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석(寒水石), 편뇌(片腦), 해아향차(孩兒香茶)

2017. 4. 27. 18:55향 이야기


한약재 - 한수석(寒水石)의 효능

           

한수석(寒水石)


K-2 | 2005.05.30 10:17 수정됨 최초등록일 2004-11-27 20:21 최종수정일 2005-05-30 10:17 | 조회 660 |



    답변 목록
    • 답변채택된 답변

         그 성질이 매우 차갑고, 맛이 맵고 짜기 때문에 신장에 작용하여 혈의 순활을 원활히 하는 효능이 있으며, 열을 내리게 하고 혈과 기가 잘 운동하게 하면서 종기를 없애는 효능이 있다. 때때로 발병하는 열증이나 수종,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증상, 치통이 있을 때 이용되며, 예전에는 석고를 한수석으로 이용했으나 명대에 이르러서는 해석한수석으로 이용했다는 기록이 있다.

    • | 2004.11.27                                                              




    방해석에 대해 모든 걸 알려주세요!!
    용도같은 거,,,


    보검바라기♥ | 2017.03.28 22:29 | 조회 62 |


    • 답변

      방해석

      (方解石, calcite)


         천연 탄산칼슘(CaCO3) 광물 중 가장 흔한 형태. 방해석이란 명칭은 1845년 이후에야 사용되기 시작했지만 한수석으로 오래전부터 알려져 있었고, 투명한 변종인 빙주석은 상당히 많이 연구되었다. 아름다운 결정형과 많은 변종이 있는 것으로 유명하며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방해석


         방해석(方解石;모 방, 흩어질 해, Calcite)은 탄산염 광물의 일종으로 탄산칼슘(CaCO3)의 가장 안정적인 동질이상이다. 다른 동질이상은 아라고나이트와 바테라이트(vaterite)가 있다. 아라고나이트는 470 °C에서 방해석으로 바뀌며 바테라이트는 덜 안정하다. 방해석은 퇴적암, 변성암에 널리 분포한다



      방해석

      (方解石, calcite)


      화학성분이 CaCO₃인 백색 또는 무색의 탄산염 광물 | 방해석은 화학성분이 CaCO3인 백색 또는 무색의 탄산염 광물로, 같은 화학식을 갖는 동질이상체(polymorph) 중에서 가장 안정한 형태이다


      | 2017.03.28                                                              



    ㅡ 다음 Tip 자료





    편-뇌 [발음 : 편ː뇌/편ː눼]  

    명사

    <한의학> [같은 말] 용뇌(2. 용뇌수로부터 얻은 결정체).

      관련 어휘

      연관단어

      같은말 용뇌(龍腦)


      krdic.naver.com/detail.nhn?docid=40386800   네이버 국어사전






      편뇌 [] 바로저장 단어장선택

      • 향의 하나  camphor
      발음 [편:뇌/편:눼]
      형태분석 []

      뜻/문법

      명사

      [한의] 향의 하나. 용뇌수()에서 나오는 무색투명한 결정체 알코올 에테르 녹지 에는 녹지 않는다. 향료 원료 쓰거나 식중독, 곽란 따위 약재 쓴다.

      유의어
      빙뇌(氷腦),빙편(氷片)(2),용뇌향(龍腦香),용향(龍香)

      관련어

      유의어 4건
      • 용향 향의 하나
      • 용뇌향 용뇌수에서 나오는 무색투명 결정체
      • 빙편 얼음덩이에서 부서져 나온 작은 조각
      • 빙뇌 향의 하나


      Daum App Daum 사전앱을 다운로드하세요!








    •    /   네이버 한자사전
      • 해아다
      • [장단음] 해아-다     
      • 어린아이 해
      • 아이 아, 다시 난 이 예
      • 차 다, 차 차

        중국()에서 나는 약재()의 한 가지. 차()를 대통에 넣고 꼭 막아 진흙 속에 두어 해 동안 묻어 두었다가 꺼내어 볶아서 씀




      해아-다  / 네이버 국어사전

      명사

      <한의학> 아다구의 줄기졸여서 만든 . 내리고, ()을 삭이며, 지혈()하는쓴다.





      차생활문화대전

      임원십육지

      [ ]

         서유구( 찬, 1827). 일상생활에 필요한 일을 『증보산림경제』 등 우리나라의 방대한 문헌과 중국의 방대한 문헌 등을 동원하여 편찬하였다. 이 책과 『산림경제』에는 인용문헌이 낱낱이 기록되어 있다. 113권의 대백과전서이다. 차에는 아래와 같은 종류가 수록되어 있다.
      차() : 총론, 뇌차(), 족미차(), 해아향차(), 청천백석차(), 누영춘(), 구기차(), 국화차(), 기국차(杞菊), 강죽차(), 강귤차(), 유자차(), 포도차(), 당귀차(), 순차(), 녹두차(), 백엽차()


      출처

      차생활문화대전, 정동효, 윤백현, 이영희, 2012. 7. 10., 홍익재표제어 전체보기

      [네이버 지식백과] 임원십육지 [林園十六志] (차생활문화대전, 2012. 7. 10., 홍익재)




      孩兒香茶 

      : 해아향차는 죽통차, 고차(키 6m의 야생고차수 잎) 가루에 용뇌, 사향, 박하, 오배자 등을 섞어 만든 향차병(香茶餠)의 일종이다. 

      - 欽定四庫全書
      香乘卷二十
      明 周嘉冑 撰
        香屬 香餅   香珠 香煤 香藥 香灰  香茶
         燒香用香餅

      孩兒香茶
      孩兒香 一觔  高茶末 三兩  麝香 四公
      片腦 二錢五分   或糠米者韶腦不用   薄荷霜  五錢

      川白藥煎 一兩  研極細


       右六件一處和勻用熟  白糯米 一升半  淘洗令淨入
       鍋內放冷 水高四指煮作糕 糜取出十分冷 定於磁
       盆內 揉和成劑 卻於平石砧上杵千餘轉以 多爲妙
       然後將花脫 酒油少許 入劑作餅 於潔淨透風 篩子
       頓放陰幹 貯磁器內 青紙襯裏密封


         香茶一
      上等細茶 一觔    片腦 半兩  檀香 三兩
      沉香 一兩   砂 三兩  舊龍涎餅  一兩
       右爲細末  以甘草半觔 剉水一碗半 煎取淨汁一碗
       入麝香米三錢  和勻隨意作餅


         香茶二
      龍腦    麝香雪梨制 百藥煎
      揀草    寒水石 各三錢   高茶  一觔
      硼砂 一錢  白荳蔻 二錢
       右同碾細末 以熬過熟 糯米粥淨 布巾絞取 濃汁勻
       和 石上杵千餘方 脫花樣




      스크랩] 조선시대 차의종류| 꽃차,한방차,다과

      복된남성 | 조회 56 |추천 0 | 2007.10.21. 20:58


       

      <조선시대 차의 종류>

      중국의 수입차(明淸)

      ① 용단차(龍團茶)
      ㉠ 송나라 때 용단, 봉단차에서 유래된 차이름으로 명청시대에도 만들어진 떡차이다.

       이름만 같지 차는 송나라 때의 차와 같지 않음.

       


      ㉡ 산지 - 복건성 건구현 일대에서 생산(북원공다소)
      ㉢ 명칭 - 송나라 때 이름, 떡차의 대명사처럼 됨
      ㉣ 역사 - 송대 정위가 시작하고 채양이 완성
      고려때부터 수입 : 대각국사, 문종, 예종
      조선 : 서거정(사가집), 김시습(매월당집)
      ㉤ 일화 - 초의선사(동다송) : 차의 역사
      이상적(은송당답) : 용단 승설기
      김정희(완당전집) : 용단승설, 서간문, 지리산차
      범해각안(범해시초) :다가(茶歌), 덕용산 운흥사, 용단차



      ② 봉단차(鳳團茶)
      ㉠ 송나라 때 봉단차에서 유래된 차이름
      ㉡ 산지 - 복건성 건구현 북원공다소에서 생산
      ㉢ 명칭 - 송대 어용차, 떡차의 대명사
      ㉣ 역사 - 송대에 만들어짐
      고려 때 수입.
      조선 - 서거정(사가집)
      초의선사(초의시고)
      정총(복제유고)



      ③ 건안차(建安茶)
      ㉠ 복건성 건안. 건구현 일대에서 생산되는 차
      ㉡ 산지 - 복건성
      ㉢ 명칭 - 중국차, 또는 복건성차의 대명사, 건차, 조선인이 부르는 명칭
      ㉣ 역사 - 송대에 유명, 용봉단차로 명성을 얻음.
      조선 - 완당전집(김정희) : 이유여가 연경에서 귀국



      ④ 용정차(龍井茶)
      ㉠ 절강성 항주시 용정에서 발원된 차이름으로 녹차이다. 잎차로 모양이 납작한 형태로 만듬.
      ㉡ 산지 - 항주시, 사봉용정, 서호용정, 영은용정
      ㉢ 명칭 - 항주특산, 갈홍이 신설술을 닦던 사자봉 아래 용정에서 따온 이름
      ㉣ 역사 - 잎차, 명차로 명성을 얻음.
      중국을 대표하는 차 가운데 하나
      조선 - 완당전집 - 만허스님(쌍계사)
      초의시고 - 운려도인운 : 시회 : 용정차.
      영천의 샘물로 용정차 달임.

      ⑤ 보이차(普洱茶)
      ㉠ 운남성 보이현에서 처음으로 만들어진 떡차로 지명을 따서 붙인 차이름. 운남성의 명차,

      오래 묵을수록 좋은 차
      ㉡ 산지 - 운남성, 보이현, 서쌍판납주, 맹해다창
      ㉢ 명칭 - 보이현에서 유래, 칠자병차, 전차, 방차, 타차, 산차가 있는데 모두 보이차이다.
      ㉣ 역사 - 한나라 때 부터 생산
      명·청대에 명성을 얻음. 수출 - 몽골.
      특히 청대에 왕실의 어용차가 됨.
      조선 - 홍현주 - 섣달 눈물로 차달이기 : 보이차
      홍순학 - 연행가 - 북경차상점 풍경



      ⑥ 자순차(紫筍茶)
      ㉠ 중국 당대 천하 제1의 차. 차잎의 빛깔이 자주색이 나는 죽순과 같다고 해서 생긴 차이름.
      ㉡ 산지 - 고저자순 : 절강성 장흥현.
      의흥자순 : 강소성, 의흥현, 양선차
      몽정자순 : 사천성, 명산현
      ㉢ 명칭 - 당나라 때 생긴 차이름. 잎차의 대명사.
      ㉣ 역사 - 육우 다경에 등장
      조선 - 서유구(1764~1845) 임원 16지 차재배



      ⑦ 황 차(黃 茶)
      ㉠ 중국의 8대 다류 가운데 하나로 군산은침, 막간황아등 명차가 있다.

       차의 빛깔이 누렇게 되어서 붙인 이름.
      ㉡ 산지 - 군산은침 - 호남성 동정호의 군산도
      막간황아 - 절강성 막간산
      ㉢ 명칭 - 반발효차로서 누렇게 뜬 차
      ㉣ 역사 - 명대에 주로 발전, 명차로 됨.
      조선 - 대량 수입, 염료로 사용(빙허각이씨- 규합총서)
      동다기 - 전의이, 본문 12장



      ⑧ 향편차(香片茶)
      ㉠ 꽃차 또는 화차라고 불리는 차. 자스민차가 대표적인 향편차이다.
      ㉡ 산지 - 쟈스민차 - 복건성
      계화차 - 광서성 계림.
      장미차 - 복건성
      국화차 - 복건성
      ㉢ 명칭 - 꽃의 향기를 흡착시킴.
      꽃의 이름을 붙여서 부름.
      ㉣ 역사 - 명나라 때 성행
      조선 - 대량 수입.
      최영년 - 해동죽지 : 조선 생산

       



      조선의 대용차

      ① 백산차(白山茶)
      ㉠ 백두산에서 생산되는 차. 철쭉과나 석남과의 나무의 잎을 따서 만듬. 청나라 때(건륭) 어용차로 사용.
      ㉡ 산지 - 백두산 인근 산간 마을. 함경도, 길주, 무산, 일본 북해도, 캄차카 반도, 만주, 표고 1500m이상 고산지대.
      ㉢ 명칭 - 백산차 - 백두산에서 생산되기 때문에 생김.
      석남차 - 석남과 식물
      안춘향 - 약명으로 부름(길림외기)
      ㉣ 역사 - 기원은 미상, 고조선 사람들이 제천의식에 사용했다고 함.
      조선불교통사(이능화) - 청나라 어용차
      은송당집(이상적) - 백산다가(박경로)
      ㉤ 일화 - 니오라쩨(D.G.Nioradze). 폴란드
      [시베리아 제민족의 원시종교] : 야쿠르족의 샤아먼 백산차를 향처럼 피웠다



      ② 해아차(孩兒茶)
      ㉠ 살구씨로 만든 차. 약으로 많이 사용. 동의 보감에 처방전이 실림
      ㉡ 산지 - 미상
      ㉢ 효능 - 혀, 처방, 해아차(황백산)
      후음, 탈항, 해아차(해아산)
      제창, 천포장, 해아차(서성복전환)
      제창, 천포창, 해아차(천금산)



      ③ 국화차(菊花茶)
      ㉠ 국화꽃으로 만든 차, 약용으로 사용, 동의보감에 처방전이 실림.
      ㉡ 산지 - 미상, 전국
      ㉢ 효능 - 머리, 두풍, 국화차(국화차조산)
      면안, 의막, 국화차(국화산)
      수부, 논수품, 국화차(국화수) : 장수

      ④ 인삼차(人蔘茶)
      ㉠ 인삼 뿌리로 만든 차, 약용 또는 보신용으로 많이 마심.
      ㉡ 산지 - 개성, 전국
      ㉢ 효능 - 해진, 거담, 인삼차(인삼반하환)
      제창, 대풍창, 인삼차(가미고삼환)
      ㉣ 역사 - 중종실록 34년, 인삼차, 사신 대접
      선조실록 31년 6월 인삼차, 양호면담.


