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각산제이름찾기 운동 추진 / 강북구

2018. 2. 13. 05:19산 이야기



       

삼각산 제 이름찾기 추진,,,| * 회원 - 광장입니다
최재원 | 조회 47 |추천 0 | 2009.06.27. 17:57

  

첨부파일 삼각산_제이름_찾기_추진.hwp

 

       


 

 

 

 

삼각산제이름찾기 운동 추진

 

 




강 북 구

 

 

 

행복을 만드는 강북

1

 

삼각산 제이름 찾기 심포지엄



 

 추진방향

   □ 학계전문가로 사회자, 주제발표자, 토론자 구성 진행

   □ 학계전문가를 통한 역사, 문화적 사료 발굴․고증을 통한 정당성 확보

   서울시지명위원회 및 중앙지명위원회 상정을 위한 고증자료 확보



 

 행사개요

  □ 일    시 : 2008. 11. 10(월) 14:00 ~ 17:00

   □ 장    소 : 한국언론재단(프레스센터) - 별첨#1

      ○ 학술대회 ⇒ 19층 기자회견장(심포지엄)

      ○ 부대행사 ⇒ 19층 로비(삼각산 관련 사진 전시회)

   □ 주요내용

     학계 전문가로 사회자, 기조연설자, 주제발표자, 토론자로구성 연구자료 발표

      ○ 삼각산 사진전시회 개최



 

 추진방안 및 세부추진계획

    □ 심포지엄 주제 및 세션 운영

      ○ 행사주체 : 삼각산 제이름 찾기 범국민추진위원회

      ○ 분야별 세션 운영

세   션

토론 주제

발표자

기조강연

•삼각산의 역사적 의의

송석구 

(가천의과학대 총장)

제1세션

(주제발표)

•금서룡(이마니시 류)의 북한산說 비판

홍윤식 

(일본 규슈대학교 특임교수)

제2세션

(주제발표)

•지형학적으로 본 삼각산

김주환

(동국대 교수)

제3세션 (주제발표)

•삼각산 명칭에 대한 역사적 검토

오경후

(한국불교선리연구원 선임연구원)

제4세션 (주제발표)

•삼각산 명칭의 정통성에 관한 고찰

박경룡

(서울역사문화포럼 회장)

제5세션

(토론)

•금서룡(이마니시 류)의 북한산說 비판

오출세

(동국대 교수)

•지형학적으로 본 삼각산

김추윤

(신흥대 교수)

•삼각산 명칭의 정통성에 관한 고찰

이근호

(국민대 교수)


    

    □ 삼각산 제이름 찾기 심포지엄 특별연사 초청

        ○ 기조연설자 : 송석구 가천의과대학교 총장

    □ 초청대상자 선정

        ○ 초청인원 : 200명

        ○ 초청대상자 선정(안)

 

 

 심포지엄구성

시 간

순 서

행사 및 발표 내용

시  각

시간

13:30~14:00

30

등  록

 

14:00~14:10

10

홍보영상물 상영

삼각산 홍보영상물(홍보담당관,기획예산과)

14:10~14:20

10

환 영 사

김현풍 강북구청장

14:20~14:30

10

휴  식

행사장 준비

14:30~14:40

10

기조강연

 왜 三角山의 이름을 다시 찾아야 하는가

(송석구 가천의과학대 총장)

14:40~15:00

20

- 제1 세션-

주제발표

1. 금서룡(이마니시 류)의 북한산설 비판

   (홍윤식 일본 규슈대학교 특임교수)

15:00~15:20

20

- 제2 세션-

주제발표

2. 지형학적으로 본 삼각산

   (김주환 동국대학교 지리학과 교수)

15:20~15:40

20

- 제3 세션-

주제발표

3. 삼각산 명칭에 대한 역사적 검토

   (오경후 한국불교선리연구원 선임연구원)

15:40~16:00

20

- 제4 세션-

주제발표

4. 삼각산 명칭의 정통성에 대한 고찰

   (박경룡 서울역사문화포럼 회장)

16:00~16:10

10

휴  식

행사장 준비

16:10~16:30

20

- 제5 세션-

   (질의와 토론)

1. 오출세(동국대 교수)

2. 김추윤(신흥대 교수)

3. 김병욱(중앙대 교수)

4. 이근호(국민대 교수)

16:30~17:00

30

과제정리

사회자(김희오 동국대 명예교수)

17:00

0

폐회

사회자

17:30~18:30

60

만찬

20층 프레스 클럽

 

 

 사회자 및 기조연설자

 

성 명

사 진

약      력

비고

송석구

 

■ 현)가천의과학대학교 총장

■ 동국대학교 제14대, 제15대 총장 역임

■ 한국대학총장협의회 회장 역임

■ 동덕여자대학교 총장 역임

■ 국제신문 대표이사

 

김희오

 

