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4. 30. 14:39ㆍ美學 이야기
[한국의 美] 최고의 예술품을 찾아서 (16) 사층사방탁자
편집부
독특한 비례감각과 여백미 一品 … 자연 무늬목의 고결함
※ 이미지는 첨부파일 참조
▲ 사층사방탁자, 39×39×149㎝, 19세기, 국립중앙박물관.
한국의 대표적인 목공예품으로는 사랑방 가구로 사랑받아왔던 조선 후기의 ‘사층사방탁자’가 꼽혔다. 소박하고 단촐한 것이지만 품격을 갖추었다는 점에서 높은 미적 가치를 평가받고 있다. 목공예 전문가인 박영규 교수가 ‘사층사방탁자’의 아름다움과 기능에 대해 자세히 짚어 보았다. /편집자주
사방이 뚫려 있고 층널로만 구성된 가구를 사방탁자라 부른다. 하층을 둘러막은 형태와 전체가 층널로만 구성된 것이 있으며 층에 따라 3·4·5층 사방탁자라 부른다. 탁자는 가느다란 골재와 층널 그리고 쾌적한 비례로 짜여 있어 비교적 좁은 한옥 공간에서 시각적, 공간적 면적에 부담이 없다. 또 文房賞玩品을 올려놓고 장식하는 사랑방의 실용적 가구로서 그 기능이 뛰어나다.
사방탁자는 특히 조선시대 주택구조의 특성과 문방생활에 필수적인 안정된 공간을 잘 반영하여 제작된 가구로 대표적이다. 네 개의 층은 올려놓을 기물의 크기와 시각적 효과를 고려해 진열위치를 선택할 수 있어 효율성이 크다. 즉 하층에는 조금 크고 중후한 수석이나 여러 권의 책을, 상층에는 비교적 작고 경쾌한 소품들을 올려놓는다. 시각적인 안정과 정적인 분위기 연출을 위해 중간층을 비워서 여백의 미를 얻기도 했다. 간혹 4층에 여러 질의 서책을 올려놓기도 하였으나 이는 사랑방주인의 취향과 안목에 따라 달리 정돈되었음을 뜻한다.
이 사방탁자의 골재로 사용된 배나무는 탄력 있고 단단하여 굵기에 비해 큰 힘을 감당할 수 있으며, 눈매가 곱고 무늬ㅅ결이 강하지 않아 시각적 부담을 주지 않는다. 판재로 쓰인 오동나무는 종이나 의복 등 습기에 약한 물품들을 보관하는 데 적격인데, 이는 특수 섬유질로 인해 乾濕 조절이 용이하고 판재를 얇게 켜도 터지지 않으며 비틀리거나 수축되지 않고 가볍기 때문이다. 그러나 판재의 색이 희고 표면이 무른 점이 흠인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 바깥면에 사용할 때는 표면을 뜨거운 인두로 지진 후 볏짚으로 문질러 부드러운 섬유질은 털어 내고 단단한 무늬ㅅ결만 남게 하는 烙桐法을 사용한다.
시각적 부담없는 간결한 짜임
이러한 낙동법을 사용한 판재는 표면이 검고 광택이 없어 청빈검약 정신에 부응하는 검소한 분위기를 추구하는 사랑방용품 재료로서 적당하다. 넓은 판재로는 장·농·함·거문고 등을 만들며, 좋은 무무늬ㅅ결의 판재는 사랑방용품인 장·책장·문갑의 복판재·필통·지통·연상·상자·함·고비 등의 문방가구에 이용된다. 한국의 목가구는 특히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에 이르기까지 아주 건실한 구조로 짜여져 있으며, 그 짜임과 이음의 기법은 매우 치밀하다.
탁자처럼 골재와 층널로 구성되는 간결한 가구는 내적으로는 견고하고 외적으로는 부담을 주지 않는 단순한 결구가 뒷받침 되어야 한다. 특히 쇠못을 사용하지 않고 불가피한 부위에만 대나무못과 접착제를 사용할 경우 그 결구는 더욱 중요하다. 이 사층사방탁자(왼쪽 사진)는 가느다란 골재로 각층의 기물들을 받쳐야 하고 비교적 가느다란 네 개의 기둥과 이를 이어주는 천판의 가로지른 쇠목은 외형으로는 단순하게 보이나 내부에는 기둥과 함께 양측의 쇠목에 치밀하고 정교한 촉짜임으로 짜여져 있다. 또한 천판 부위의 가로지른 굵은 쇠목에 홈을 파서 풀칠하지 않고 판재를 끼워 넣는 턱솔짜임을 하였는데 이는 판재의 수축 팽창을 고려한 것이다.
다른 층들은 쇠목과 층널을 턱지게 파내어 서로 얹어 놓는 형식인 반턱짜임으로, 각 측면의 쇠목들을 얇게 하여 시각적인 부담을 주지 않으려는 의도로 보인다. 이러한 짜임과 이음은 간결한 선과 면분할로 이루어진 조선조 목가구에는 필수적인 기법으로 용도와 재질, 그리고 부위의 응력에 따라 구조와 역학은 물론 시각적인 효과를 감안한 격조 높은 기법으로 발전되었다. 또한 배나무 골재의 각진 모서리부분에는 단면도와 같이 선을 따라 가느다란 모로 홈을 파내었는데 이는 직선으로 짜여져 투박하게 보일 수 있는 탁자를 한결 부드럽게 바꾸려는 의도로 짐작할 수 있다.
사층사방탁자의 아름다움과 독특함은 특히 조선조 주택양식과 더불어 살펴봐야 한다. 가구의 선과 면 배분은 한국적인 독특한 비례감각으로 발달해 실내공간에 적용되어 우리 주택양식과 잘 어울리는 미적 감각으로 발전하여 오늘날까지도 높이 평가되고 있다. 가옥의 형태는 주변 자연환경과의 어울림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또 실내 가구는 가옥구조에 맞추어 제작되고 발전된다.