      ⑤ 천궁차(川芎茶)
      ㉠ 천궁의 뿌리로 만든 차, 약용
      ㉡ 산지 - 미상, 전국
      ㉢ 효능 - 머리, 두풍, 천궁차(천궁차 조산)
      머리, 두목불청리, 천궁차(천궁환)
      머리, 두목불청리, 천궁차(천궁산)
      머리, 편두통, 천궁차(천궁산)



      ⑥ 구기차(拘杞茶)
      ㉠ 구기자 열매로 만든 차, 약용
      ㉡ 산지 - 미상, 진도
      ㉢ 효능 - 산림경제(홍만선) : 구기차, 보익, 보안



      ⑦ 기국차(杞菊茶)
      ㉠ 구기자와 국화꽃을 섞어서 만든 차
      ㉡ 제조법 - 들국화 1냥,구기차 4냥,녹차 5냥,참깨 반근
      곱게 갈아서 소금간을 하여 끓는물에 타서 마심.
      ㉢ 문헌 - 산림경제 권 2, 다탕, 기국차



      ⑧ 우유차(牛乳茶)
      ㉠ 우유를 차처럼 마심.
      ㉡ 문헌 - 철종실록 권 15, 14년 5월 : 우유차
      ㉢ 이용법 - 다른 대용차에 타서 많이 마심.


      ⑨ 오과차(五果茶)
      ㉠ 오갈피 나무로 만든 차
      ㉡ 문헌 - 아언각비(정약용) 권 1, 다조 : 오과차
      ㉢ 이용법 - 다른 대용차와 동일하게 만들어 마심.



      ⑩ 송절차(松節茶)
      ㉠ 소나무 순과 껍질을 벗겨 만든 차
      ㉡ 문헌 - 아언각비, 권 1, 다조
      ㉢ 이용법 - 대용차로 만들어 마심. 송차,
      해남, 강진 일대에서 성행



      ⑪ 상지차(桑枝茶)
      ㉠ 뽕나무의 어린 잎이나 뿌리의 껍질로 만든 차
      ㉡ 산지 - 전국
      ㉢ 문헌 - 아언각비, 권 1, 다조
      ㉣ 이용법 - 대용차로 이용, 고혈압에 효과



      ⑫ 귤피차(橘皮茶)
      ㉠ 귤껍질을 말려서 차로 끓여 마심.
      ㉡ 산지 - 제주도
      ㉢ 문헌 - 아언각비 권1, 다조
      조선불교통사, 귤화차
      ㉣ 효능 - 감기, 기침에 효과



      ⑬ 기타
      ㉠ 대용차로 만들어 마신 약재가 많음.
      ㉡ 생강차, 모과차, 유자차, 감잎차, 당귀차, 두충자, 결명자차,
      보리차, 옥수수차.


       관련   

         cafe.daum.net/9942221/8IJw/309  부부사이





      한국전통지식포탈

      해아다(孩兒茶)C

      주요내용

      약재 상세정보 주요내용
      학명Thea sinensis L.
      라틴명Theae Folium
      일반명차나무
      과명차나무과(Theaceae)
      약용부위어린잎
      효능

      수습(收濕)

      정체되어 있거나 새로 생긴 습(濕)을 거두어 드리는 생리작용 혹은 치료 방법임.

      사열청신(瀉熱淸神)

      사열(瀉熱)하여 마음을 안정시키는 효능임

      생기(生肌)

      기육(肌肉)이 생기게 하는 효능임

      소식(消食)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소식하기(消食下氣)

      음식을 소화시키고 하기(下氣)하는 효능임

      양위지리(養胃止痢)

      위기(衛氣)를 증강시켜 이질(痢疾)을 멎게 하는 효능임

      이뇨(利尿)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제번갈(除煩渴)

      번갈(煩渴)을 제거하는 효능임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청두목(淸頭目)

      머리와 눈을 맑게 해주는 효능임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화담(化痰)

      담(痰)을 삭이는 방법을 말함

      주치병증

      각혈(咯血)

      피를 뱉어 내는 병증. [적수현주(赤水玄珠)] 제9권에서는 각혈은 목구멍 안에서 항상 피비린내가 나며 한번 각혈이 나오면 선홍색이거나 혹은 자색인 것이 이것이며 또한 가는 조각 같은 것도 역시 이것이다.(咯血者, 喉中常有血腥, 一咯血卽出, 或鮮或紫者是也, 又如細屑者亦是也)라고 하였다.

      구창(口瘡)

      입안이 허는 병증. 상초실열(上焦實熱), 중초허한(中焦虛寒), 하초허열(下焦虛熱)인 경우에 생김. 구강내 점막상에 회백색이나 담황색으로 콩알 만한게 생겨 짓무르고, 주위가 붉고 열감이 있으며, 국부가 따갑고 아프며, 반복되면 식욕이 없고 음식을 삼킬 수 없음.

      담열해수(痰熱咳嗽)

      몸 안의 열사(熱邪)가 담(痰)과 서로 맞붙어 생긴 담열증(痰熱證)으로 기침이 나오는 것.

      변혈(便血)

      혈변(血便), 항문출혈. 장위(腸胃)가 화열(火熱)을 감수해 훈증되거나, 한열조습사(寒熱燥濕邪)로 그 기(氣)가 끓어오르거나, 또는 음식부절제나 힘을 과도하게 써서 음락(陰絡)이 손상되어 혈이 손상된 부위에서 막혀 경맥 밖으로 새어 대소장에 스며들었다가 외부로 배출됨. 항문에서의 거리에 따라 근혈(近血)과 원혈(遠血)로 나눔. ...

      아감(牙疳)

      감질(疳疾)의 열독(熱毒)이 위(胃)를 공격하여 발생하는 병증. 잇몸이 빨갛게 붓고 헐면서 아프며 썩은 냄새가 나고 피고름이 흐르는 병증이다. 병세의 변화가 빠르며, 이는 감식(疳蝕)이 심한 것이다. 치아는 뼈의 남아 도는 기운을 보내 저장하는 곳(골지식기(骨之食氣))이며, 치은(齒齦)은 위(胃)의 낙(絡)에 속하므로, 독화(毒...

      옹종(癰腫)

      기혈(氣血)이 사독(邪毒)을 받아 옹색(壅塞)하여 통하지 않음으로써 국부적으로 일어나는 종창(腫脹)의 증상. [소문(素問)] <생기통천론(生氣通天論)>에서 "영기(營氣)가 순조롭게 은행(運行)되지 못하여 육리(肉理)에 역(逆)하면 이에 옹종(癰腫)이 생깁니다.(營氣不從, 逆於肉理, 乃生癰腫)"라고 하였고, [영추(靈樞)] <옹저...

      외상출혈(外傷出血)

      외상(外傷)으로 인해 출혈이 나는 것.

      요혈(尿血)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것. 방광출혈, 신장출혈 등. 열이 하초(下焦)에 있어서 생김. 대개 신음부족(腎陰不足)과 심간(心肝)의 화왕(火旺)에 의해, 그 열(熱)이 소장(小腸)으로 옮거나, 또는 비신(脾腎)이 함께 손상(損傷)되어, 혈(血)을 통섭(統攝)못해서 일어난다. 음허화왕(陰虛火旺)이면 소변이 붉고, 요부(腰部)가 묵직...

      치창(痔瘡)

      군살이 몸 밖으로 비집고 나오는 병. [소문(素問)] <생기통천론(生氣通天論)>에 나옴. [소문(素問)] <생기통천론(生氣通天論)>에서 “지나치게 배불리 먹으면 힘줄이나 맥줄기가 이리저리 풀려 장벽(腸澼)을 앓고, 치질(痔疾)도 된다.(因而飽食, 筋脈橫解, 腸癖爲痔.)”라고 하였다. 옛날 치(痔)에 대한 인식은 2가지가 있었다....

      토혈(吐血)

      구역성(嘔逆聲)이 없이 구강으로 대량 출혈하는 병증

      혈붕(血崩)

      월경 주기가 아닌데도 갑자기 음도(陰道)에서 대량의 출혈이 있는 병증. [부인양방대전(婦人良方大全)] 제1권에 나옴. 붕중(崩中), 혈산붕(血山崩), 혈붕부지(血崩不止), 폭붕(暴崩)이라고도 함. 지나친 과로로 기(氣)가 허하여 경혈(經血)을 섭제(攝制)하지 못하거나 매우 화를 내서 간(肝)을 상하여 간이 혈을 저장하지 못하기 ...

      성미고감(苦甘), 고삽(苦澁), 양(凉)
      작용부위심(心); 위(胃); 폐(肺)

      분석정보

      약재 상세정보 분석정보
      IPCA61K 36/82; A61K 127/00
      키워드해아다(孩兒茶); 다(茶); 명(茗); 차나무
      관련 화합물 (총 2건) Syringaresinol; Myricetin-3-O-beta-D-galactopyranoside
      관련논문

      발행정보

      약재 상세정보 발행정보
      DB공개일자2007. 12. 6
      TKOI [?]

      한국전통지식포탈의 개별 콘텐트에 부여되는 객체식별자(Traditional Knowledge Object Identifier)로써, 해당 콘텐츠에 대한 항구적인 접근 경로에 활용됩니다.

      형식:
      http://tkoi.koreantk.com/[TKOI]
      예시:
      http://tkoi.koreantk.com/TKOI:KTKP-TSS-0000045749
      TKOI:KTKP-MED-0000080694
      DOIdoi: 10.20929/KTKP.MED.0000080694







      한국전통지식포탈

      Syringaresinol

      [화합물]

      구조정보

      화합물 상세정보 주요내용
      O O HO O O O OH O
      drag out MOL or RXN file
      화합물 이름Syringaresinol
      화학식C22H26O8
      분자량418.4477
      녹는점174-177
      녹는점 용매Acetone/benzene
      분류Lignin
      HNMR3.11(2H, m, H1,5), 3.86(12H, s), 3.94(2H, dd, 9,4, H4,8), 4.30(2H, dd, 8,9, H4,8), 4.76(2H, d, 5, H2,6), 5.83(2H, s, OH), 6.59(4H, s, Ar-H)
      HNMR MHz100
      HNMR 용매CDCl3
      참고문헌· S. Yahara et al., Chem. Pharm. Bull., 39, 8, 2024, 1991
      · H. Nimz et al., Chem. Ber., 98, 538, 1965
      · LH. Briggs et al., J. Chem. Soc.(C), 3042, 1968
      · MF. Seikel et al., Phytochemistry, 10, 2249, 1971
      · M. Erickson et al., Acta Chem. Scand., 26, 3085, 1972
      · K. Sudo et al., CA, 79, 32818v, 1973
      · RF. Bryan et al., J. Chem. Soc. Perkin 2, 341, 1976
      · IR. Bytheway et al., Aust. J. Chem., 40, 1913, 1987
      · F. Abe et al., Phytochemistry, 27, 575, 1988(cmr)
      · J. Kinjo et al., Chem. Pharm. Bull., 39, 1623, 1991
      · H. Matsushita et al., Phytochemistry, 30, 2025, 1991
      · B. Vermes et al., Phytochemistry, 30, 3087, 1991
      · MS. Kamel et al., Phytochemistry, 31, 2469, 1992
      · AK. Chakravarty et al., Indian J. Chem., Sect. B, 33, 405, 1994
      · A. Ito et al., Phytochemistry, 37, 1455, 1994

      분석정보

      화합물 상세정보 분석정보
      관련 약재 (총 12건)고다(苦茶); 곡아(穀芽)B; 다(茶); 다아(茶芽); 다엽(茶葉)A; 방기(防己)C; 세다(細茶); 세다아(細茶芽); 우전다(雨前茶); 해아다(孩兒茶)C; 호다(好茶); 후박(厚朴)A
      관련 논문 (총 32건)

      발행정보

      화합물 상세정보 중 발행정보
      TKOI [?]

