균열이 발생한다. 퍼레이드가 악귀 사냥이 아니라 혼례 행렬이 아닌지 의심하게 만드는 누이 그룹, 저 눈 아래가 검은 기이한 여인들은 우리를 밤과 꿈의 판타지로 이끄는 장치이다. 누이의 모자는 보름달 같으며, 가마 뒤의 시녀는 고양이를 안고 있고 그 뒤의 시녀는 베개를 들고 있다. 보름달과 고양이와 베개는 모두 밤과 꿈과 몽상의 표지이다. 등장인물들의 눈이 모두 왕방울 같은 이유는 요마(妖魔)들이라서보다 지금이 밤이기 때문일 것이다. 이곳은 밤의 세계다. 세 번째 그룹은 풍부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가마가 만드는 횡선이 주를 이루는 앞부분에 비해 여기는 졸개들이 들고 있는 장대의 횡선과 사선이 화면에 역동적인 리듬을 만든다. 장대에 매달린 작고 검은 것들은 아마 포획된 악귀들 같은데 그 몰골들이 가련하기도 하고 우스꽝스럽기도 하다. 졸개들이 든 돗자리, 봇짐, 커다란 호리병박(아마 술병?), 광주리 등은 금방이라도 흥겨운 잔치판을 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앞선 행렬의 의도가 무엇이든 간에 이곳은 카니발이다. ■잡귀 잡신은 물알로 만복은 이리로 이 카니발에는 미묘한 대립들이 숨어 있다. 종규는 그 어원이 '방망이'이며 또한 장승의 기원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방망이 종규는 남근의 상징성을 가진다. 그 상징성은 졸개가 들고 있는 칼에 의해 강화된다. 반면 보름달 누이는 뒤의 호리병박과 의미상 이어지는데, 호리병박은 여체 혹은 여음의 오래된 상징이다. 공교롭게도 칼과 호리병박을 든 귀신 둘은 모두 정면을 응시하면서 그 상징성을 우리에게 강하게 호소하고 있다. 또 하나 재미있는 대립 이미지가 있다. 세 번째 그룹 호리병박 바로 뒤를 자세히 보면, 귀신(도깨비) 뿔을 잡고 있는 익살스러운 요물을 발견할 수 있다. 그것은 선묘로만 그려졌는데 잘 보면 꼬리가 여러 개인 구미호다. 구미호는 크기가 유사한 첫 그룹의 까만 도깨비와 흑백 대비를 이루는 해학적 요소이다. 실상 까만 도깨비가 종규와 함께 남성-남근의 영역을 이룬다면, 구미호는 호리병박과 함께 여성-여음의 영역을 이룬다. 이러한 이미지의 재담들이 그림에 다양한 결을 부여하면서 질펀한 이미지의 카니발을 연다. 원이라는 몽골 악귀를 토벌하고자 하는 준엄한 퇴마의 그림에 이러한 재담과 익 살을 슬쩍 넣을 줄 알았던 공개는 비분강개하는 지사이면서도 분명 유머를 아는 사람이었음이 틀림없다. 귀신 잡는 귀신 종규를 만난 김에 우리도 한번 외쳐볼 일이다. "훠어이 훠어이 잡귀야 물러가라." 묵은해를 떠나보내면서.
cafe.daum.net/kis0901/RdoR/163 오디오와 컴퓨터 钱谷(1508-1578) 锺馗移家图(局部) 北京华夏兰亭书画院 官方网站
image.baidu.com - 查看全部7,499张图片 |
'美學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간특집기획 - 한국의 美 - 최고의 예술품을 찾아서 (1) 좌담회 (0) | 2017.03.25 |
---|---|
미학자 이성희 '이미지의 모험' <36> 박병제 '자갈치의 오후': 삶의 성화(聖畵)가 되는 푸른 그늘의 여인들 (0) | 2017.03.23 |
미학자 이성희 '이미지의 모험' <38> 오창석 '세조청공도': 천지의 새 기운을 담는 방 안의 자연 (0) | 2017.03.23 |
조선 후기의 문인화 (0) | 2017.03.18 |
송광사가 품은 동양의 보물 / YTN 사이언스 (0) | 2017.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