조선조의 주택은 온돌구조로 인해 겨울철에는 두꺼운 판석이 열을 오랫동안 보온하므로 난방효과가 높고, 여름철에는 찬 돌의 냉기가 전달되어 시원하게 생활하는 자연친화적 환경이었다. 그러나 겨울에는 천장이 높으면 윗바람이 세어 일상생활에서 방바닥 열기만으로는 부족하므로 천장을 낮게 하고 방의 폭을 좁혀 따뜻하고 아늑한 공간이 되도록 건축했다. 이에 따라 자연히 작고 낮은 가구들을 벽 쪽에 붙여놓고 사용하게 되었으며 실내에 사용되는 목공 소품 또한 이에 알맞도록 기능적이며 작고 아담한 것들이 제작되었다.
특히 사랑방의 실내에 놓여지는 가구들은 천장의 높이와 앉은키에 맞춰 낮게 제작되었고, 좁은 폭을 고려해 책을 읽고 글을 쓰기 위한 書案과 硯床과 끽연도구인 담배합, 재떨이 등을 모아두는 재판이 중심에 놓이고 그 외의 가구들은 벽면에 위치하고 있다. 이처럼 좁은 공간과 앉은키에서 사용하기 편리하고 시각적으로 어울리는 가구는 복잡하고 큰 것보다는 아담하면서도 정리된 선과 면들로 짜여진 형태가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사랑방 주인의 대부분이 학문을 중시하는 선비로 신분적으로는 양반이며 경제적으로는 가난한 층도 있으나 대부분 중소 지주층이다. 책과 사색을 중요시하는 선비로서는 벗과 함께 학문을 논하고, 그림이나 악기를 통한 예술을 즐기며, 산·들·강·냇가·구름·나무의 眞景山水를 시로 읊고, 후학을 가르치며, 철학을 탐구하는 깊은 멋을 생활화하기 위한 사랑방은 매우 중요한 자리로 인식되었다.
문방의 분위기는 선비의 높은 뜻과 지조, 청빈검약의 이념으로 안정된 공간이 필수적이며 문방생활에 꼭 필요하고 지적 사고에 방해가 되지 않는 간결하고 검소한 기물들로 꾸며진다. 학문의 기본적인 문방사우 즉 紙·筆·墨·硯을 중심으로 문방제구와 생활에 필요한 가구들이 놓여진다.
홍만선(1643~1715)이 지은 ‘山林經濟’에는 “방안에는 서화를 한 축 정도 걸고, 크지 않은 小景이나 花鳥가 알맞다. 색이 있는 眞彩는 單墨만 못하다” 했으니 한 폭의 묵화가 선비의 격조에 어울린다는 말이다. 또 “서가에 雜書를 꽂아두지 말며 책을 높게 쌓아올려도 俗氣가 난다”, “책상이나 硯床에는 雲脚을 새기지 말며, 金具 장식과 朱黃漆은 피하고 무늬목으로 고담하게 하라” 했다. 이렇듯 화려한 조각이나 칠 그리고 금속장석은 현란하여 안정된 분위기를 얻을 수 없으니 자연적인 무늬목으로 고결함을 취하라는 뜻이다.
선비의 내적인 면과 취향 반영
일반적으로 사랑방 주인의 대부분은 학문을 중시하는 선비로 신분적으로는 양반이며 경제적으로는 가난한 층도 있으나 대부분 중소지주층이었다. 선비의 이상을 실천하기 위한 사랑방의 내부공간은 집안의 전통을 중시하는 사회의 객관적 규범과 주인의 인격, 덕망, 학식, 안목, 취향에 따라 특성 있는 실내 공간으로 꾸며졌다. 책과 사색을 중요시하는 선비로서는 벗과 함께 학문을 논하고, 그림이나 악기를 통한 예술을 즐기며, 산·들·강·냇가·구름·나무의 眞景山水를 시로 읊고, 후학을 가르치며, 철학을 탐구하는 깊은 멋을 생활화하기 위한 사랑방은 매우 중요한 자리로 인식되었다.
문방의 분위기는 선비의 높은 뜻과 지조, 청빈검약의 이념으로 안정된 공간이 필수적이며 문방생활에 꼭 필요하고 지적 사고에 방해가 되지 않는 간결하고 검소한 기물들로 꾸며진다. 학문의 기본적인 문방사우 즉 紙·筆·墨·硯을 중심으로 문방제구와 생활에 필요한 가구들이 놓여진다.
이러한 조선시대 선비들의 내적인 사고와 취향 등이 반영된 서안, 책장, 탁자 등의 사랑방가구들은 내적인 면이 강조되고 외적으로 부담감을 줄이려는 노력을 끊임없이 시도하였는데 이러한 강한 의지를 이 사층사방탁자는 잘 나타내고 있다.
사랑방가구를 제작함에 있어서는 장인에게만 의존하기에는 미흡하다. 그들은 제작기술은 완벽하나 선과 면의 처리, 비례감각, 글과 그림에 대한 이해, 질감을 통한 재료의 선택에서 사고와 지적 수준이 다르기 때문이다. 선비의 이상과 취향에 맞는 격조 높은 목공품을 제작하기 위해 세심한 부분까지 적극적인 관찰과 지도가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전통 고가구가 지금까지도 현대인의 주 생활 속에 놓여지는 이유는 조형적인 아름다움과 중후함을 즐기는 감상용품으로서의 가치 뿐만 아니라 장롱같이 실용품 가치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복제품으로 만들어지는 전통가구들은 현대주택과 실내분위기에 어울리지 않아 이용도가 적은 게 사실이다.
그러나 사층사방탁자는 벽널이 없이 골재로만 짜여져 시각적인 부담이 없고 단순·간결한 선과 면의 구성으로 인해 현대 주거생활에서도 다른 기물들과 잘 어울리고 장식장의 역할을 소화해 내고 있다. 또한 전통공예품들은 형태와 비례, 제작기법 등 많은 부분에서 현대적 감각으로 탈바꿈하여 전승·발전되어 나가고 있는데 반해 이 탁자는 시대를 초월하는 디자인 감각을 갖고 있어 옛 모습 그대로 잘 적응하고 있다. 따라서 오늘날에도 기능과 비례, 제작기법 등이 그대로 활용되고 복제품으로 가장 선호하는 품목이 되고 있다.