      한국전통지식포탈의 개별 콘텐트에 부여되는 객체식별자(Traditional Knowledge Object Identifier)로써, 해당 콘텐츠에 대한 항구적인 접근 경로에 활용됩니다.

      형식:
      http://tkoi.koreantk.com/[TKOI]
      예시:
      http://tkoi.koreantk.com/TKOI:KTKP-TSS-0000045749
      TKOI:KTKP-CHEM-0000056714






      한국전통지식포탈

      Myricetin-3-O-beta-D-galactopyranoside

      [화합물]

      구조정보

      화합물 상세정보 주요내용
      O HO O O OH OH OH OH O OH H HO OH OH
      drag out MOL or RXN file
      화합물 이름Myricetin-3-O-beta-D-galactopyranoside
      화학식C21H20O13
      분자량480.3857
      녹는점Dark orange 198-201
      분류Flavonoid
      CNMR158.9, 134.0, 177.5, 161.2, 98.7, 164.1, 93.4, 156.3, 104.0, 120.2, 108.8, 145.4, 136.7, 145.4, 108.8, 102.5, 71.4, 73.5, 68.1, 75.9, 60.2
      CNMR MHz25.15
      CNMR 용매DMSO-d6
      참고문헌· J. Kagan, Phytochemistry, 6, 317, 1967
      · S. Yu et al., Phytochemistry, 26, 2131, 1987
      · T. Vogt et al., Phytochemistry, 26, 1027, 1987
      · GNK. Kumari et al., Phytochemistry, 23, 2701, 1984

      발행정보

      화합물 상세정보 중 발행정보
      TKOI [?]

      한국전통지식포탈의 개별 콘텐트에 부여되는 객체식별자(Traditional Knowledge Object Identifier)로써, 해당 콘텐츠에 대한 항구적인 접근 경로에 활용됩니다.

      형식:
      http://tkoi.koreantk.com/[TKOI]
      예시:
      http://tkoi.koreantk.com/TKOI:KTKP-TSS-0000045749
      TKOI:KTKP-CHEM-0000057094





      한국전통지식포탈

      복건다(福建茶)

      [약재]복건다(福建茶), Thea sinensis L., 차나무

      곡아(穀芽), 다(茶), 다아(茶芽), 다엽(茶葉), 세다(細茶), 세다아(細茶芽), 해아다(孩兒茶), 호다(好茶)

      주요내용

      약재 상세정보 주요내용
      학명Thea sinensis L.
      라틴명Theae Folium
      일반명차나무
      과명차나무과(Theaceae)
      약용부위
      효능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사열(瀉熱)

      열을 없애는 효능임

      소식(消食)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제번갈(除煩渴)

      번갈(煩渴)을 제거하는 효능임

      청신(淸神)

      여름에 습열사에 상해서 온 몸이 늘어지고 나른하며 정신이 흐리멍덩한 것을 다스리는 효능임

      청두목(淸頭目)

      머리와 눈을 맑게 해주는 효능임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화담(化痰)

      담(痰)을 삭이는 방법을 말함

      주치병증

      경폐(經閉)

      여자가 18세 이상이 되어도 월경이 없거나 또는 계속 월경이 있다가 임신, 수유기를 제외하고 3개월 이상 연속 월경이 없는 병증.

      곽란(霍亂)

      갑자기 크게 토하고 사(瀉)하는 증상. 중기(中氣)가 본래 허한 데에 칠정(七情)에 내상, 육음(六淫)을 외감, 혹은 음식에 상하거나, 악기(惡氣)ㆍ예독(穢毒)을 맞거나, 양열(陽熱)이 밖으로 통하지 못하거나, 음한(陰寒)이 안에 잠복하여 일어남. 심복창통(心腹脹痛), 증한장열(憎寒壯熱), 두통현훈 등이 따름. 먼저 가슴이 아픈...

      구수뇨창(久嗽尿瘡)

      오래된 기침과 소변에 염증이 생긴것

      다수(多睡)

      노곤해 잠을 많이 자거나 계속 조는 병증.

      두창신양(痘瘡身痒)

      두창(痘瘡)으로 인해 몸이 가려운 증상. 원나라 주진형(朱震亨)이 편찬한 [유과전서(幼科全書)]에서 ‘두창(痘瘡)이 처음에 시작할 때 온몸이 가렵고 손톱으로 긁어도 시원하지 않으니, 이것은 사기(邪氣)가 기부(肌膚)와 피육(皮肉) 사이에 머물러 빠져나가지 않기 때문에 가려운 것이다.(凡痘初出之時, 遍身作痒, 抓捏不寧, 此系邪火停...

      두통(頭痛)

      머리 전체 및 앞, 뒤, 옆 등이 아픈 것을 총괄하여 말함. [소문(素問)] <평인기상론(平人氣象論)>에 나옴. 두동(頭疼)이라고도 한다. 머리는 제양(諸陽)이 모이는 곳이자 정명(精明)의 부(府)이므로 오장육부(五臟六腑)의 기혈(氣血)이 모두 여기에 모인다. 육음(六淫)을 외감하거나 장부(臟腑)가 안에서 손상되어 양기(陽氣)가...

      목현(目眩)

      눈앞이 캄캄하고 꽃 같은 헛것이 어른거리는 증상.

      번갈(煩渴)

      가슴에 열감(熱感)이 있으면서 입 안이 마르고 갈증이 나는 병증. 외감(外感)이나 내상(內傷)으로 진액(津液)이 손상되고 열(熱)이 울체되어 발생한다. [상한론(傷寒論)] <변태양병맥증병치(辨太陽病脈證幷治)>에서 "땀을 냈는데도 맥이 부삭(浮數)하면서 번갈(煩渴)하는 사람은 오령산(五苓散)으로 치료한다.(發汗已, 脈浮數, 煩渴者...

      상서(傷暑)

      (1) 여름에 서사(暑邪)로 손상되어 생기는 서병(暑病)의 총칭. 신열(身熱), 다한(多汗), 심번구건(心煩口乾), 권태감, 두목불청(頭目不淸), 소변적삽(小便赤澁) 등의 증상이 나타남. 중서(中暑), 중갈(中暍), 중열(中熱), 모서(冒暑), 서풍(暑風), 서궐(暑厥), 서간(暑癎), 양서(陽暑), 음서(陰暑), 주하병(疰夏病...

      식적(息積)

      옆구리 아래가 더부룩하고 기(氣)가 역행하여 숨쉬기가 곤란하면서 덩어리가 있는 병증. [소문(素問)] <기병론(奇病論)>에는 "협하(脇下)가 가득하고 기가 거스르는 병증이 2-3년 동안 사라지지 않는 것은 무슨 병입니까? 기백(岐伯)이 말하길 병명은 식적(息積)이니 이것은 먹는 데는 지장이 없다.(病脇下滿, 氣逆, 二三歲不已, ...

      심통(心痛)

      흉완부(胸脘部)가 아픈 것을 통틀어 일컫는 말. (1) 가슴앞 또는 명치께가 아픈 것. (2) 위완통(胃脘痛). [단계심법(丹溪心法)] <심비통(心脾痛)>에서 "심통은 즉 위완통이다.(心痛卽胃脘痛.)"라고 하였다. 고대의 문헌에는 심통에 대한 여러 가지 기록이 실려 있는데, 진심통(眞心痛), 궐심통(厥心痛), 구종심통(九種心痛)...

      음낭생창(陰囊生瘡)

      고환에 옹(癰)이 생긴 것. 음허(陰虛)한 데에 습열(濕熱)이 유주(流注)해 맺혀서 염증을 일으킴. 처음에 붉게 붓고 아프며 소변삽체(小便澁滯), 오한, 발열, 구건(口乾), 담연옹색(痰涎壅塞) 등이 나타남.

      장기(瘴氣)

      (1) 남쪽 지방의 숲속에 있는 습열장독(濕熱瘴毒)을 감수함으로써 발생하는 온병(溫病).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 <장기후(瘴氣候)>에서 "영남(嶺南)의 청초장(靑草瘴)과 황망장(黃芒瘴)은 영북(嶺北)의 상한(傷寒)과 같다. 남쪽 지방은 따뜻하므로 태음(太陰)의 때(겨울)에도 초목(草木)이 누렇게 시들어 떨어지지 않고 겨울잠 ...

      적백리(赤白痢)

      곱과 피고름이 섞인 대변을 보는 이질. 끈끈하게 덩어리진 피고름이 나오는데 적색과 백색이 서로 섞여 있는 것을 말한다.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 <이병제후(痢病諸候)>에서는 "이질과 설사를 하되 배설물이 적색과 백색을 띠는 것은 열(熱)이 혈(血)을 승(乘)하여 혈(血)이 장(腸)으로 스며들어가므로 붉은색을 띠게 되고, 냉기(...

      중풍(中風)

      (1) 갑자기 쓰러져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고, 입과 눈이 비뚤어지며 몸의 반쪽을 마음대로 쓰지 못하고 말을 더듬는 병증. 졸중(卒中)이라고도 함. 변증 방법은 병세의 가볍고 무거운 정도에 따라 중락(中絡), 중경(中經), 중부(中腑), 중장(中臟)의 4가지 유형으로 나눈다. [금궤요략(金匱要略)] <중풍역절병맥증병치(中風歷節病脈...

      혼궤(昏憒)

      정신이 흐리멍덩해져서 주위에서 벌어지는 일을 알지 못하는 것을 말함. [소문(素問)] <육원정기대론(六元正紀大論)>에 나옴. [동의보감(東醫寶鑑)] <잡병편(雜病篇)> 제11권에서 "간병(癎病)은 갑자기 머리가 어지러우면서 쓰러져 눈물이 나고 침을 흘리며 정신이 답답하고 손발이 오그라들었다 펴졌다 하며 조용히 의식을 잃고 혼궤(...

      이명곡아(穀芽), 다(茶), 다아(茶芽), 다엽(茶葉), 세다(細茶), 세다아(細茶芽), 해아다(孩兒茶), 호다(好茶)
      성미고감(苦甘), 양(凉)
      작용부위심(心); 위(胃); 폐(肺)
      포함처방 (총 3건)

      진복산(晉福散)A

      일절(一切)의 충독(虫毒)과 고독(蠱毒)을 풀어준다

      강다원(薑茶圓)

      휴식리(休息痢)를 치료하는 처방임.

      강차원(薑茶圓)

      분석정보

      약재 상세정보 분석정보
      IPCA61K 36/82; A61K 127/00
      키워드복건다(福建茶); 곡아(穀芽); 다(茶); 다아(茶芽); 다엽(茶葉); 세다(細茶); 세다아(細茶芽); 차나무; 해아다(孩兒茶); 호다(好茶)

      발행정보 

              약재 상세정보 발행정보
      DB공개일자2007. 12. 6
      TKOI [?]

      한국전통지식포탈의 개별 콘텐트에 부여되는 객체식별자(Traditional Knowledge Object Identifier)로써, 해당 콘텐츠에 대한 항구적인 접근 경로에 활용됩니다.

      형식:
      http://tkoi.koreantk.com/[TKOI]
      예시:
      http://tkoi.koreantk.com/TKOI:KTKP-TSS-0000045749
      TKOI:KTKP-MED-0000085824
      DOIdoi: 10.20929/KTKP.MED.0000085824






      한국전통지식포탈

      고다(苦茶)

      [약재]고다(苦茶), Thea sinensis L., 차나무

      곡아(穀芽), 다(茶), 다아(茶芽), 다엽(茶葉), 세다(細茶), 세다아(細茶芽), 해아다(孩兒茶), 호다(好茶)

      주요내용

      약재 상세정보 주요내용
      학명Thea sinensis L.
      라틴명Theae Folium
      일반명차나무
      과명차나무과(Theaceae)
      약용부위
      이미지

      고다(苦茶) 사진

      효능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사열(瀉熱)

      열을 없애는 효능임

      소식(消食)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제번갈(除煩渴)

      번갈(煩渴)을 제거하는 효능임

      청신(淸神)

      여름에 습열사에 상해서 온 몸이 늘어지고 나른하며 정신이 흐리멍덩한 것을 다스리는 효능임

      청두목(淸頭目)

      머리와 눈을 맑게 해주는 효능임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화담(化痰)

      담(痰)을 삭이는 방법을 말함

      주치병증

      경폐(經閉)

      여자가 18세 이상이 되어도 월경이 없거나 또는 계속 월경이 있다가 임신, 수유기를 제외하고 3개월 이상 연속 월경이 없는 병증.

      곽란(霍亂)

      갑자기 크게 토하고 사(瀉)하는 증상. 중기(中氣)가 본래 허한 데에 칠정(七情)에 내상, 육음(六淫)을 외감, 혹은 음식에 상하거나, 악기(惡氣)ㆍ예독(穢毒)을 맞거나, 양열(陽熱)이 밖으로 통하지 못하거나, 음한(陰寒)이 안에 잠복하여 일어남. 심복창통(心腹脹痛), 증한장열(憎寒壯熱), 두통현훈 등이 따름. 먼저 가슴이 아픈...

