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약전(百藥煎)

2017. 4. 27. 14:37향 이야기



       한국전통지식포탈

   


백약전(百藥煎)

[처방]


주요내용

처방 상세정보 주요내용
내용오배자(五倍子)와 차엽(茶葉) Thea sinensis, Pulvis gallarhus 등을 발효시켜 얻은 덩이모양의 물체로, 폐를 적셔주며 담(痰)을 삭혀주며 진액(津液)을 생성시키고 갈증을 멈춰주는 효능이 있는 약재임
구성약재 (총 3건)
조제용법곱게 가루 내어 꿀로 환을 만들어 삼킨다. (右爲極細末, 蜜丸噙化).
주치병증


수(嗽)

가래가 있되 소리가 나지 않거나 그다지 심하게 나지 않는 병증. [선명론방(宣明論方)] 제9권에서 "수는 오장 모두로 인하여 있을 수 있으나, 다 비위(脾胃)가 내상(內傷)된데다 풍사(風邪)를 외감(外感)함으로 인하니 피모(皮毛)가 폐(肺)에 속하기 때문에 풍한(風寒)이 현부(玄府)로 들어가 주리가 열림으로써 안팎의 원인이 합...

출전 경악전서(景岳全書)(1610년)
원출전 단계(丹溪)
편명권지오십구 주집 고방팔진 고진(卷之五十九 宙集 古方八陣 固陣)-8


분석정보

처방 상세정보 분석정보
IPCA61K 36/185; A61K 36/538; A61K 36/82
키워드백약전(百藥煎); 가자(訶子); 가려(訶黎); 가려늑(訶黎勒); 가리(訶梨); 가리늑(訶梨勒); 가리륵(訶梨勒); 가자(呵子); 가자나무; 모가자; 삽옹(澁翁); 수풍자(隨風子); 융모가자(絨毛訶子); 백약전(百藥煎); 다(茶); 명(茗); 아선약(阿仙藥); 차나무; 형개수(荊芥穗); 가소(假蘇); 형개(荊芥)


발행정보

처방 상세정보 발행정보
DB공개일자2007. 12. 6
TKOI [?]

한국전통지식포탈의 개별 콘텐트에 부여되는 객체식별자(Traditional Knowledge Object Identifier)로써, 해당 콘텐츠에 대한 항구적인 접근 경로에 활용됩니다.

형식:
http://tkoi.koreantk.com/[TKOI]
예시:
http://tkoi.koreantk.com/TKOI:KTKP-TSS-0000045749
TKOI:KTKP-PRE-0000101934
DOIdoi: 10.20929/KTKP.PRE.0000101934



koreantk.com/ktkp2014/prescription/prescription-view.view?preCd..   한국 전통지식 포탈






백약전 만드는 요령

☆Huam| 2014.03.30 16:18 |조회 78|신고


백약전을 만드는 방법[百藥煎法]


   오배자 1,500g, 오매살, 백반 각각 160g, 술을 만드는 흰누룩 160g.

위의 약들에서 오매를 수홍료(水紅蓼) 460g을 물에 달여서 찌꺼기를 버린데 넣고 달이되

너무 오랫동안 달이지 말고 알맞춤하게 달인다.


   여기에 거친 오배자가루와 백반, 누룩을 넣고 고루 섞어서 술을 만드는 누룩처럼 만들어

사기그릇에 담아 바람이 통하지 않게 두었다가 흰곰팽이가 끼면 꺼내어 햇볕에 말려서 쓴다.

수염에 물을 들이려면 녹반 160g을 넣는다[입문].



  ㅡ 다음 오픈지식







뉴시스

[웰빙 A to Z]주말 아침-숙취엔 토마토수프

입력 2004.12.02. 01:58 수정 2004.12.02. 01:58 댓글 0

  

【수원=뉴시스】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소장 이한기)는 2일 연말연시를 대비해 술에 취하지 않고 잘 깨는 비법과 술로 인한 체력 및 건강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정리, 발표했다.

세계 술 소비 1위 국가로 낙점되어 술과 뗄래야 뗄수 없는 민족이라고도 하는데, 우리나라 사람이 "술"과 가깝게 지낼 수밖에 없는 이유는 조상과 어른을 섬기고, 남성을 우대하며 의례를 중시하는 유교적 사상에서 술이란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음식이었고, 각 집안마다 술법(酒方文)을 전해야 했기 때문이다.



   우리 조상은 술독에 빠지지 않고 술을 다스리는 "규합총서(閨閤叢書) (빙허각(憑虛閣) 이씨, 1809년)를 현대적 용어로 정리한 "규합총서의 전통생활기술집"(2003)의 내용 중에 "신선불취단(神仙不醉丹)", "만배불취단(萬盃不醉丹)", "취향보설(醉鄕寶屑)", "유황배법(硫黃盃法)" 등이 그것을 증명해준다.


   먼저 술을 마시면서도 취하지 않는 방법으로 "신선불취단(神仙不醉丹)"이 있다.

갈화, 갈근, 백복령 등 16가지의 약재를 가루로 만들어 꿀에 개어 탄자(총알)크기로 만든 것인데, 한 알을 더운 술에 씹어 삼키면 1알에 10잔을 먹어도 취하지 않는다.


   술에 취했다 싶었을 때는 "만배불취단(萬盃不醉丹)"이 있다.

은행, 녹두꽃, 진피(陳皮), 완두꽃 등 15가지의 약재로 오동씨 크기의 환을 지어 술 마시고 반 정도 취한 뒤 1알을 삼키면 술기운이 스스로 풀린다.


   만취 상태에서 술을 깨게 만드는 방법으로는 "취향보설(醉鄕寶屑)"이 있다.

백두구, 정향, 백약전, 모과 등 8가지 약재를 갈아서 더운 물에 먹여 취한 사람을 즉시 깨게 하는 방법이다.


   규합총서(閨閤叢書)에는 술을 약으로 마시는 "유황배법(硫黃盃法)"도 제시하고 있다.

"유황배법(硫黃盃法)"은 호도, 석류황, 백반, 주사, 포도, 속새나무줄기로 만든 술로 매일 아침 더운 술을 부어 2잔씩 먹으면, 풍담(風痰), 백병(百病)이 다 낫는다.


   또 술을 마시고 나서 금식해야 할 것과 술이 깨고 상쾌해지는 방법도 규합총서에는 등장한다.

술을 마시고 먹어 선 안는 것은 ▲막걸리 먹고 국수를 먹으면 기운구멍(氣孔)이 막힌다. ▲술 마신 뒤 몹시 목마르더라도 찬물을 먹지 말아야 한다. ▲찬 기운이 방광에 들어가면 수종, 치질, 소갈증이 생긴다. ▲홍시, 황률, 살구, 버찌, 조기 등의 음식이 상극이니 먹으면 안 된다.

술이 깨고 취하지 않는 법은 ▲밀실 안에서 뜨거운 물로 세수하고, 머리를 수십 번 빗질한다. ▲소금으로 이를 닦고 더운 물로 양치질 3번만 해도 상쾌해 진다.


   규합총서(閨閤叢書)의 전통생활기술집 자료는 농촌자원개발연구소 인터넷 홈페이지(www.rrdi.go.kr) 회원 가입 후 새소식과 생활환경 코너에서 자세히 볼 수 있다.

농진청 관계자는 "술을 옛 선조들이 "약주"라 일컬었듯이 우리의 몸에 해가 아닌 약이 될 수 있도록 위와 같은 방법들을 면밀히 검토해 효과를 검증한다면 술로 인한 체력과 건강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용철기자 yong5303@newsis.com


관련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