/ 박영규 (용인대ㆍ미술사)
※ 필자는 홍익대와 프렛 인스티튜트에서 목공예와 실내디자인을 전공했으며, 국립중앙박물관 등에 재직하면서 오랫동안 목공예 관련 연구를 해왔다. 저서로 ‘목칠공예’ 등이 있다.
※ 출처-교수신문 9.4
▒▒▒▒▒▒▒▒▒▒▒▒▒▒▒▒▒▒▒▒▒▒▒▒▒▒▒▒▒▒▒▒▒▒▒▒▒▒▒▒▒▒▒▒▒▒▒▒▒
전문가 조사: 한국 최고의 목공예
사층사방탁자 ★★★★ ㅣ 삼층책장 ★★★
※ 이미지는 첨부파일참조
삼측책장, 66×44×134㎝, 조선 18세기, 리움미술관.
묵직하고 단단하면서 품격 있어 한국의 대표적인 목공예품으로 미술사가들은 ‘삼층책장’ 역시 빼놓을 수 없는 작품으로 꼽았다. ‘사층사방탁자’와 더불어 사랑방의 대표 가구로서, 전면이 오동나무판재로 막혀 있어 여백의 미를 보여준 ‘사층사방탁자’와는 차별성이 있다. 전문가들은 “간결하고 소박한 의장이 돋보인다”, “무쇠경첩 장식과 오동나뭇결 무늬가 어우러져 매우 조촐하고 단순한 맛을 느끼게 한다”라며 삼층책장의 아름다움을 말한다.
이 책장은 두터운 책들을 넣어두기 위해 단단하고 굵은 기둥과 골재의 견고한 틀로 짜여졌다. 좀이 슬기 쉬운 종이를 보관하기 위해 문짝의 복판, 천판, 옆널 등의 판재는 모두 오동나무를 사용했는데, 각 층의 복판재는 오동나무 옹이 부근의 엉킨 무늬ㅅ결을 이용했다. 판재의 표면은 ‘사층사방탁자’와 마찬가지로 인두로 지진 후 볏짚으로 문질러 나뭇결을 나타내는 낙동법을 사용했다. 이로써 자연미가 잘 살려졌고 좌우대칭을 이뤄 안정감도 탁월하다.
둥근 기둥과 무쇠로 된 약과형경청, 자물쇠앞바탕장석, 문변자의 귀장석 등 古式의 제작기법이 사용됐다. 벽선이 없는 여닫이문과 기둥 사이에 달린 무쇠경첩은 문이 활짝 열어젖힐 수 있도록 충실한 기능을 하면서도 전체의 묵직함을 잘 받쳐주고 있다. 風穴(잘게 새긴 꾸밈새)이 없는 성큼한 다리 부분은 역시 이 가구의 격을 한층 높여주고 있다.
/ 이은혜 기자 thirteen@kyosu.net
※ 추천해주신 분들: 강경숙 동아대, 김영원 국립중앙박물관, 박영규 용인대, 정양모 전 국립중앙박물관, 최공호 한국전통문화학교, 이상 총 5명 가나다순.
www.daljin.com/?WS=33&BC=|27&CNO=341 김달진 미술연구소
- 포스트 상세 정보
- 2005-02-16 11:09:39
- 조회 (2131) | 추천 (0) | 퍼간사람
『민속유물이해 I 목가구』중 참고문헌
I 단행본 I
김종태 한국수공예미술(예경) 1991.
국립국어연구원 우리문화 길라잡이(학고재) 2002.
김정기 한국주택사 -한국문화사대계 Ⅳ-(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70.
나선화 빛깔있는 책들 -소반-(대원사) 1990
이종석 한국의 목공예 상·하(열화당) 1986.
이필우 한국산 목재의 성질과 용도 -목재의 구조 및 성질과 용도-(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박영규 한국의 목가구(삼성출판사) 1982.
배만실 이조목공가구의 미(보성문화사) 1978.
배만실 한국목가구의 전통양식(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98.
장기인 한국건축대계IV -한국건축사전-(진성각) 1993.
정대영 한국의 궤(동인방) 1993.
정대영 한국의 장(동인방) 2002.
주남철 한국주댁건축(일지사)1980.
최순우, 박영규 한국의 목칠가구(경미출판사) 1981.
추원교 우리 공예문화(예경) 2003.
호암미술관 우리목가구의 멋(호암미술관) 2000.
호암미술관 한국목가구대전(호암미술관) 2002
아사카와 다꾸미 조선의 소반 -조선도자명고-(학고재) 1991.
야나기 무네요시 한국과 그 예술(지식산업사, 이대원 옮김) 1974.
미셸 뵈르들리 중국의 가구와 실내장식(도암기획, 김삼대자 옮김) 1996.
濱口良光朝鮮の工藝(東京美術出版社) 1965.
濱口良光柳宗悅全集(東京筑摩書房) 1981.
木內式男木工の鑑賞基礎智識(至文堂) 1996.
(財)家具の博物館收藏圖錄(和簞百選) 1986.
王世襄明式家具珍賞(三聯書店) 1985.
陸志榮淸代家具(上海書店出版社) 1999.
I 논문 I
강혜영 한국의 근대 가구에 관한 연구-1880~1960년 의류수납가구를 중심으로-(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강희수 조선조 가구 중 농에 나타난 의장요소 분석(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
고문자 조선조 문방가구의 의장연구(효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8.
김광열 조선조 목가구의 풍혈에 관한 연구(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8.
김미나 조선후기 문방가구 연구(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김학태 조선시대 의복·관모함에 관한 연구(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8.
김헌숙 이조 후기 탁자류의 의장 소고(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5.
나성희 경남지역 반닫이에 관한 연구(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박명도 전통 공예 의장 의미체계의 전승과 변화(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
배만실 조선 후기 목공가구의 연구(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74.