      구수뇨창(久嗽尿瘡)

      오래된 기침과 소변에 염증이 생긴것

      다수(多睡)

      노곤해 잠을 많이 자거나 계속 조는 병증.

      두창신양(痘瘡身痒)

      두창(痘瘡)으로 인해 몸이 가려운 증상. 원나라 주진형(朱震亨)이 편찬한 [유과전서(幼科全書)]에서 ‘두창(痘瘡)이 처음에 시작할 때 온몸이 가렵고 손톱으로 긁어도 시원하지 않으니, 이것은 사기(邪氣)가 기부(肌膚)와 피육(皮肉) 사이에 머물러 빠져나가지 않기 때문에 가려운 것이다.(凡痘初出之時, 遍身作痒, 抓捏不寧, 此系邪火停...

      두통(頭痛)

      머리 전체 및 앞, 뒤, 옆 등이 아픈 것을 총괄하여 말함. [소문(素問)] <평인기상론(平人氣象論)>에 나옴. 두동(頭疼)이라고도 한다. 머리는 제양(諸陽)이 모이는 곳이자 정명(精明)의 부(府)이므로 오장육부(五臟六腑)의 기혈(氣血)이 모두 여기에 모인다. 육음(六淫)을 외감하거나 장부(臟腑)가 안에서 손상되어 양기(陽氣)가...

      목현(目眩)

      눈앞이 캄캄하고 꽃 같은 헛것이 어른거리는 증상.

      번갈(煩渴)

      가슴에 열감(熱感)이 있으면서 입 안이 마르고 갈증이 나는 병증. 외감(外感)이나 내상(內傷)으로 진액(津液)이 손상되고 열(熱)이 울체되어 발생한다. [상한론(傷寒論)] <변태양병맥증병치(辨太陽病脈證幷治)>에서 "땀을 냈는데도 맥이 부삭(浮數)하면서 번갈(煩渴)하는 사람은 오령산(五苓散)으로 치료한다.(發汗已, 脈浮數, 煩渴者...

      상서(傷暑)

      (1) 여름에 서사(暑邪)로 손상되어 생기는 서병(暑病)의 총칭. 신열(身熱), 다한(多汗), 심번구건(心煩口乾), 권태감, 두목불청(頭目不淸), 소변적삽(小便赤澁) 등의 증상이 나타남. 중서(中暑), 중갈(中暍), 중열(中熱), 모서(冒暑), 서풍(暑風), 서궐(暑厥), 서간(暑癎), 양서(陽暑), 음서(陰暑), 주하병(疰夏病...

      식적(息積)

      옆구리 아래가 더부룩하고 기(氣)가 역행하여 숨쉬기가 곤란하면서 덩어리가 있는 병증. [소문(素問)] <기병론(奇病論)>에는 "협하(脇下)가 가득하고 기가 거스르는 병증이 2-3년 동안 사라지지 않는 것은 무슨 병입니까? 기백(岐伯)이 말하길 병명은 식적(息積)이니 이것은 먹는 데는 지장이 없다.(病脇下滿, 氣逆, 二三歲不已, ...

      심통(心痛)

      흉완부(胸脘部)가 아픈 것을 통틀어 일컫는 말. (1) 가슴앞 또는 명치께가 아픈 것. (2) 위완통(胃脘痛). [단계심법(丹溪心法)] <심비통(心脾痛)>에서 "심통은 즉 위완통이다.(心痛卽胃脘痛.)"라고 하였다. 고대의 문헌에는 심통에 대한 여러 가지 기록이 실려 있는데, 진심통(眞心痛), 궐심통(厥心痛), 구종심통(九種心痛)...

      음낭생창(陰囊生瘡)

      고환에 옹(癰)이 생긴 것. 음허(陰虛)한 데에 습열(濕熱)이 유주(流注)해 맺혀서 염증을 일으킴. 처음에 붉게 붓고 아프며 소변삽체(小便澁滯), 오한, 발열, 구건(口乾), 담연옹색(痰涎壅塞) 등이 나타남.

      장기(瘴氣)

      (1) 남쪽 지방의 숲속에 있는 습열장독(濕熱瘴毒)을 감수함으로써 발생하는 온병(溫病).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 <장기후(瘴氣候)>에서 "영남(嶺南)의 청초장(靑草瘴)과 황망장(黃芒瘴)은 영북(嶺北)의 상한(傷寒)과 같다. 남쪽 지방은 따뜻하므로 태음(太陰)의 때(겨울)에도 초목(草木)이 누렇게 시들어 떨어지지 않고 겨울잠 ...

      적백리(赤白痢)

      곱과 피고름이 섞인 대변을 보는 이질. 끈끈하게 덩어리진 피고름이 나오는데 적색과 백색이 서로 섞여 있는 것을 말한다.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 <이병제후(痢病諸候)>에서는 "이질과 설사를 하되 배설물이 적색과 백색을 띠는 것은 열(熱)이 혈(血)을 승(乘)하여 혈(血)이 장(腸)으로 스며들어가므로 붉은색을 띠게 되고, 냉기(...

      중풍(中風)

      (1) 갑자기 쓰러져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고, 입과 눈이 비뚤어지며 몸의 반쪽을 마음대로 쓰지 못하고 말을 더듬는 병증. 졸중(卒中)이라고도 함. 변증 방법은 병세의 가볍고 무거운 정도에 따라 중락(中絡), 중경(中經), 중부(中腑), 중장(中臟)의 4가지 유형으로 나눈다. [금궤요략(金匱要略)] <중풍역절병맥증병치(中風歷節病脈...

      혼궤(昏憒)

      정신이 흐리멍덩해져서 주위에서 벌어지는 일을 알지 못하는 것을 말함. [소문(素問)] <육원정기대론(六元正紀大論)>에 나옴. [동의보감(東醫寶鑑)] <잡병편(雜病篇)> 제11권에서 "간병(癎病)은 갑자기 머리가 어지러우면서 쓰러져 눈물이 나고 침을 흘리며 정신이 답답하고 손발이 오그라들었다 펴졌다 하며 조용히 의식을 잃고 혼궤(...

      이명곡아(穀芽), 다(茶), 다아(茶芽), 다엽(茶葉), 세다(細茶), 세다아(細茶芽), 해아다(孩兒茶), 호다(好茶)
      성미고감(苦甘), 양(凉)
      작용부위심(心); 위(胃); 폐(肺)

      분석정보

      약재 상세정보 분석정보
      IPCA61K 36/82; A61K 127/00
      키워드가(檟); 고다(苦茶); 곡아(穀芽); 다(茶); 다아(茶芽); 다엽(茶葉); 락노(酪奴); 명(茗); 세다(細茶); 세다아(細茶芽); 차나무; 해아다(孩兒茶); 호다(好茶)
      관련 화합물 (총 2건) Syringaresinol; Myricetin-3-O-beta-D-galactopyranoside
      관련논문

      발행정보

      약재 상세정보 발행정보
      DB공개일자2007. 12. 6
      TKOI [?]

      한국전통지식포탈의 개별 콘텐트에 부여되는 객체식별자(Traditional Knowledge Object Identifier)로써, 해당 콘텐츠에 대한 항구적인 접근 경로에 활용됩니다.

      형식:
      http://tkoi.koreantk.com/[TKOI]
      예시:
      http://tkoi.koreantk.com/TKOI:KTKP-TSS-0000045749
      TKOI:KTKP-MED-0000076782
      DOIdoi: 10.20929/KTKP.MED.0000076782






      한국전통지식포탈

      건다(乾茶)

      [약재]건다(乾茶), Thea sinensis L., 차나무

      주요내용

      약재 상세정보 주요내용
      학명Thea sinensis L.
      라틴명Theae Folium
      일반명차나무
      과명차나무과(Theaceae)
      약용부위
      효능

      소식(消食)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이뇨(利尿)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제번갈(除煩渴)

      번갈(煩渴)을 제거하는 효능임

      청두목(淸頭目)

      머리와 눈을 맑게 해주는 효능임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화담(化痰)

      담(痰)을 삭이는 방법을 말함

      주치병증

      경폐(經閉)

      여자가 18세 이상이 되어도 월경이 없거나 또는 계속 월경이 있다가 임신, 수유기를 제외하고 3개월 이상 연속 월경이 없는 병증.

      곽란(霍亂)

      갑자기 크게 토하고 사(瀉)하는 증상. 중기(中氣)가 본래 허한 데에 칠정(七情)에 내상, 육음(六淫)을 외감, 혹은 음식에 상하거나, 악기(惡氣)ㆍ예독(穢毒)을 맞거나, 양열(陽熱)이 밖으로 통하지 못하거나, 음한(陰寒)이 안에 잠복하여 일어남. 심복창통(心腹脹痛), 증한장열(憎寒壯熱), 두통현훈 등이 따름. 먼저 가슴이 아픈...

      구수뇨창(久嗽尿瘡)

      오래된 기침과 소변에 염증이 생긴것

      다수(多睡)

      노곤해 잠을 많이 자거나 계속 조는 병증.

      두창신양(痘瘡身痒)

      두창(痘瘡)으로 인해 몸이 가려운 증상. 원나라 주진형(朱震亨)이 편찬한 [유과전서(幼科全書)]에서 ‘두창(痘瘡)이 처음에 시작할 때 온몸이 가렵고 손톱으로 긁어도 시원하지 않으니, 이것은 사기(邪氣)가 기부(肌膚)와 피육(皮肉) 사이에 머물러 빠져나가지 않기 때문에 가려운 것이다.(凡痘初出之時, 遍身作痒, 抓捏不寧, 此系邪火停...

      두통(頭痛)

      머리 전체 및 앞, 뒤, 옆 등이 아픈 것을 총괄하여 말함. [소문(素問)] <평인기상론(平人氣象論)>에 나옴. 두동(頭疼)이라고도 한다. 머리는 제양(諸陽)이 모이는 곳이자 정명(精明)의 부(府)이므로 오장육부(五臟六腑)의 기혈(氣血)이 모두 여기에 모인다. 육음(六淫)을 외감하거나 장부(臟腑)가 안에서 손상되어 양기(陽氣)가...

      목현(目眩)

      눈앞이 캄캄하고 꽃 같은 헛것이 어른거리는 증상.

      번갈(煩渴)

      가슴에 열감(熱感)이 있으면서 입 안이 마르고 갈증이 나는 병증. 외감(外感)이나 내상(內傷)으로 진액(津液)이 손상되고 열(熱)이 울체되어 발생한다. [상한론(傷寒論)] <변태양병맥증병치(辨太陽病脈證幷治)>에서 "땀을 냈는데도 맥이 부삭(浮數)하면서 번갈(煩渴)하는 사람은 오령산(五苓散)으로 치료한다.(發汗已, 脈浮數, 煩渴者...

      상서(傷暑)

      (1) 여름에 서사(暑邪)로 손상되어 생기는 서병(暑病)의 총칭. 신열(身熱), 다한(多汗), 심번구건(心煩口乾), 권태감, 두목불청(頭目不淸), 소변적삽(小便赤澁) 등의 증상이 나타남. 중서(中暑), 중갈(中暍), 중열(中熱), 모서(冒暑), 서풍(暑風), 서궐(暑厥), 서간(暑癎), 양서(陽暑), 음서(陰暑), 주하병(疰夏病...

      식적(息積)

      옆구리 아래가 더부룩하고 기(氣)가 역행하여 숨쉬기가 곤란하면서 덩어리가 있는 병증. [소문(素問)] <기병론(奇病論)>에는 "협하(脇下)가 가득하고 기가 거스르는 병증이 2-3년 동안 사라지지 않는 것은 무슨 병입니까? 기백(岐伯)이 말하길 병명은 식적(息積)이니 이것은 먹는 데는 지장이 없다.(病脇下滿, 氣逆, 二三歲不已, ...

      심통(心痛)

      흉완부(胸脘部)가 아픈 것을 통틀어 일컫는 말. (1) 가슴앞 또는 명치께가 아픈 것. (2) 위완통(胃脘痛). [단계심법(丹溪心法)] <심비통(心脾痛)>에서 "심통은 즉 위완통이다.(心痛卽胃脘痛.)"라고 하였다. 고대의 문헌에는 심통에 대한 여러 가지 기록이 실려 있는데, 진심통(眞心痛), 궐심통(厥心痛), 구종심통(九種心痛)...

      음낭생창(陰囊生瘡)

      고환에 옹(癰)이 생긴 것. 음허(陰虛)한 데에 습열(濕熱)이 유주(流注)해 맺혀서 염증을 일으킴. 처음에 붉게 붓고 아프며 소변삽체(小便澁滯), 오한, 발열, 구건(口乾), 담연옹색(痰涎壅塞) 등이 나타남.

