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사악지 : 아악ㆍ당악ㆍ속악
2018. 1. 19. 15:30ㆍ율려 이야기
고려사악지 : 아악ㆍ당악ㆍ속악
서명 | 고려사악지 : 아악ㆍ당악ㆍ속악 : 高麗史樂志 |
---|---|
원서명 | 高麗史 |
저/편자 | 정인지 (鄭麟趾 , 1396 ~ 1478) 등 찬 |
저작시기 | 15 세기 |
분류사항 | 사부(史部) 정사류(正史類) |
번역대본 | 한국학문헌연구소에서 영인한 『고려사』(아세아문화사, 1972) |
원문판수 | |
항x자 | |
역자 | 신현규 (申鉉圭 , 1965 ~ ) |
교열 | |
윤문 | |
해제작성 | |
색인/탈초작성 | |
번역주관기관 | 숭실대학교한국문예연구소 |
발행지 | 서울 |
발행처 | 학고방 |
발행년도 | 2011 |
초판발행년도 | 2011 |
형태사항 | 347 p. ; 24 cm |
ISBN | 978-89-6071-216-4. 94810, 978-89-6071-160-0(세트) |
총서사항 | 숭실대학교한국문예연구소학술총서 ; 31 |
번역형태 | 선역 |
원문수록방식 | 혼재 영인 수록 |
판형 | 신국판 (224×151) |
번역문형태 | 한자병기 |
번역서본문(면) | 294 |
원문(면) | |
주석(개) | 666 |
기타 | 찾아보기 수록 |
- 서문-5
- 일러두기-9
- 제0부 악(樂)-15
- 제1부 아악(雅樂)-19
- 제2부 당악(唐樂)-111
- 당악(唐樂)-115
- 악기(樂器)-116
- 헌선도(獻仙桃)-117
- 수연장(壽延長)-129
- 오양선(五羊仙)-134
- 포구락(抛毬樂)-143
- 연화대(蓮花臺)-153
- 석노교(惜奴嬌) 곡파(曲破)-157
- 만년환(萬年歡) 만(慢)-163
- 억취소(憶吹簫) 만(慢)-166
- 낙양춘(洛陽春)-168
- 월화청(月華淸) 만(慢)-169
- 전화지(轉花枝) 영(令)-171
- 감황은(感皇恩) 영(令)-173
- 취태평(醉太平)-175
- 하운봉(夏雲峯) 만(慢)-176
- 취봉래(醉蓬萊) 만(慢)-178
- 황하청(黃河淸) 만(慢)-180
- 환궁악(還宮樂)-182
- 청평악(淸平樂)-183
- 여자단(荔子丹)-184
- 수룡음(水龍吟) 만(慢)-185
- 경배악(傾杯樂)-187
- 태평년(太平年) 만(慢) 중강창(中腔唱)-189
- 금전악(金殿樂) 만(慢) 답가창(踏歌唱)-190
- 안평악(安平樂)-192
- 애월야면지(愛月夜眠遲) 만(慢)-193
- 석화춘조기(惜花春早起) 만(慢)-195
- 제대춘(帝臺春) 만(慢)-197
- 천추세(千秋歲) 영(令)-199
- 풍중류(風中柳) 영(令)-201
- 한궁춘(漢宮春) 만(慢)-202
- 화심동(花心動) 만(慢)-204
- 우림령(雨淋鈴) 만(慢)-207
- 행향자(行香子) 만(慢)-209
- 우중화(雨中花) 만(慢)-211
- 영춘락(迎春樂) 영(令)-213
- 낭도사(浪淘沙) 영(令)-214
- 어가행(御街行) 영(令)-215
- 서강월(西江月) 만(慢)-216
- 유월궁(遊月宮) 영(令)-218
- 소년유(少年遊)-219
- 계지향(桂枝香) 만(慢)-220
- 경금지(慶金枝) 영(令)-222
- 백보장(百寶粧)-223
- 만조환(滿朝歡) 영(令)-225
- 천하악(天下樂) 영(令)-226
- 감은다(感恩多) 영(令)-227
- 임강선(臨江仙) 만(慢)-228
- 해패(解佩) 영(令)-230
- 제3부 속악(俗樂)-231
- 속악(俗樂)-235
- 악기(樂器)-236
- 무고(舞鼓)-237
- 동동(動動)-239
- 무애(無?)-241
- 서경(西京)-243
- 대동강(大同江)-244
- 오관산(五冠山)-245
- 양주(楊州)-246
- 월정화(月精花)-247
- 장단(長湍)-248
- 정산(定山)-249
- 벌곡조(伐谷鳥)-250
- 원흥(元興)-251
- 금강성(金剛城)-252
- 장생포(長生浦)-253
- 총석정(叢石亭)-254
- 거사련(居士戀)-255
- 처용(處容)-256
- 사리화(沙里花)-258
- 장암(長巖)-259
- 제위보(濟危寶)-260
- 안동자청(安東紫靑)-261
- 송산(松山)-262
- 예성강(禮成江)-263
- 동백목(冬栢木)-265
- 한송정(寒松亭)-266
- 정과정(鄭瓜亭)-267
- 풍입송(風入松)-269
- 야심사(夜深詞)-272
- 한림별곡(翰林別曲)-274
- 삼장(三藏)-279
- 사룡(蛇龍)-280
- 자하동(紫霞洞)-282
- 삼국속악(三國俗樂)-285
- 신라(新羅)-286
- 동경(東京)-287
- 동경(東京)-288
- 목주(木州)-289
- 여나산(余那山)-291
- 장한성(長漢城)-292
- 이견대(利見臺)-293
- 백제(百濟)-294
- 선운산(禪雲山)-295
- 무등산(無等山)-296
- 방등산(方等山)-297
- 정읍(井邑)-298
- 지리산(智異山)-299
- 고구려(高句麗)-300
- 내원성(來遠城)-301
- 연양(延陽)-302
- 명주(溟州)-303
- 속악을 사용하는 절차-305
- 부록-309
- 찾아보기-343
'율려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음악이론 - 옛 무곡 형식 (2), 알망드, 쿠랑트, 사라방드, 지그 (0) | 2018.02.10 |
---|---|
[스크랩]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완성자, 파야 (0) | 2018.02.10 |
목은 꺾였어도 최고의 공력, 박봉술 명창 (0) | 2017.12.30 |
步虚词 (0) | 2017.10.27 |
종묘제례악/보태평, 정대업 악장 外 (0) | 2017.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