서효석 조선시대 목공예의 금속장식에 관한 연구(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
손지인 조선시대 서화에 보이는 소반(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윤 근 조선왕조시대의 반닫이에 관한 연구 -금속장식문양을 중심으로-(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6.
윤정열 조선조 목가구에 나타난 투조에 관한 연구 -조형성을 중심으로-(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이예선 조선조 반닫이의 의장요인에 대한 형태분석(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이금란 조선시대 후기 반닫이에 관한 연구(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이금주 조선시대 의걸이장에 관한 연구(대구효성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이정생 조선후기의 소반에 관한 연구(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5.
이태희 일제시대 가구 활용을 통해 본 주거실내공간의 변화 -1920~30년대 경성 도시주거를 중심으로-(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이해묵 조선조 반닫이(앞닫이궤)의 지역별 특성에 관한 연구(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8.
전소영 조선조 장롱의 마대에 관한 연구(효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정은주 조선조 목가구의 손잡이에 관한 연구(효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조경임 조선시대 장·농의 조형에 관한 연구(대구효성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조정혜 의장(衣欌)의 양식 변천에 관한 연구(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최공호 조선말기와 근대기의 나전칠기연구(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
최영실 조선후기 목가구 자물쇠연구 -구조와 문양을 중심으로-(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허미영 전라도 반닫이에 관한 고찰(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허영란 이조시대 실내가구의 특징적 성격에 관한 연구(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
I 보고서 I
고도임 충남 외암리 민속마을의 안방사용과 가구 보유 실태연구(가톨릭대학교 교내연구논문) 1988.
김정근, 홍형옥 혼례에 따른 혼수기물과 혼례가구의 변천 I -고대이후 조선시대까지- (대한가정학회지 제34권 1호) 1996.
남철균 조선조 가구공예와 실내공간 연구 -상류주택의 안방과 사랑방을 중심으로-(상명대학교 교내학술연구논문) 1983.
류승열 한말·일제강점초기의 시장정책과 시장변동(한국사연구) 1988.
박영순, 전정윤 조선조 가구에 나타난 의장요소의 분석 -단층장, 이층장, 삼층장을 중심으로-(대한가정학회지 제29권 2호) 1991.
천진희 한국 전통주택의 실내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조선조 상류주택의 안방을 중심으로-(상명대학교 교내학술연구논문) 1995.
박원규 외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목재유물 연대측정 및 수종식별 샘플제작 보고서(국립민속박물관) 2003.
『민속유물이해 I 목가구』자료집에서 발췌
[스크랩] 전통 목가구의 종류와 특징 소목&창호
전통 목가구의 종류와 특징
전통가구는 세 가지 분류로 나누어지는데 모든 주택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나 일반적으로 생활공간에 따라 크게 안방 가구, 사랑방 가구, 부엌 가구의 세 가지로 분류된다.
안방은 주로 여성들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곳이어서 기능적인 가구들로 배치되었는데, 장이나 농을 제외하면 여성취향의 자잘한 기물이 놓여지게 마련이었다. 안방가구는 무늬 결이 아름다운 느티나무나 먹감나무를 사용하거나, 나전칠기, 화각 등의 기법으로 화려한 채색을 가미했다. 또 주석과 백통의 금구장식과 정교한 길상문양으로 호화롭게 장식하여 질박한 것을 애호한 사랑방 가구와는 좋은 대조를 보인다. 이러한 안방가구에는 개인과 가정의 부귀와 수복을 소망하던 조선조 여인들의 미의식이 반영되어 있다.
안방가구로는 장, 농, 반닫이 등 의류 수납용과 귀중품 보관용의 함과 각게수리, 바느질용 반짇그릇, 몸을 단장하는데 쓰이는 빗접, 좌경 등이 있다.
사랑방은 선비들이 학문을 닦고 손님을 접대하는 곳이기에 문인적인 취향을 짙게 반영한다. 선비들은 청빈이란 유교적 덕목을 숭상하고 실천하였기 때문에 사랑방에 놓여지는 가구나 문방구들은 질박하고 격조가 높은 것을 취하였다. 따라서 시각적으로 부담을 주지않는 소박한 질감의 오동나무, 소나무가 주재료로 사용되었으며 번잡한 문양이나 번쩍이는 금구장식 및 울긋불긋한 칠은 피하였다. 사랑방 가구에는 서안, 경상 등의 책상류와 문갑, 사방탁자, 서가, 책장, 연상 등의 문방 가구와 각종 서류를 보관하기 위한 문서함, 책을 넣어두는 크고 작은 궤, 상비약을 넣어 두는 약장, 귀중품을 보관하는 각게수리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의대를 보관하는 의걸이장도 사랑방 가구에 속한다.
무거운 유기그릇, 사기그릇을 식기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부엌가구는 그러한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하고 튼튼하게 만들었다. 또 전통적인 가옥구조에서는 식사를 하는 방들이 부엌으로부터 상당한 거리에 떨어져 있었기 때문에 음식을 담아 나르거나 놓고 먹는 상의 종류가 다양하게 발달하였다.
부엌가구로는 뒤주, 찬장, 찬탁, 소반 등이 있으며 가구는 아니지만 나무로 만들어진 각종 함지류가 있다.
이밖에 부유한 양반이나 토호의 대저택에서는 곳간 세간과 사당 설비를 추가할 수도 있다. 곳간 세간으로서 뒤주와 크고 작은 궤가 있었으며 경우에 따라 진설탁자도 곳간에 보관하였다.
사당에는 제상과 교의를 두었으며 부유한 가정에서는 주고(벽장)를 설치하여 고인의 서적, 유품, 제구 등을 보관하기도 하였다. 주고를 설치하지 못하는 가정에서는 큰 궤 두 개를 마련하여 사당의 동쪽과 서쪽 벽에 한 구씩 배치하였다. 그래서 서쪽 궤에는 서적과 의복류를, 동쪽 궤에는 제기를 넣어 보관하였다. 사당이 없는 서민 주택에서는 제구를 대청의 들보에 설치한 시렁 위에, 제기는 궤에 담아 다락 등에 보관하였다.