      장기(瘴氣)

      (1) 남쪽 지방의 숲속에 있는 습열장독(濕熱瘴毒)을 감수함으로써 발생하는 온병(溫病).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 <장기후(瘴氣候)>에서 "영남(嶺南)의 청초장(靑草瘴)과 황망장(黃芒瘴)은 영북(嶺北)의 상한(傷寒)과 같다. 남쪽 지방은 따뜻하므로 태음(太陰)의 때(겨울)에도 초목(草木)이 누렇게 시들어 떨어지지 않고 겨울잠 ...

      적백리(赤白痢)

      곱과 피고름이 섞인 대변을 보는 이질. 끈끈하게 덩어리진 피고름이 나오는데 적색과 백색이 서로 섞여 있는 것을 말한다.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 <이병제후(痢病諸候)>에서는 "이질과 설사를 하되 배설물이 적색과 백색을 띠는 것은 열(熱)이 혈(血)을 승(乘)하여 혈(血)이 장(腸)으로 스며들어가므로 붉은색을 띠게 되고, 냉기(...

      중풍(中風)

      (1) 갑자기 쓰러져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고, 입과 눈이 비뚤어지며 몸의 반쪽을 마음대로 쓰지 못하고 말을 더듬는 병증. 졸중(卒中)이라고도 함. 변증 방법은 병세의 가볍고 무거운 정도에 따라 중락(中絡), 중경(中經), 중부(中腑), 중장(中臟)의 4가지 유형으로 나눈다. [금궤요략(金匱要略)] <중풍역절병맥증병치(中風歷節病脈...

      혼궤(昏憒)

      정신이 흐리멍덩해져서 주위에서 벌어지는 일을 알지 못하는 것을 말함. [소문(素問)] <육원정기대론(六元正紀大論)>에 나옴. [동의보감(東醫寶鑑)] <잡병편(雜病篇)> 제11권에서 "간병(癎病)은 갑자기 머리가 어지러우면서 쓰러져 눈물이 나고 침을 흘리며 정신이 답답하고 손발이 오그라들었다 펴졌다 하며 조용히 의식을 잃고 혼궤(...

      성미고감(苦甘), 양(凉)
      작용부위심(心); 폐(肺); 위(胃); 신(腎)
      포함처방 (총 3건)

      반회산(礬灰散)

      모든 독물(毒物)에 중독된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강다원(薑茶圓)

      휴식리(休息痢)를 치료하는 처방임.

      강차원(薑茶圓)

      분석정보

      약재 상세정보 분석정보
      IPCA61K 36/82; A61K 127/00
      키워드건다(乾茶); 차나무

      발행정보

      약재 상세정보 발행정보
      DB공개일자2007. 12. 6
      TKOI [?]

      한국전통지식포탈의 개별 콘텐트에 부여되는 객체식별자(Traditional Knowledge Object Identifier)로써, 해당 콘텐츠에 대한 항구적인 접근 경로에 활용됩니다.

      형식:
      http://tkoi.koreantk.com/[TKOI]
      예시:
      http://tkoi.koreantk.com/TKOI:KTKP-TSS-0000045749
      TKOI:KTKP-MED-0000085696
      DOIdoi: 10.20929/KTKP.MED.0000085696






      한국전통지식포탈

      세다아(細茶芽)

      [약재] 세다아(細茶芽), Thea sinensis L., 차나무

      우전차(雨前茶)

      , 불면자(不眠者)는 복용 안함.  

      주요내용

      약재 상세정보 주요내용

      학명Thea sinensis L.
      라틴명Theae Folium
      일반명차나무
      과명차나무과(Theaceae)
      약용부위
      효능

      사열청신(瀉熱淸神)

      사열(瀉熱)하여 마음을 안정시키는 효능임

      소식(消食)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소식하기(消食下氣)

      음식을 소화시키고 하기(下氣)하는 효능임

      양위지리(養胃止痢)

      위기(衛氣)를 증강시켜 이질(痢疾)을 멎게 하는 효능임

      이뇨(利尿)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제번갈(除煩渴)

      번갈(煩渴)을 제거하는 효능임

      청두목(淸頭目)

      머리와 눈을 맑게 해주는 효능임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화담(化痰)

      담(痰)을 삭이는 방법을 말함

      주치병증

      경폐(經閉)

      여자가 18세 이상이 되어도 월경이 없거나 또는 계속 월경이 있다가 임신, 수유기를 제외하고 3개월 이상 연속 월경이 없는 병증.

      곽란(霍亂)

      갑자기 크게 토하고 사(瀉)하는 증상. 중기(中氣)가 본래 허한 데에 칠정(七情)에 내상, 육음(六淫)을 외감, 혹은 음식에 상하거나, 악기(惡氣)ㆍ예독(穢毒)을 맞거나, 양열(陽熱)이 밖으로 통하지 못하거나, 음한(陰寒)이 안에 잠복하여 일어남. 심복창통(心腹脹痛), 증한장열(憎寒壯熱), 두통현훈 등이 따름. 먼저 가슴이 아픈...

      구수뇨창(久嗽尿瘡)

      오래된 기침과 소변에 염증이 생긴것

      다수(多睡)

      노곤해 잠을 많이 자거나 계속 조는 병증.

      두창신양(痘瘡身痒)

      두창(痘瘡)으로 인해 몸이 가려운 증상. 원나라 주진형(朱震亨)이 편찬한 [유과전서(幼科全書)]에서 ‘두창(痘瘡)이 처음에 시작할 때 온몸이 가렵고 손톱으로 긁어도 시원하지 않으니, 이것은 사기(邪氣)가 기부(肌膚)와 피육(皮肉) 사이에 머물러 빠져나가지 않기 때문에 가려운 것이다.(凡痘初出之時, 遍身作痒, 抓捏不寧, 此系邪火停...

      두통(頭痛)

      머리 전체 및 앞, 뒤, 옆 등이 아픈 것을 총괄하여 말함. [소문(素問)] <평인기상론(平人氣象論)>에 나옴. 두동(頭疼)이라고도 한다. 머리는 제양(諸陽)이 모이는 곳이자 정명(精明)의 부(府)이므로 오장육부(五臟六腑)의 기혈(氣血)이 모두 여기에 모인다. 육음(六淫)을 외감하거나 장부(臟腑)가 안에서 손상되어 양기(陽氣)가...

      목현(目眩)

      눈앞이 캄캄하고 꽃 같은 헛것이 어른거리는 증상.

      번갈(煩渴)

      가슴에 열감(熱感)이 있으면서 입 안이 마르고 갈증이 나는 병증. 외감(外感)이나 내상(內傷)으로 진액(津液)이 손상되고 열(熱)이 울체되어 발생한다. [상한론(傷寒論)] <변태양병맥증병치(辨太陽病脈證幷治)>에서 "땀을 냈는데도 맥이 부삭(浮數)하면서 번갈(煩渴)하는 사람은 오령산(五苓散)으로 치료한다.(發汗已, 脈浮數, 煩渴者...

      상서(傷暑)

      (1) 여름에 서사(暑邪)로 손상되어 생기는 서병(暑病)의 총칭. 신열(身熱), 다한(多汗), 심번구건(心煩口乾), 권태감, 두목불청(頭目不淸), 소변적삽(小便赤澁) 등의 증상이 나타남. 중서(中暑), 중갈(中暍), 중열(中熱), 모서(冒暑), 서풍(暑風), 서궐(暑厥), 서간(暑癎), 양서(陽暑), 음서(陰暑), 주하병(疰夏病...

      식적(息積)

      옆구리 아래가 더부룩하고 기(氣)가 역행하여 숨쉬기가 곤란하면서 덩어리가 있는 병증. [소문(素問)] <기병론(奇病論)>에는 "협하(脇下)가 가득하고 기가 거스르는 병증이 2-3년 동안 사라지지 않는 것은 무슨 병입니까? 기백(岐伯)이 말하길 병명은 식적(息積)이니 이것은 먹는 데는 지장이 없다.(病脇下滿, 氣逆, 二三歲不已, ...

      심통(心痛)

      흉완부(胸脘部)가 아픈 것을 통틀어 일컫는 말. (1) 가슴앞 또는 명치께가 아픈 것. (2) 위완통(胃脘痛). [단계심법(丹溪心法)] <심비통(心脾痛)>에서 "심통은 즉 위완통이다.(心痛卽胃脘痛.)"라고 하였다. 고대의 문헌에는 심통에 대한 여러 가지 기록이 실려 있는데, 진심통(眞心痛), 궐심통(厥心痛), 구종심통(九種心痛)...

      요통(腰痛)

      허리가 아픈 병증. [영추(靈樞)] <경맥(經脈)>에 나옴. 허리는 신(腎)의 바깥 성곽[城]으로 모든 맥(脈)이 대부분 신(腎)을 지나 허리에 닿는다. 그러므로 나이 들고 병을 오래 앓은 자가 지나치게 과로하거나, 뜻이 손상되거나, 방사(房事)를 무절제하게 함으로써 장기(臟氣)가 허쇠해지거나, 외사(外邪)를 감수하거나, 외상(...

      음낭생창(陰囊生瘡)

      고환에 옹(癰)이 생긴 것. 음허(陰虛)한 데에 습열(濕熱)이 유주(流注)해 맺혀서 염증을 일으킴. 처음에 붉게 붓고 아프며 소변삽체(小便澁滯), 오한, 발열, 구건(口乾), 담연옹색(痰涎壅塞) 등이 나타남.

      장기(瘴氣)

      (1) 남쪽 지방의 숲속에 있는 습열장독(濕熱瘴毒)을 감수함으로써 발생하는 온병(溫病).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 <장기후(瘴氣候)>에서 "영남(嶺南)의 청초장(靑草瘴)과 황망장(黃芒瘴)은 영북(嶺北)의 상한(傷寒)과 같다. 남쪽 지방은 따뜻하므로 태음(太陰)의 때(겨울)에도 초목(草木)이 누렇게 시들어 떨어지지 않고 겨울잠 ...

      적백리(赤白痢)

      곱과 피고름이 섞인 대변을 보는 이질. 끈끈하게 덩어리진 피고름이 나오는데 적색과 백색이 서로 섞여 있는 것을 말한다.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 <이병제후(痢病諸候)>에서는 "이질과 설사를 하되 배설물이 적색과 백색을 띠는 것은 열(熱)이 혈(血)을 승(乘)하여 혈(血)이 장(腸)으로 스며들어가므로 붉은색을 띠게 되고, 냉기(...

      중풍(中風)

      (1) 갑자기 쓰러져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고, 입과 눈이 비뚤어지며 몸의 반쪽을 마음대로 쓰지 못하고 말을 더듬는 병증. 졸중(卒中)이라고도 함. 변증 방법은 병세의 가볍고 무거운 정도에 따라 중락(中絡), 중경(中經), 중부(中腑), 중장(中臟)의 4가지 유형으로 나눈다. [금궤요략(金匱要略)] <중풍역절병맥증병치(中風歷節病脈...

      혼궤(昏憒)

      정신이 흐리멍덩해져서 주위에서 벌어지는 일을 알지 못하는 것을 말함. [소문(素問)] <육원정기대론(六元正紀大論)>에 나옴. [동의보감(東醫寶鑑)] <잡병편(雜病篇)> 제11권에서 "간병(癎病)은 갑자기 머리가 어지러우면서 쓰러져 눈물이 나고 침을 흘리며 정신이 답답하고 손발이 오그라들었다 펴졌다 하며 조용히 의식을 잃고 혼궤(...

      이명우전차(雨前茶)
      성미고감(苦甘), 양(凉)
      작용부위심(心); 위(胃); 폐(肺)
      금기불면자(不眠者)는 복용 안함.

      분석정보

                                                       약재 상세정보 분석정보
      IPCA61K 36/82; A61K 131/00
      키워드세다아(細茶芽); 다(茶); 명(茗); 우전차(雨前茶); 차나무
      관련 화합물 (총 2건) Syringaresinol; Myricetin-3-O-beta-D-galactopyranoside


      발행정보

      약재 상세정보 발행정보
      DB공개일자2007. 12. 6
      TKOI [?]

      한국전통지식포탈의 개별 콘텐트에 부여되는 객체식별자(Traditional Knowledge Object Identifier)로써, 해당 콘텐츠에 대한 항구적인 접근 경로에 활용됩니다.

      형식:
      http://tkoi.koreantk.com/[TKOI]
      예시:
      http://tkoi.koreantk.com/TKOI:KTKP-TSS-0000045749
      TKOI:KTKP-MED-0000078607
      DOIdoi: 10.20929/KTKP.MED.0000078607




      한국전통지식포탈

      오다니(烏爹泥)

      [약재]오다니(烏爹泥), 차잎 분말을 원료로 가공하여 만든 것

      오루니(烏壘泥), 해아다(孩兒茶)

      덩어리가 작고 윤택이 있다.

      주요내용

      약재 상세정보 주요내용
      라틴명Theae Folium
      일반명차잎 분말을 원료로 가공하여 만든 것
      약재성상덩어리가 작고 윤택이 있다.
      효능

      청상격열(淸上膈熱)

      횡격막 위쪽의 열을 꺼주는 방법임.