가구는 쓰이는 용도에 따라 기거용 가구, 수장용 가구, 문방 가구, 주방 가구, 의식용가구 등으로 분류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재료에 따라 오동문갑, 화류장, 먹감농, 자개장 등으로 불렀으며 형태에 따라 아기장, 원앙장, 벙어리문갑 등 편리하고 쉬운 여러가지 명칭으로 불렀다.
궤(櫃)
나무로 된 장방형의 상자를 가리키며 궤에는 윗닫이와 반닫이(앞닫이)의 두 가지 형태가 있다.
천판(윗면)을 앞뒤로 절개하여 앞쪽을 문판으로 삼은 것을 위쪽에 문이 있다 하여 윗닫이라고 하며, 앞면을 상하로 이등분하여 위쪽을 문판으로 삼은 것을 반닫이 또는 앞닫이라 한다.
돈궤는 윗닫이와 형태는 같으나 크기가 휠씬 작으며 윗면이 절개된 부위 중앙에 엽전이 들어갈 수 있도록 장방형의 작은 구멍이 뚫려 있다.
궤 가운데 윗닫이는 책, 문서, 의복, 피륙, 건어물, 그릇, 제기, 활자등을 보관하는 다목적 가구로서 수납된 물품의 종류에 따라 사랑방, 다락, 광, 사당 등에 놓고 사용하였으며 관청에서도 많이 이용한 가구이다.
궤는 문(뚜껑)이 널판으로 되어 운두가 없으며 문판에 붙은 경첩이 천판과 연결되어 포개 놓을 수 없다.
앞면엔 문이 달린 반닫이 가운데 특이한 형태는 내부를 좌우 칸으로 나누어 두 개의 문판을 나란히 단 원앙반닫이와 문을 중앙에 작게 낸 개구멍반닫이의 두 가지이다. 원앙 반닫이는 부부가 해로하라는 의미로서 결혼 예물로 만들며 부유한 집에서는 내외의 수의를 보관하기 위해서 만들기도 한다.
궤는 견고하고 물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어 각 가정마다 여러 구를 비치하였다.다양한 수요로 지역적 특색을 나타내기도 하지만 필요에의 주문 제작한 것은 일정한 양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 예로 책탁 반닫이, 반닫이장 등을 들 수 있는데 이것은 양식이 다른 가구와 결합하여 독특한 양식을 나타태고 있다.
궤의 기원에 관한 중국 기록으로는 하나라와 주나라의 두 가지 설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신라 탈해왕이 길이 20자, 너비 13자의 궤에서 나왔다는 기록이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 지금까지 삼국시대의 일상 생활용 가구가 발견된 예는 없으나 고분에서 출토된 목관과 부장용 궤의 예로 미루어 왕실 또는 신분이 높은 계층에서는 특수한 용도로 나무 궤를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옷장 의류를 보관하는 가구로서 중, 상류 이상의 가정 내방 가구를 대표하는 우리나라의 고유한 용어이다. 머릿장(단층장), 2층장, 3층장, 의걸이장 드물게는 4층장, 5층장도 있으며 크기에 따라서는 소형장을 아기장이라고도 부르며 형태에 따라 원앙장, 경첩의 형태에 따라 나비장, 불로초장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현존하는 유물들은 대개 나전칠기나 화각장과 같이 울긋불긋하고 호사스러운 기법에 백통과 같은 금구장식을 하고 여러 길상문양을 새기고 있는 등 안방가구의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다.
한복은 평면 재단으로 만들어져 접어서 보관하여도 그 형태가 변형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와 같은 옷장에는 상당량의 옷을 접어 넣을 수 있었다. 그러나 남성들의 관복은 귀중하게 여겨 별도의 관복함에 넣어 보관하였다. 또는 유상(버들로 엮은 상자)과 소상(대나무로 엮어 채색을 하지 않은 상자류), 궤에 보관하였으며 방 한 쪽에 맨 횃대에 걸어 두기도 하였다.
장은 한자로는 수궤 - 곧 세우는 궤하고 한다. 이 용어에서 알수 있듯이 장은 궤가 발전된 것이다. 조선시대 중기 이전에는 2층 3층장이 없었으나 처음 궤에서 양식이 변화되어 단층장인 머릿장의 형태가 되고 이것이 2층 또는 3층으로 변화된 듯하다.
우리나라 장의 앞면은 쇠목과 동자주에 의해 분할되어 머름칸, 벽손(쥐벽손), 문판, 서랍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이 나타내는 독특한 나뭇결은 세련된 조화와 무궁한 변화미를 보여 준다. 이와 같은 양식의 가구는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그 예를 찾아볼수 없다. 내실용장의 다리는 층수에 상관없이 낮고 굽은 앙가마제 형태를 하여 안정감을 준다.
단층장인 머릿장은 쇠목과 동자주에 의해 분할되어 머름칸, 벽손, 문칸, 서랍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2층 또는 3층장의 하단과 동일한 형태로 되어 있다.
이불장은 그 명칭이 비록 장이지만 낮은 머릿장 양식의 단층장이 설치되거나 장이 설치되지 않고 쇠목과 동자주로 구획된 쥐벽칸과 서랍만 설치되는 것이 통례이다. 이불장은 윗면(개판)에 이불을 개어 얹는 용도로 쓰였으므로 부출(기둥)과 쇠목이 전체 가구의 크기에 비해 두껍다. 이불장은 자녀들의 방에 둔다. 2층 또는 3층장은 옷을 넣는 전형적인 내방 가구로서 안방에 둔다.
의걸이장은 조선시대 말기에 나타난 형태로 하단에는 낮은 장 또는 반닫이가 부착되고 그 위로 긴 장이 설치된 2층 구조의 장이다. 위쪽의 내부에 횃대가 달려 있어 옷을 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금침장은 의걸이장과 형태가 유사하나 내부에 횃대가 없으며 일반장에 비해 옆폭이 약간 넓다. 하단에는 대부분 낮은 장이 부착되어 있다.
모든 장의 내면에는 종이를 발랐는데 고급장에는 당지를, 일반장에는 반물을 들인 청색지를 발랐다. 조선시대 말기에는 황지를 바르는 것이 유행하였으며 일제 때에는 노루지를 발랐다.
각게수리, 약장 각게수리는 안방과 사랑방에서 함께 쓰였던 단층장 양식의 가구이다. 여닫이문 앞에 여러 개의 서랍이 설치된 일종의 금고로서 귀중품 문서 등을 보관하는데 사용하였으며 약장으로도 이용하였다.
우리나라의 현존 각게수리에는 내면 서랍에 약재 이름이 적힌 것이 있는데 이러한 각게수리 약장은 대부분 가정에서 상비용으로 쓰인 것이다. 또 내부에 몇 개의 서랍이 있는 것은 귀중품 보관용이다.
직업 한의사들은 많은 서랍이 달린 약장을 사용하였는데 중국에서는 여닫이문 속에 여러 개의 서랍이 있는 백안주에 약재를 보관하였으나 우리나라에서는 극약이 아닌 일반 약재는 노출된 서랍에 보관하였고 극약은 잠금 장치가 달린 장 또는 그 안에 내재해 있는 서랍에 보관함으로써 좀 더 안전하고 간편하게 약재관리를 하였다.
농은 장과 더불어 내실용 가구를 대표하며 아래 위짝이 분리된다는 것이 장과의 다른점이다. 농은 채롱이나 버들고리와 같이 상자 형태에서 연유하였으나, 두세 짝을 포개놓는 것이 일반화되면서 각 농짝마다 여닫기 편리하도록 문을 앞쪽에 붙였을 것이다. 또한 옮기기 쉽게 하기 위하여 옆널에 들쇠를 달았으며 바닥의 온기를 막기 위하여 다리를 따로 붙여서 방바다과 격리시켰다. 농의 판재로는 오동나무, 팽나무, 느릅나무 등이 많이 사용되는 편이다.
형태에 따라서는 수농장, 개판농이라 부르며 재료에 따라 먹감나무농, 자개농, 삿자리농 등으로 분류한다. 수장농은 쇠목과 동자주의 구획이 없으며 서랍도 없고 판재로만 구성된 목제농의 원형이다. 개판농은 대한제국시대에 제작되기 시작한 전통 목가구의 막내격인 가구로서 천판이 돌출되어 이름붙여진 농이다. 삿자리농은 나무 또는 대나무의 골격에 대를 마치 삿자리처럼 엮어 만든 농을 가리킨다. 이밖에 크기가 같은 함을 두 개 포개어 놓은 것을 함농이라고 한다.
농은 원래 대 또는 싸리로 엮어 만든 죽기를 뜻하는 말이었는데 죽기나 유기는 밑짝이 얕은 것을 상, 밑짝이 뚜껑보다 깊은 것을 농이라 구분한다. 뚜껑이 위에 있으며 시렁 위에 올려 두거나 크기가 같은 것을 두세 개 포개어 놓고 사용하기도 하였다.
함 함은 깊은 밑짝에 운두가 얕은 뚜껑을 경첩으로 연결하여 여닫을 수 있도록 한 상자이다. 귀중품을 넣는 용도로 쓰였기 때문에 자물쇠로 채우도록 되어 있다. 자물쇠는 뚜껑에 부착된 긴 걸침대(길채 또는 낙목이라고도 함)의 중간에 달린 고리(길목)와 몸체에 박힌 두 배목의 고리를 연결하여 잠그도록 되어 있다. 양측 널에는 들쇠가 있어 이동하기에 편하도록 하였다. 함은 요즈음도 혼인 때 신랑 집에서 혼서지와 채단을 넣어 신부 집에 보내는 데 사용된다.
제작방법이 다양하며 나전칠기함이나 화각함 뿐 아니라 대나무올을 염색하여 엮은 채사, 대나무 껍질을 붙인 피죽상자 등 특수하게 제작한 것들이 있다. 고려시대의 예로는 나전칠기 경함이 있으며, 조선시대의 것으로는 수납물품에 따라 옷을 넣던 의함, 약함, 문서함 등 다양하게 사용되었고 19세기에는 농과 함께 혼수용으로 반드시 필요한 품목이었다.
빗접과 좌경
빗접은 퇴발낭(사방 80~90센티미터의 유지로 머리를 빗을 때 무릎 앞에 펴 빠지는 머리카락을 받아 모아 종횡으로 3번 접어 보관), 빗, 빗솔, 빗치개 등을 보관하는 제구로서 유리 거울이 나오기 이전에 사용된 머리 단장용 제구이다. 좌경은 유리 거울이 보급되면서 빗접에 거울을 부착한 것으로 빗접이 발전된 양식이라 할 수 있다. 빗접은 소함이라고도 하며 주칠, 나전 칠기 제품이 많은 편이다.
좌경은 빗접보다 나중에 나타난 양식으로 뚜껑의 반을 절개하여 경첩을 달고 뚜껑 안쪽에 거울을 부착하여 뚜껑을 열면 거울을 세울 수 있도록 된 것과 뚜껑이 통판으로 되어 돌려 열고 뚜껑이 받침 다리가 되어 거울을 세우도록 된 형태가 있다. 수장 공간으로 한두 개의 서랍이 달린 것, 거울 밑에 공간이 있어 빗과 빗치개 등을 보관하도록 된 것, 거울만 달린 것 등 여러 가지 양식이 있다. 서랍이 없거나 하나만 있는것은 대부분 사랑방에서 쓰던 것이다.
등화구
19세기 말 석유가 보급 되기 전에 초나 식물성 기름에 불을 밝히던 기구들에는 촛대, 등잔걸이, 좌등 등이 있었다. 초를 꽂던 촛대는 신라와 고려 때의 청동제품이 있으나 기둥나무의 상하에 기름접시와 기름받이 그릇을 이중으로 걸도록 만든 등잔걸이는 19세기 이후의 것들이 대부분이다. 뼈대를 나무로 깎아서 주칠을 한 좌등이 궁중유물로 남아있다.