      지혈수렴(止血收斂)

      출혈을 멈추게 하고 수렴(收斂)시키는 치법임.

      생근정통(生筋定痛)

      근육을 생기게 하고 통증을 멈추는 효능임

      주치병증

      금창(金瘡)

      금상(金傷), 금인상(金刃傷), 창상(創傷) 예리한 금속으로 입은 상처. 가벼우면 피부나 근육이 손상되고, 심하면 건(腱)이나 내장이 손상되어 출혈이 멎지 않고 동통을 참을 수 없음. 출혈이 과다하면 얼굴이 창백해지며 어지럼증이 나고, 맥은 규(芤) 또는 세삭(細數)한 등 허탈증을 일으킴.

      이명오루니(烏壘泥), 해아다(孩兒茶)
      성미산(酸), 평(平)

      분석정보

      약재 상세정보 분석정보
      IPCA61K 36/82; A61K 131/00
      키워드오다니(烏爹泥); 오루니(烏壘泥); 해아다(孩兒茶)





      한국전통지식포탈

      해아다(孩兒茶)A

      [약재]해아다(孩兒茶)A, Acacia catechu (L. f.) Willd., 아카시아

      주요내용

      약재 상세정보 주요내용
      학명Acacia catechu (L. f.) Willd.
      라틴명Catechu(Gambir)
      일반명아카시아
      과명콩과(豆科 : Leguminosae/Fabaceae)
      효능

      수습(收濕)

      정체되어 있거나 새로 생긴 습(濕)을 거두어 드리는 생리작용 혹은 치료 방법임.

      사열청신(瀉熱淸神)

      사열(瀉熱)하여 마음을 안정시키는 효능임

      생기(生肌)

      기육(肌肉)이 생기게 하는 효능임

      소식(消食)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소식하기(消食下氣)

      음식을 소화시키고 하기(下氣)하는 효능임

      양위지리(養胃止痢)

      위기(衛氣)를 증강시켜 이질(痢疾)을 멎게 하는 효능임

      이뇨(利尿)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제번갈(除煩渴)

      번갈(煩渴)을 제거하는 효능임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청두목(淸頭目)

      머리와 눈을 맑게 해주는 효능임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화담(化痰)

      담(痰)을 삭이는 방법을 말함

      주치병증

      각혈(咯血)

      피를 뱉어 내는 병증. [적수현주(赤水玄珠)] 제9권에서는 각혈은 목구멍 안에서 항상 피비린내가 나며 한번 각혈이 나오면 선홍색이거나 혹은 자색인 것이 이것이며 또한 가는 조각 같은 것도 역시 이것이다.(咯血者, 喉中常有血腥, 一咯血卽出, 或鮮或紫者是也, 又如細屑者亦是也)라고 하였다.

      구창(口瘡)

      입안이 허는 병증. 상초실열(上焦實熱), 중초허한(中焦虛寒), 하초허열(下焦虛熱)인 경우에 생김. 구강내 점막상에 회백색이나 담황색으로 콩알 만한게 생겨 짓무르고, 주위가 붉고 열감이 있으며, 국부가 따갑고 아프며, 반복되면 식욕이 없고 음식을 삼킬 수 없음.

      담열해수(痰熱咳嗽)

      몸 안의 열사(熱邪)가 담(痰)과 서로 맞붙어 생긴 담열증(痰熱證)으로 기침이 나오는 것.

      변혈(便血)

      혈변(血便), 항문출혈. 장위(腸胃)가 화열(火熱)을 감수해 훈증되거나, 한열조습사(寒熱燥濕邪)로 그 기(氣)가 끓어오르거나, 또는 음식부절제나 힘을 과도하게 써서 음락(陰絡)이 손상되어 혈이 손상된 부위에서 막혀 경맥 밖으로 새어 대소장에 스며들었다가 외부로 배출됨. 항문에서의 거리에 따라 근혈(近血)과 원혈(遠血)로 나눔. ...

      아감(牙疳)

      감질(疳疾)의 열독(熱毒)이 위(胃)를 공격하여 발생하는 병증. 잇몸이 빨갛게 붓고 헐면서 아프며 썩은 냄새가 나고 피고름이 흐르는 병증이다. 병세의 변화가 빠르며, 이는 감식(疳蝕)이 심한 것이다. 치아는 뼈의 남아 도는 기운을 보내 저장하는 곳(골지식기(骨之食氣))이며, 치은(齒齦)은 위(胃)의 낙(絡)에 속하므로, 독화(毒...

      옹종(癰腫)

      기혈(氣血)이 사독(邪毒)을 받아 옹색(壅塞)하여 통하지 않음으로써 국부적으로 일어나는 종창(腫脹)의 증상. [소문(素問)] <생기통천론(生氣通天論)>에서 "영기(營氣)가 순조롭게 은행(運行)되지 못하여 육리(肉理)에 역(逆)하면 이에 옹종(癰腫)이 생깁니다.(營氣不從, 逆於肉理, 乃生癰腫)"라고 하였고, [영추(靈樞)] <옹저...

      외상출혈(外傷出血)

      외상(外傷)으로 인해 출혈이 나는 것.

      요혈(尿血)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것. 방광출혈, 신장출혈 등. 열이 하초(下焦)에 있어서 생김. 대개 신음부족(腎陰不足)과 심간(心肝)의 화왕(火旺)에 의해, 그 열(熱)이 소장(小腸)으로 옮거나, 또는 비신(脾腎)이 함께 손상(損傷)되어, 혈(血)을 통섭(統攝)못해서 일어난다. 음허화왕(陰虛火旺)이면 소변이 붉고, 요부(腰部)가 묵직...

      치창(痔瘡)

      군살이 몸 밖으로 비집고 나오는 병. [소문(素問)] <생기통천론(生氣通天論)>에 나옴. [소문(素問)] <생기통천론(生氣通天論)>에서 “지나치게 배불리 먹으면 힘줄이나 맥줄기가 이리저리 풀려 장벽(腸澼)을 앓고, 치질(痔疾)도 된다.(因而飽食, 筋脈橫解, 腸癖爲痔.)”라고 하였다. 옛날 치(痔)에 대한 인식은 2가지가 있었다....

      토혈(吐血)

      구역성(嘔逆聲)이 없이 구강으로 대량 출혈하는 병증

      혈붕(血崩)

      월경 주기가 아닌데도 갑자기 음도(陰道)에서 대량의 출혈이 있는 병증. [부인양방대전(婦人良方大全)] 제1권에 나옴. 붕중(崩中), 혈산붕(血山崩), 혈붕부지(血崩不止), 폭붕(暴崩)이라고도 함. 지나친 과로로 기(氣)가 허하여 경혈(經血)을 섭제(攝制)하지 못하거나 매우 화를 내서 간(肝)을 상하여 간이 혈을 저장하지 못하기 ...

      성미고감(苦甘), 고삽(苦澁), 양(凉)
      작용부위심(心); 위(胃); 폐(肺)
      포함처방 (총 30건)

      진주산(珍珠散)A

      하감(下疳)과 음창(陰瘡)을 치료하는 처방임

      향아산(香兒散)

      혈림(血淋)과 사림(沙痳)․고림(膏淋)으로 인해 통증이 칼로 베는 듯한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해아산(孩兒散)

      탈항(脫肛)으로 열이 나면서 붓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대마치고(大馬齒膏)A

      양쪽다리에 혈풍창(血風瘡)이 생긴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비전수은고(秘傳水銀膏)A

      양매(楊梅)로 인한 풍독(風毒)으로 궤란(潰爛)이 위험한 것이 오랫동안 낫지 않은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아다산(兒茶散)A

      벙어리를 낫게 하는 처방임

      신첩고(神捷膏)

      안쪽이나 바깥쪽에 생긴 염창(臁瘡)이 여러 해 동안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통애산(通隘散)

      목구멍이 아프고 헐어서 목소리가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팔보단(八寶丹)B

      점안(點眼)을 치료하는 처방임

      회생보명단(回生保命丹)

      양매창(楊梅瘡)과 천포창(天疱瘡)등으로 인하여 근골(筋骨)이 붓고 아픈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서성부전환(西聖復煎丸)

      사전청금환(謝傳淸金丸)

      천금산(千金散)A

      황백산(黃白散)A

      탈명단(奪命丹)A

      분석정보

      약재 상세정보 분석정보
      IPCA61K 36/48
      키워드해아다(孩兒茶); 아카시아
      관련 화합물 (총 6건) Oxalylalbizziine; Robinetinidol; (+)-Catechin; 3',4',7-Tri-O-methylcatechin; 3',4',5,5',7-Penta-O-methylgallocatechin ((+)-trans-form); Gallotannin
      관련논문

      발행정보

      약재 상세정보 발행정보
      DB공개일자2007. 12. 6
      TKOI [?]

      한국전통지식포탈의 개별 콘텐트에 부여되는 객체식별자(Traditional Knowledge Object Identifier)로써, 해당 콘텐츠에 대한 항구적인 접근 경로에 활용됩니다.

      형식:
      http://tkoi.koreantk.com/[TKOI]
      예시:
      http://tkoi.koreantk.com/TKOI:KTKP-TSS-0000045749
      TKOI:KTKP-MED-0000080692
      DOIdoi: 10.20929/KTKP.MED.0000080692



      한국전통지식포탈

      해아다(孩兒茶)B

      [약재]

      주요내용

      약재 상세정보 주요내용
      학명Uncaria gambier Roxb.
      라틴명Gambir
      일반명아선약
      과명꼭두서니과(茜草科 : Rubiaceae)
      약용부위추출물
      효능

      수습(收濕)

      정체되어 있거나 새로 생긴 습(濕)을 거두어 드리는 생리작용 혹은 치료 방법임.

      사열청신(瀉熱淸神)

      사열(瀉熱)하여 마음을 안정시키는 효능임

      생기(生肌)

      기육(肌肉)이 생기게 하는 효능임

      소식(消食)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소식하기(消食下氣)

      음식을 소화시키고 하기(下氣)하는 효능임

      양위지리(養胃止痢)

      위기(衛氣)를 증강시켜 이질(痢疾)을 멎게 하는 효능임

      이뇨(利尿)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제번갈(除煩渴)

      번갈(煩渴)을 제거하는 효능임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청두목(淸頭目)

      머리와 눈을 맑게 해주는 효능임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화담(化痰)

      담(痰)을 삭이는 방법을 말함

      주치병증

      각혈(咯血)

      피를 뱉어 내는 병증. [적수현주(赤水玄珠)] 제9권에서는 각혈은 목구멍 안에서 항상 피비린내가 나며 한번 각혈이 나오면 선홍색이거나 혹은 자색인 것이 이것이며 또한 가는 조각 같은 것도 역시 이것이다.(咯血者, 喉中常有血腥, 一咯血卽出, 或鮮或紫者是也, 又如細屑者亦是也)라고 하였다.

      구창(口瘡)

      입안이 허는 병증. 상초실열(上焦實熱), 중초허한(中焦虛寒), 하초허열(下焦虛熱)인 경우에 생김. 구강내 점막상에 회백색이나 담황색으로 콩알 만한게 생겨 짓무르고, 주위가 붉고 열감이 있으며, 국부가 따갑고 아프며, 반복되면 식욕이 없고 음식을 삼킬 수 없음.

      담열해수(痰熱咳嗽)

      몸 안의 열사(熱邪)가 담(痰)과 서로 맞붙어 생긴 담열증(痰熱證)으로 기침이 나오는 것.

      변혈(便血)

      혈변(血便), 항문출혈. 장위(腸胃)가 화열(火熱)을 감수해 훈증되거나, 한열조습사(寒熱燥濕邪)로 그 기(氣)가 끓어오르거나, 또는 음식부절제나 힘을 과도하게 써서 음락(陰絡)이 손상되어 혈이 손상된 부위에서 막혀 경맥 밖으로 새어 대소장에 스며들었다가 외부로 배출됨. 항문에서의 거리에 따라 근혈(近血)과 원혈(遠血)로 나눔. ...

      아감(牙疳)

      감질(疳疾)의 열독(熱毒)이 위(胃)를 공격하여 발생하는 병증. 잇몸이 빨갛게 붓고 헐면서 아프며 썩은 냄새가 나고 피고름이 흐르는 병증이다. 병세의 변화가 빠르며, 이는 감식(疳蝕)이 심한 것이다. 치아는 뼈의 남아 도는 기운을 보내 저장하는 곳(골지식기(骨之食氣))이며, 치은(齒齦)은 위(胃)의 낙(絡)에 속하므로, 독화(毒...

      옹종(癰腫)

      기혈(氣血)이 사독(邪毒)을 받아 옹색(壅塞)하여 통하지 않음으로써 국부적으로 일어나는 종창(腫脹)의 증상. [소문(素問)] <생기통천론(生氣通天論)>에서 "영기(營氣)가 순조롭게 은행(運行)되지 못하여 육리(肉理)에 역(逆)하면 이에 옹종(癰腫)이 생깁니다.(營氣不從, 逆於肉理, 乃生癰腫)"라고 하였고, [영추(靈樞)] <옹저...

      외상출혈(外傷出血)

      외상(外傷)으로 인해 출혈이 나는 것.

      요혈(尿血)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것. 방광출혈, 신장출혈 등. 열이 하초(下焦)에 있어서 생김. 대개 신음부족(腎陰不足)과 심간(心肝)의 화왕(火旺)에 의해, 그 열(熱)이 소장(小腸)으로 옮거나, 또는 비신(脾腎)이 함께 손상(損傷)되어, 혈(血)을 통섭(統攝)못해서 일어난다. 음허화왕(陰虛火旺)이면 소변이 붉고, 요부(腰部)가 묵직...

      치창(痔瘡)

      군살이 몸 밖으로 비집고 나오는 병. [소문(素問)] <생기통천론(生氣通天論)>에 나옴. [소문(素問)] <생기통천론(生氣通天論)>에서 “지나치게 배불리 먹으면 힘줄이나 맥줄기가 이리저리 풀려 장벽(腸澼)을 앓고, 치질(痔疾)도 된다.(因而飽食, 筋脈橫解, 腸癖爲痔.)”라고 하였다. 옛날 치(痔)에 대한 인식은 2가지가 있었다....

      토혈(吐血)

      구역성(嘔逆聲)이 없이 구강으로 대량 출혈하는 병증

      혈붕(血崩)

      월경 주기가 아닌데도 갑자기 음도(陰道)에서 대량의 출혈이 있는 병증. [부인양방대전(婦人良方大全)] 제1권에 나옴. 붕중(崩中), 혈산붕(血山崩), 혈붕부지(血崩不止), 폭붕(暴崩)이라고도 함. 지나친 과로로 기(氣)가 허하여 경혈(經血)을 섭제(攝制)하지 못하거나 매우 화를 내서 간(肝)을 상하여 간이 혈을 저장하지 못하기 ...

      성미고감(苦甘), 고삽(苦澁), 양(凉)
      작용부위심(心); 위(胃); 폐(肺)




      한국전통지식포탈

      강다원(薑茶圓)

      [처방]강다원(薑茶圓),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1345)

      약재들을 오매육(烏梅肉)으로 오동나무씨 크기의 환약을 만들어 매번 30알을 식사전에 복용한다., 건강(乾薑), 건다(乾茶), 복건다(福建茶)

      주요내용

      처방 상세정보 주요내용
      내용휴식리(休息痢)를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총 3건)
      조제용법약재들을 오매육(烏梅肉)으로 오동나무씨 크기의 환약을 만들어 매번 30알을 식사전에 복용한다.
      주치병증

      휴식리(休息痢)

      나았다 도졌다 하며 오랫동안 낫지 않는 이질. 이질 초기에 치료를 잘못하여 장 속에 습열(濕熱)이 충임(衝任)의 사이에 머물러 오래되면 기혈이 더욱 하함(下陷)해 청양(淸陽)이 상승하지 못하여 생김. 또는 조섭을 잘하지 않았거나, 색욕을 경계하지 않아서 일어남. 기운이 없고, 몸이 노곤하며, 입맛이 없고, 여위며, 손발이 늘 차...

      출전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1345년)
      편명권제육(卷諸六) 하리(下痢)

      분석정보

      처방 상세정보 분석정보
      IPCA61K 36/9068; A61K 36/82; A61P 33/04; A61P 31/04
      키워드강다원(薑茶圓); 건강(乾薑); 건생강(乾生薑); 균강(均薑); 백강(白薑); 새양; 생강(生薑); 생건강(生乾薑); 복건다(福建茶); 곡아(穀芽); 다(茶); 다아(茶芽); 다엽(茶葉); 세다(細茶); 세다아(細茶芽); 차나무; 해아다(孩兒茶); 호다(好茶); 건다(建茶); 차나무; 휴식리(休息痢); 이질; 리(痢); 이점(痢漸); 이증(痢症); 체하(滯下); 하리(下痢); 감염성만성장관(感染性慢性腸管)세균성이질(細菌性痢疾); 전염병; 장(腸); 창자

      발행정보

      처방 상세정보 발행정보
      DB공개일자2007. 12. 6
      TKOI [?]

      한국전통지식포탈의 개별 콘텐트에 부여되는 객체식별자(Traditional Knowledge Object Identifier)로써, 해당 콘텐츠에 대한 항구적인 접근 경로에 활용됩니다.

      형식:
      http://tkoi.koreantk.com/[TKOI]
      예시:
      http://tkoi.koreantk.com/TKOI:KTKP-TSS-0000045749
      TKOI:KTKP-PRE-0000104689
      DOIdoi: 10.20929/KTKP.PRE.0000104689





      한국전통지식포탈

      생기산(生肌散)F

      [처방]생기산(生肌散)F, 수세보원(壽世保元)(17세기초)

      가루내어 대나무 관을 이용해서 누창구(漏瘡口) 안으로 불어 넣는다., 몰약(沒藥)A, 백반(白礬), 오배자(五倍子)A, 유향(乳香)A, 해아다(孩兒茶)A

      주요내용

      처방 상세정보 주요내용
      구성약재 (총 5건)
      조제용법가루내어 대나무 관을 이용해서 누창구(漏瘡口) 안으로 불어 넣는다.
      주치병증

      치루(痔漏)

      치창(痔瘡)이 오래 경과한 중에 성생활(性生活)을 삼가지 않아 궤파(潰破)되어 농(膿)이 유출되고 창구(瘡口)가 수렴되지 않는 것

      출전 수세보원(壽世保元)(17세기초)
      편명무집오권(戊集五卷)

      분석정보

      처방 상세정보 분석정보
      IPCA61K 135/00; A61K 33/08; A61K 36/22; A61K 36/324; A61K 36/328
      키워드생기산(生肌散); 몰약(沒藥); 말약(末藥); 몰약나무; 몰약수(沒藥樹); 미르; 미르라; 백반(白礬); 고반(枯礬); 고백반; 류서반(柳絮礬); 마치반(馬齒礬); 명반(明礬); 명반석(明礬石); 명석(明石); 민석(悶石); 반석(礬石); 반토(礬土); 백군(白君); 생반(生礬); 석열(石涅); 설반(雪礬); 열석(涅石); 우열(羽涅); 우택(羽澤); 운모반(雲母礬); 이석(理石); 진풍석(鎭風石); 칼륨명반; 칼륨백반; 파석(巴石); 황산칼리알루미늄; 황산칼리알류미늄; 오배자(五倍子); 문합(文蛤); 백충창(百蟲倉); 오거풍(五去風); 오구(五構); 청부양(靑麩楊); 충영(蟲癭); 마륵향(摩勒香); 마미향(馬尾香); 서향(瑞香); 욕향(浴香); 유두향(乳頭香); 유향(乳香); 유향나무; 유향수(乳香樹); 천택향(天澤香); 훈륙향(熏陸香); 훈육향(燻陸香); 해아다(孩兒茶)

      발행정보

      처방 상세정보 발행정보
      DB공개일자2007. 12. 6
      TKOI [?]

      한국전통지식포탈의 개별 콘텐트에 부여되는 객체식별자(Traditional Knowledge Object Identifier)로써, 해당 콘텐츠에 대한 항구적인 접근 경로에 활용됩니다.

      형식:
      http://tkoi.koreantk.com/[TKOI]
      예시:
      http://tkoi.koreantk.com/TKOI:KTKP-TSS-0000045749
      TKOI:KTKP-PRE-0000103666
      DOIdoi: 10.20929/KTKP.PRE.0000103666





      한국전통지식포탈

      탈명단(奪命丹)A

      [처방]탈명단(奪命丹)A, 동의보감(東醫寶鑑)(1613)

         약재들을 가루내어 불에 데운 술에 타서 빈속에 먹는다. 배가 고프면 좁쌀죽을 쑤어 조금씩 하루 2-3번 먹어야 한다. 많이 먹지 말고 하루에 한사발 정도 먹으면 좋다. 많이 먹으면 병이 다시 도져서 고치지 못하게 된다. 50살 이상인 사람은 한두번 정도 먹으면 낫는다., 사향(麝香)A, 주사(朱砂), 해아다(孩兒茶)A, 황반(黃礬)

      주요내용

      처방 상세정보 주요내용
      구성약재 (총 4건)
      조제용법약재들을 가루내어 불에 데운 술에 타서 빈속에 먹는다. 배가 고프면 좁쌀죽을 쑤어 조금씩 하루 2-3번 먹어야 한다. 많이 먹지 말고 하루에 한사발 정도 먹으면 좋다. 많이 먹으면 병이 다시 도져서 고치지 못하게 된다. 50살 이상인 사람은 한두번 정도 먹으면 낫는다.
      효능

      기사회생(起死回生)

      주치병증

      반위(反胃)

      (1) 음식이 내려간 지 한참 만에 거꾸로 넘어오거나 속에서 한동안 묵었다가 도로 나오는 병증. [의관(醫貫)]에 "음식을 여느 때보다 배로 먹어 모두 위(胃)로 들어가기는 하였으나 아침에 먹은 것을 저녁에 토하고 저녁에 먹은 것을 아침에 토하거나 2, 4시간 후에 토하거나 하루 밤낮 동안 쌓여 있어 뱃속이 더부룩하고 답답하여 ...

      금기사항생것, 찬것, 기름진 것과 파, 마늘, 술, 국수 등을 먹지 말아야 하며 성내거나 근심하지 말아야 한다.
      출전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원출전 회춘(回春)
      편명잡병편(雜病篇) 권오(卷五) 구토(嘔吐)

      분석정보

      처방 상세정보 분석정보
      IPCA61K 33/26; A61K 33/28; A61K 35/12; A61K 36/48; A61P 1/08; A61P 35/00
      키워드탈명단(奪命丹); 사향(麝香); 당문자(當門子); 머스크; 무스크; 사미취(四味臭); 사제향(麝臍香); 사향; 사향노루; 시베리아사향노루사향; 원촌향(元寸香); 제향(臍香); 취자(臭子); 광명사(光明砂); 노사(老死); 단사(丹砂); 단속(丹粟); 신사(神砂); 영사(靈砂); 유화수은(硫化水銀); 이기사(二氣砂); 적단(赤丹); 주단(朱丹); 주보사(朱寶砂); 주사(朱砂); 진사(辰砂); 진주(眞朱); 홍사(汞砂); 황화물류광물; 해아다(孩兒茶); 아카시아; 계시반(鷄屎礬); 금선반(金線礬); 황반(黃礬); 황산염류황반(黃礬)광석; 반위(反胃); 위반(胃反); 번위(飜胃); 토; 구토(嘔吐)

      발행정보

      처방 상세정보 발행정보
      DB공개일자2007. 12. 6
      TKOI [?]

      한국전통지식포탈의 개별 콘텐트에 부여되는 객체식별자(Traditional Knowledge Object Identifier)로써, 해당 콘텐츠에 대한 항구적인 접근 경로에 활용됩니다.

      형식:
      http://tkoi.koreantk.com/[TKOI]
      예시:
      http://tkoi.koreantk.com/TKOI:KTKP-TSS-0000045749
      TKOI:KTKP-PRE-0000089546
      DOIdoi: 10.20929/KTKP.PRE.0000089546






      한국전통지식포탈

      계화병(桂花餠)A

      [처방]가루를 내서 계화수와 함께 복용하여 한 알씩 먹는다(爲末 桂花水調爲丸餠 每嚼 一丸), 가자(訶子)A, 감초(甘草)A, 계화(桂花), 아다(芽茶)

      주요내용

      처방 상세정보 주요내용
      내용담(痰)을 맑게 하고 화(火)를 내리며 기침을 그치게 하고 진(津)이 나게 한다
      구성약재 (총 4건)
      조제용법가루를 내서 계화수와 함께 복용하여 한 알씩 먹는다(爲末 桂花水調爲丸餠 每嚼 一丸)
      주치병증

      담(痰)

      (1) 인체의 기혈이 순조롭게 운행되지 않아서 장부의 진액이 일정 부위에 몰려 걸쭉하고 탁하게 된 것. 일련의 질병 때 병적으로 생기며, 병을 일으키는 요인이 되기도 함. (2) 가래.