평상 조선 중기 이후 온돌의 보급으로 평상을 사용하는 경우가 점차 줄었으나 궁중, 사찰사대부 및 선비 계층, 살림에서 손을 뗀 노부인 등 상류계층 사람들은 평상을 사용하였다.
우리나라의 실내용 평상은 예외적인 경우도 있으나 대체로 다리와 난간이 낮고 바닥은 목재의 띠살 또는 대쪽을 대었으며 두 개를 맞붙여 사용하도록 된 짝평상이 특징이다. 여름에는 띠살 사이로 통풍이 되어 시원하며 겨울에는 온돌의 온기가 띠살 사이로 올라와 따뜻하다. 평상 위에 여름에는 등자리를, 겨울에는 보료나 담요를 깔았다. 이 평상은 두쪽으로 나뉘어져 이동하기에 편하며 겨울에는 방에, 여름에는 누마루에 두었으며 때에 따라 밖에서도 사용하였다.
조선시대 인조때는 온돌이 전국적으로 보급되어 평상의 사용이 줄었으나 최근까지도 애용되고 있다.
탁자와 의자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지는 않았으나 궁궐, 관공서에서의 집무와 연회, 재력있는 선비, 사대부의 서재에는 사용되었다. 정방형, 원형, 접도록 된 것 등이 있으며 대로 만든 의자는 여름철에 사용되었다. 특히 중국제의 등직 좌판이 달린 의자를 상품으로 여겼다.
의자 앞에는 연궤라는 중국식 탁자를 설치하였다. 좁고 긴 이 탁자 위에는 붓과 벼루, 서책 등을 두었다. 이밖에 대라고 하는 연회용 소탁자가 있다.
궤
궤는 앉았을 때 겨드랑이 밑에 괴어 편히 기대게 하는 제구이다. 궤의 양식은 크기(총길이 70~75센티미터, 높이 30센티미터 정도)가 크고 장식은 운문영지 등을 음양각하였으며 양측에 투공된 판각의 다리를 대었다. 일반인들의 사제 팔걸이는 규모가 작으며 투각한 세 개의 다리로 상하판을 연결시켰고 위아래의 구별없이 사용할 수 있다.
서안/경상
책을 읽거나 글씨를 쓰는 용도의 평좌식 책상으로 경상 역시 서안의 일종이나 좌우양쪽 귀퉁이가 두루마기형으로 올라가는 형태상의 차이가 있다. 상판의 길이가 짧은 것과 긴 것이 있는데 장소와 용도에 맞추어 독서용으로는 길이가 짧은 것을 사용하고 두루마리에 글을 쓸 때에는 긴 것을 사용한다. 그러므로 작은방과 침실에는 작은 서안을 비치하였다.
상판 아래에는 선반이나 서랍을 달았고 상판이 곧고 판판한 것을 격이 높은 것으로 보았다. 상판의 양끝이 위로 들렸으며 다리와 서랍에 조각 장식을 한 경상은 사찰에서 사용되었던 것으로 민간에서도 사용되었다.
특이한 양식으로는 휴대용 서안을 들 수 있다. 휴대용 서안은 서랍이 있어 지필묵을 넣을 수 있고 다리를 접을 수 있게 되어 있어 휴대에 간편하도록 설계되었다. 보통 소나무로 만든 것이 가장 많으며 제주도의 산유자나무, 호남의 먹감나무 및 황해도의 해묵은 뽕나무도 재료로 많이 사용된다. 주로 나뭇결이 좋은 무늬목 중에서 단단하고 정갈한 것을 취하여 간결하고 소박한 품격으로 만든다.
서안의 예로는 고려시대의 청동제 경상이나 고려 말기의 나한도와 조선시대 풍속화 등에서 부분적으로 보이지만, 현존하는 대부분의 유물은 대개 19세기 이후의 것으로 규격화된 것이 없고 형태도 각양 각색이다.
연갑과 연상
연갑은 벼루만을 담도록 한 것이며 연상은 벼루와 종이, 먹 등을 함께 비치할 수 있게 만든 것으로, 위쪽에는 벼루가 손상되지 않도록 벼루집을 설치하고 그 밑의 서랍이나 빈 공간에는 여러 문방용품을 넣어둔다. 그 쓰임새로 보아 책상 옆에 비치되며, 형태는 뚜껑이나 서랍의 유무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되어 같은 모양의 것이 없다. 현존하는 유물의 대다수는 19세기 이후의 것들이다.
문갑
각종 문방용품과 문서 등을 총괄하여 보관하기 위한 가구로서 문구갑의 준말이다. 문갑은 평좌 생활에 알맞은 책상 높이 또는 문지방 높이의 나즈막하고 가로로 긴 형태로 벽면을 따라 길게 한쌍을 놓고 사용한다. 문방에 필요한 소품들을 넣기 위한 작은 서랍과 선반으로 이루어진 것과 서랍과 선반을 네 짝의 두껍닫이 문으로 감춘 형태도 있다. 이와 같이 네 짝의 두껍닫이 문으로 된 문갑을 벙어리문갑이라고 한다. 천판 위에는 필통, 연적, 수석, 난분 등을 늘어 놓아 진열대의 구실도 한다. 서랍으로 칸을 나누는 시원한 면처리와 간결한 구조 및 기능상 자잘한 물건을 치워서 실내를 정갈하게 하도록 배려한 것은 선비정신의 발로라 할 수 있다.
사방탁자와 탁자장
서책이나 완상품을 진설하도록 3,4층의 층널로 되거나 그 가운데 한 층을 장으로 막은 것을 사방탁자라 하며, 하단 또는 중앙의 한두층에 장을 설치하고 나머지 측널은 세면이 판재로 막혀 앞면만이 뚫린 양식을 탁자장이라고 한다. 시렁위에는 서권, 화축, 화병, 취우, 호, 향로, 다완 등 문방 기구를 늘어놓는 문방의 총책임자로서 서실의 사치스런 완상물이다.
책갑과 책장
책을 귀하게 여겼던 조선시대 선비, 사대부들은 귀중본일 경우 오동나무 책갑에 넣어 보관하였다. 책갑 가운데 큰 것은 내면을 2, 3칸으로 구획하여 전면에 한 짝 문을 내고 문의 중앙에 책명을 가하였다. 한질이 여러권으로 된 경우 8, 9갑에 이르도록 수량이 많았다. 책장은 책을 넣어 간수하기 위한 수납용품으로, 문짝을 열어 젖히는 서장이나 찬탁모양으로 층층이 선반을 얹어 책을 포개두던 서가도 있다.
대체로 2, 3층으로 이루어졌으며 책을 넣기 편리하도록 머름칸, 쥐벽칸을 생략하거나 작게 하여 매층마다 두짝의 문을 달았다. 내면에는 종이를 바르고 외면은 자연스러운 나뭇결이 잘 드러나도록 황칠을 하였다.경우에 따라서는 여의두문, 안상문이나 시구를 문판에 조각하기도 하였다. 책장의 문판 재료는 병충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오동나무를 주재료로 사용하였으며 기능적으로 무거운 책을 넣어둘수 있는 튼튼한 것이 애호되었다. 금속 장식은 구조적으로 꼭 필요한 부위에 최소한의 것을 사용하여 인위적인 장식성을 배제하였다.
뒤주 뒤주는 도궤, 두주, 두도 등으로도 표기하는 곡물을 담아 두는 가구로서 크기가 다양해 크기에 따라 쌀과 잡곡을 구분해 보관하였으나 일반적으로 안쪽에 담긴 곡식의 양을 측정할 수 있도록 그 크기가 어느 정도 규격화 되어 있었다. 소나무를 주재료로 하며 튼튼하게 만들기 위해 네 기둥에 홈을 파서 두꺼운 널이 껴물리도록 짠다. 시우쇠 장석으로 표면을 꾸며 묵직한 중량감을 느끼게 한다. 천판은 이등분하여 위로 곡식을 꺼내도록 한 형태가 경기, 서울 지역에서 사용되는 기본형이다. 앞면은 무늬가 좋은 나무의 통판을 끼웠으며 측면과 후면은 두세 쪽의 판자를 대었다. 뒤주는 상류 계층의 대저택에서는 찬방에 두고 쓰지만 중하류 계층에서는 대청에 두고 양념과 손쉽게 꺼낼 수 있는 밑반찬을 담은 단지 등을 뒤주 위에 올려 놓았다.
찬장과 찬탁
찬장은 그릇과 음식을 보관하는 2, 3층으로 된 장으로 놋그릇, 사기그릇 등의 하중을 받기 위해 튼튼하게 짜여진 점이 특징이다.찬장 중에는 문턱이 층널과 평면이 되도록 하고 문은 창호지를 바른 살창의 미닫이나 분합문을 단 찬장이 있으며 일반 옷장처럼 머름칸과 벽손(쥐벽칸)을 설치한 찬장도 있다. 장식은 대부분 무쇠로 된 것을 사용하였다.
찬탁은 반찬이나 찬거리 등을 얹어두는 두세 층의 탁자로 소나무, 잣나무를 사용하여 굵은 각목으로 기둥을 삼고 층널 역시 두꺼운 것이 특색이다. 중간에 장을 설치한 주방 전용의 찬탁도 있으며 제사 때 마련한 음식을 제상으로 옮겨놓기 전에 올려두는 용도로 쓰이는 진설탁자는 층널로만 구성되어 있다. 찬탁은 상제례 용구를 만들 때 함께 만들며 찬탁을 사용하는 계층은 부유한 양반가이다.
제상과 향안, 교의
제상은 넓은 천판과 가는 원주 또는 각주로 이루어진 다리, 다리의 기능적인 보강과 장식을 위한 운각, 좌우의 중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천판은 네 변에 두꺼운 변자를 대고 가운데 여러 개의 판을 끼운 턱솔짜임 기법으로 제작되었다. 판 밑에는 판을 보강하기 위해서 횡목을 대었다.
제상의 외형상 형태는 단순한 운각 형태와 운각에 초엽을 곁들인 초엽문 운각의 두가지 양식이 있다. 또 기능적으로는 접을 수 있도록 된 것이 주류를 이루었다. 접도록 된 기제사용 제상은 항상 사당 안에 설치해 두는 제상과는 달리 제사가 끝난 뒤 다른 곳에 보관해 두어야 하므로 보관상의 편리함을 생각하여 조선시대 중기 이후에 생긴 양식이다. 조립식 제상은 다리를 몸체에서 분리, 보관하는 형태와 다리를 떼어 방두산지로 고정하는 형태, 그리고 다리, 천판, 중대를 모두 분리하여 보관하는 세자기 형식이 있다.
향안은 제탁과 형태나 짜임기법이 유사하나 서랍이 달린 것과 중대에 층널을 얹은 형태가 있으며 크기는 향제구를 놓기에 충분한 크기로 제작되었다.
교의는 원래 접을 수 있는 의자이나 제례용 교의는 접을 수 없으며 제사 때 신위를 모시는 일종의 의자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이 교의는 앉기 위한 실용적인 목적보다 신주를 봉안하기 위한 목적에서 좌판이 좁으며 또 신좌의 위치가 제상보다 높아야 하므로 다리가 길다.
|
출처 :오디오와 컴퓨터 원문보기▶ 글쓴이 : 관운
cafe.daum.net/k.khr/1Did/380 경주한옥연구회
'美學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美] 최고의 예술품을 찾아서 (18) 백제금동대향로 (0) | 2017.05.02 |
---|---|
[한국의 美] 최고의 예술품을 찾아서 (17) 분청사기박지연어문편병 (0) | 2017.04.30 |
[한국의 美] 최고의 예술품을 찾아서 (15) 달항아리 (0) | 2017.04.30 |
[한국의 美] 최고의 예술품을 찾아서 (14) 백자철화포도문항아리 (0) | 2017.04.30 |
자존을 위해 스스로 눈을 찌른 화가......최북 (0) | 2017.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