      출전 의학입문(醫學入門)(1575년)
      편명본초(本草) - 부식치방(附食治方) - 담(痰)

      분석정보

      처방 상세정보 분석정보
      IPCA61K 135/00; A61K 36/185; A61K 36/484; A61K 36/63; A61K 36/82; A61P 1/04; A61P 11/00; A61P 13/12; A61P 31/06; A61P 9/04
      키워드계화병(桂花餠); 가자(訶子); 가려(訶黎); 가려늑(訶黎勒); 가리(訶梨); 가리늑(訶梨勒); 가리륵(訶梨勒); 가자(呵子); 가자나무; 모가자; 삽옹(澁翁); 수풍자(隨風子); 융모가자(絨毛訶子); 감초(甘草); 광과감초(光果甘草); 국노(國老); 국로(國老); 굽은감초; 로초(蕗草); 만주감초; 미초(米醋); 밀감(蜜甘); 밀초(蜜草); 분초(盆硝); 영초(靈草); 영통(靈通); 우랄감초; 유럽감초; 창과감초(脹果甘草); 첨초(甛草); 미감초(동속근연식물); 구감초(歐甘草)(동속근연식물); 광과감초(光果甘草)(동속근연식물); 계화(桂花); 계화꽃; 목서; 아다(芽茶); 다(茶); 명(茗); 우전차(雨前茶); 차나무; 담(痰); 기혈(氣血); 기혈운행; 진액(津液); 점막(粘膜); 가래

      발행정보

      처방 상세정보 발행정보
      DB공개일자2007. 12. 6
      TKOI [?]

      한국전통지식포탈의 개별 콘텐트에 부여되는 객체식별자(Traditional Knowledge Object Identifier)로써, 해당 콘텐츠에 대한 항구적인 접근 경로에 활용됩니다.

      형식:
      http://tkoi.koreantk.com/[TKOI]
      예시:
      http://tkoi.koreantk.com/TKOI:KTKP-TSS-0000045749
      TKOI:KTKP-PRE-0000091042
      DOIdoi: 10.20929/KTKP.PRE.0000091042




      한국전통지식포탈

      계화병(桂花餠)B

      [처방]분말을 내어 계화수와 함께 반죽해서 병을 만든다. 한 번에 1알을 흐르는 물로 복용한다., 가자(訶子)A, 감초(甘草)A, 계화(桂花), 해아다(孩兒茶)A

      주요내용

      처방 상세정보 주요내용
      내용담(痰)을 맑게 하고 화(火)를 내리며 기침을 그치게 하고 진(津)이 나게 한다
      구성약재 (총 4건)
      조제용법분말을 내어 계화수와 함께 반죽해서 병을 만든다. 한 번에 1알을 흐르는 물로 복용한다.
      효능

      청담강화(淸痰降火)

      주치병증

      담(痰)

      (1) 인체의 기혈이 순조롭게 운행되지 않아서 장부의 진액이 일정 부위에 몰려 걸쭉하고 탁하게 된 것. 일련의 질병 때 병적으로 생기며, 병을 일으키는 요인이 되기도 함. (2) 가래.

      출전 수세보원(壽世保元)(17세기초)
      편명계집십권(癸集十卷)

      분석정보

      처방 상세정보 분석정보
      IPCA61K 36/185; A61K 36/484; A61K 36/63
      키워드계화병(桂花餠); 계화(桂花); 계화꽃; 목서; 감초(甘草); 가시털곧은감초; 개감초; 광과감초(光果甘草); 국노(國老); 굽은감초; 로초(蕗草); 미초(米醋); 밀감(蜜甘); 밀초(蜜草); 분초(盆硝); 영초(靈草); 영통(靈通); 우랄감초; 유럽감초; 창과감초(脹果草); 첨초(甛草); 가자(訶子); 가려(訶黎); 가려늑(訶黎勒); 가리(訶梨); 가리늑(訶梨勒); 가리륵(訶梨勒); 가자(呵子); 가자나무; 모가자; 삽옹(澁翁); 수풍자(隨風子); 융모가자(絨毛訶子); 해아다(孩兒茶)

      발행정보

      처방 상세정보 발행정보
      DB공개일자2007. 12. 6
      TKOI [?]

      한국전통지식포탈의 개별 콘텐트에 부여되는 객체식별자(Traditional Knowledge Object Identifier)로써, 해당 콘텐츠에 대한 항구적인 접근 경로에 활용됩니다.

      형식:
      http://tkoi.koreantk.com/[TKOI]
      예시:
      http://tkoi.koreantk.com/TKOI:KTKP-TSS-0000045749
      TKOI:KTKP-PRE-0000093938
      DOIdoi: 10.20929/KTKP.PRE.0000093938






      한국전통지식포탈

      팔보단(八寶丹)A

      [처방]팔보단(八寶丹)B, 수세보원(壽世保元)(17세기초)

         분말을 내어 미감수(米泔水)로 창을 씻고 말려서 바른다., 몰약(沒藥)A, 상아(象牙), 용골(龍骨)A, 유향(乳香)A, 진주(珍珠)A, 파극(巴戟), 해아다(孩兒茶)A, 홍갈자회(紅褐子灰)Z

      주요내용

      처방 상세정보 주요내용
      내용점안(點眼)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총 7건)
      조제용법가루내어 꿀 1냥 반을 구리솥으로 막을 제거한후 면으로 거른후 주사사벽단에 뇌석을 넣고 섞어 황두대로 환을 빛어 주사로 싼다(各爲末 用蜜60g 以銅鍋熬去膜 絲綿濾過 先下朱麝砂礬丹 次下腦石 攪勻乘熱爲丸黃豆大 朱砂爲衣)
      주치병증

      안병(眼病)

      대개는 간열(肝熱), 폐열(肺熱), 심열(心熱), 신수부족(腎水不足), 또는 풍사(風邪)가 머리에 들어가 목계(目系)를 침범해 발생함. 일반적으로 색(色)으로 병(病)을 나눈다. 목적(目赤)은 심(心), 목백(目白)은 폐(肺), 목청(目靑)은 간(肝), 목황(目黃)은 비(脾), 목흑(目黑)은 신(腎)에 병(病)이 있다. 또 허증...

      출전 의학입문(醫學入門)(1575년)

      분석정보

      처방 상세정보 분석정보
      IPCA61K 135/00; A61K 33/08; A61K 33/24; A61K 33/30; A61K 35/56; A61K 36/185; A61K 36/324
      키워드팔보단(八寶丹); 노감석(爐甘石); 감석(甘石); 건석(乾石); 노감석(盧甘石); 노산생(爐山生); 노산석(蘆山石); 노선생; 노안석(爐眼石); 능아연광(菱亞鉛鑛); 능아연석; 백노감석(白爐甘石); 부수감석(浮水甘石); 수아연석; 양간석(羊肝石); 제감석(製甘石); 탄산염류광물; 뇌사(腦麝); 용뇌향(龍腦香); 용뇌향나무; 용뇌향수(龍腦香樹); 고반(枯礬); 고백반; 류서반(柳絮礬); 마치반(馬齒礬); 명반(明礬); 명반석(明礬石); 명석(明石); 민석(悶石); 반석(礬石); 반토(礬土); 백군(白君); 백반(白礬); 생반(生礬); 석열(石涅); 설반(雪礬); 열석(涅石); 우열(羽涅); 우택(羽澤); 운모반(雲母礬); 이석(理石); 진풍석(鎭風石); 칼륨명반; 칼륨백반; 파석(巴石); 황산칼리알루미늄; 황산칼리알류미늄; 방합(蚌蛤); 말조개; 방육(蚌肉); 진주조개; 마륵향(摩勒香); 마미향(馬尾香); 서향(瑞香); 욕향(浴香); 유두향(乳頭香); 유향(乳香); 유향나무; 유향수(乳香樹); 천택향(天澤香); 훈륙향(熏陸香); 훈육향(燻陸香); 광단(廣丹); 괵단(虢丹); 국단(國丹); 군문(軍門); 금류(金柳); 납삼산화물; 단(丹); 단분(丹粉); 도단(陶丹); 도단분(桃丹粉); 동단(東丹); 사산화삼연; 사산화삼염; 산화납(II); 산화납레드; 송단(松丹); 연단(鉛丹); 연화(鉛華); 연황(鉛黃); 연황화(鉛黃華); 용개(龍計); 장단(樟丹); 적색산화염; 주단(朱丹); 주분(朱粉); 진단(眞丹); 창단(彰丹); 창단(彰丹); 트리납사산화물; 혈단(血丹); 홍단(紅丹); 화개(華蓋); 황괵단(黃虢丹); 황단(黃丹); 황룡간(黃龍肝); 진주(珍珠); 렴주(濂珠); 방주(蚌珠); 주자(株子); 진주(眞朱); 진주조개

      발행정보

      처방 상세정보 발행정보
      DB공개일자2007. 12. 6
      TKOI [?]

      한국전통지식포탈의 개별 콘텐트에 부여되는 객체식별자(Traditional Knowledge Object Identifier)로써, 해당 콘텐츠에 대한 항구적인 접근 경로에 활용됩니다.

      형식:
      http://tkoi.koreantk.com/[TKOI]
      예시:
      http://tkoi.koreantk.com/TKOI:KTKP-TSS-0000045749
      TKOI:KTKP-PRE-0000093132
      DOI              doi: 10.20929/KTKP.PRE.0000093132





       






      한국전통지식포탈

      팔보단(八寶丹)B

      [처방]팔보단(八寶丹)B, 수세보원(壽世保元)(17세기초)

      분말을 내어 미감수(米泔水)로 창을 씻고 말려서 바른다., 몰약(沒藥)A, 상아(象牙), 용골(龍骨)A, 유향(乳香)A, 진주(珍珠)A, 파극(巴戟), 해아다(孩兒茶)A, 홍갈자회(紅褐子灰)Z

      주요내용

      처방 상세정보 주요내용
      내용점안(點眼)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총 8건)
      조제용법분말을 내어 미감수(米泔水)로 창을 씻고 말려서 바른다.
      주치병증

      감창(疳瘡)

      소아의 배가 불러 오면서 힘줄이 나타나는 병증.

      대소변삽(大小便澁)

      대소변을 보지 못하는 것.

      습창(濕瘡)

      습진(濕疹)의 하나. 습독창(濕毒瘡) (1) 습진(濕疹). (2) 매독(梅毒).

      신장풍(腎臟風)

      다리와 무릎이 붓는 각기병(脚氣病)의 하나인 습각기(濕脚氣)를 말함

      음두생창(陰頭生瘡)

      음두(陰頭)에 부스럼이 생기는 것

      한열(寒噎)

      한사로 인한 열격증

      열양이통(熱癢而痛)

      열로 인해 가렵고 통증이 있음.

      신면미종(身面微腫)

      몸과 얼굴이 조금 부은 것

      출전 수세보원(壽世保元)(17세기초)
      편명임집구권(壬集九卷)


      분석정보                                             처방 상세정보 분석정보
      IPCA61K 135/00; A61K 35/32; A61K 35/56; A61K 36/32; A61K 36/324; A61K 36/82; A61P 1/04; A61P 1/06; A61P 17/00; A61P 31/00; A61P 31/04; A61P 35/00; A61P 43/00; A61P 7/10; A61P 7/12
      키워드팔보단(八寶丹); 용골(龍骨); 백용골(白龍骨); 분용골(粉龍骨); 오화용골(五花龍骨); 육호유생(六虎遺生); 청화용골(靑花龍骨); 코끼리류; 토용골(土龍骨); 화용골(花龍骨); 몰약(沒藥); 말약(末藥); 미르; 미르라; 상아(象牙); 아시아코끼리; 코끼리; 진주(珍珠); 렴주(濂珠); 방주(蚌珠); 주자(株子); 진주(眞朱); 진주조개; 마륵향(摩勒香); 마미향(馬尾香); 서향(瑞香); 욕향(浴香); 유두향(乳頭香); 유향(乳香); 유향나무; 유향수(乳香樹); 천택향(天澤香); 훈륙향(熏陸香); 훈육향(燻陸香); 해아차(孩兒茶); 차나무; 홍갈자회(紅褐子灰); 해파(海巴); 습창(濕瘡); 습진(濕疹); 습독창(濕毒瘡); 매독(梅毒); 신장풍(腎臟風); 종아리; 버짐; 가려움; 염증; 음낭습양; 음두생창(陰頭生瘡); 고환; 간신(肝腎); 한기(寒氣); 노인; 한열(寒噎); 한사; 열격증; 열양이통(熱癢而痛); 열; 가려움; 통증; 대소변삽(大小便澁); 대소변; 신면미종(身面微腫); 몸; 얼굴; 부종; 경증; 감창(疳瘡); 감질(疳疾); 경계(驚悸); 설사(泄瀉); 하감창(下疳瘡)


      발행정보                                            처방 상세정보 발행정보

      DB공개일자2007. 12. 6
      TKOI [?]

      한국전통지식포탈의 개별 콘텐트에 부여되는 객체식별자(Traditional Knowledge Object Identifier)로써, 해당 콘텐츠에 대한 항구적인 접근 경로에 활용됩니다.

      형식:
      http://tkoi.koreantk.com/[TKOI]
      예시:
      http://tkoi.koreantk.com/TKOI:KTKP-TSS-0000045749
      TKOI:KTKP-PRE-0000093417
      DOI







      특허청

      (301-701) 대전광역시 서구 청사로 189 정부대전청사 4동

      COPYRIGHT 1996 ~ 2014 BY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