■ 현)동국대학교 명예교수, 제3세계연구소 소장

■ 동국대학교 법정대학 법정학부 교수 역임

■ 동국대학교 법정대학 학장 역임

■ 국제지역학회 회장 역임

■ 국제지역학회 고문

 


 

주제발표자

 

 




성 명

사 진

약      력

비고

오경후

 

■ 현)한국불교선리연구원 선임연구원

■ 현)동국대학교 강사

■ 동국대학교 대학원 사학과(문학박사)

 

박경룡

 

■ (사)서울역사문화포럼 회장

■ 서울시사편찬위원회 연구 간사

■ 국사편찬위원회 사료조사위원 전국협의회장

■ 숭실대학교 대학원(문학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수료

 


 

 토론자

 

 

성 명

사 진

약      력

비고

오출세

 

■ 현)동국대학교 국어국문과 교수(경주갬페스)

■ 국민대학교, 동덕여대 출강

■ 국민대학교(원) 국사학과(문학박사)

 

김추윤

 

■ 현)신흥대 지적부동산과 교수(지리학 박사)

■ 현)한국동굴학회 부회장

■ 현)한국땅이름학회 부회장

■ 현)한국도시지리학회 이사

 

이근호

 

■ 현)국민대 국사학과 교수

■ 현)한국문화재보호재단 자문위원

■ 국민대학교 국사학과(문학박사)

 

 

 

 

행복을 만드는 강북

2

 

삼각산 제이름 찾기 운동 추진


1. 삼각산 개요

□ 면    적 : 54.5㎢

□ 위    치 : 강북구, 도봉구, 성북구, 은평구, 종로구, 서대문구,

                 경기도 고양시, 양주시, 의정부시에 접해 있음 (9개 자치단체)

북한산 국립공원 지정 (1983. 4. 2 )

   - 총면적 78.45㎢ (도봉산 포함)

   - 서울시 관할지역 39.71㎢, 경기도 관할지역 38.74㎢

□ 국가지정문화재(명승) 지정 : 명승 제10호(2003.10.31문화재청장)

2. 삼각산의 명칭


명칭유래

삼각산은 인수봉(仁壽峰), 백운봉(白雲峰), 만경봉(萬景峰)의 세 봉우리가

   우뚝 서서 깎아 세운 듯한 삼각(三角)과 같다하여 이러한 이름이 붙은     것으로 고려․조선시대는 물론 최근까지 일반적으로 불리어 온      북한산의 옛 이름임


○ 조선시대 편찬된 『세종실록 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동여지지』,    『여지도서』, 『증보문헌비고』, 『북한지』, 『대동지지』등의 역대     지리서와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모두 한결같이 삼각산으로 기록


삼각산의 여러 가지 명칭

○ 부아악(負兒岳)

삼국시대 사용되던 명칭으로, 인수봉이 어머니가 아이를 업고 있는 형상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


○ 화산(華山),화악(華岳)

삼각산 세봉우리가 연꽃모양과 비슷하여 불교인들이 연화산(蓮花山)의 준말인 화산이라 불렀다는 설


○ 중악(中岳)

오악(五岳) 중 국토중앙을 대표하는 명산이라하여 중악이라 함


※ 오악 : 삼각산(중악), 지리산(남악), 묘향산(서악), 금강산(동악), 백두산(북악)


○ 중흥(中興)

삼각산에 중흥사(重興寺)가 있고, 그 곳을 중흥동(重興洞,中興洞)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 선조때 이덕형이 삼각산  일대를 답사하고 작성한 <중흥산성간심서>에 등장

□ 삼각산의 명칭 변화

삼국시대에는 부아악으로 불리다가, 고려와 조선을 거쳐 근래까지       약 1천여년간 삼각산이란 명칭이 일반적으로 사용


<고려사>, <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지> 등     각종 역사서․지리서, 문인들의 시와 산문에서도 삼각산으로 등장


북한산이란 명칭은 처음부터 산이름으로 붙여진 것이 아니라 서울의 옛이름인     한산의 북쪽을 가리킨 「한강이북의 한산지역」이란 의미의 지명이었으며,


1915년 조선총독부의 고적조사위원을 지낸 금서룡(今西龍)이 삼각     산의 유적을 조사하고, 그 보고서의 명칭을 「경기도 고양군 북한산     적 조사보고서」라고 하였으며, “북한산은 삼각산으로도 일컫고 달리      화산이란 이름도 있다”고 소개한 이래,


일제시대 행정구역, 지명개편을 계기로 삼각산과 혼용되다가, 1983년      「북한산 국립공원」 지정과 함께 공식명칭화

  ※ 조선 후기 실학자 이익(李瀷)의 문집에 <유삼각산기(遊三角山記)>와 <유북       한기(遊北漢記)>가 실려 있는데 여기서 북한은 산명(山名)이 아니라 북한       산성의 약칭으로 사용


  ※ 본래 북한산이라는 명칭은 산이름이 아니라 ?한강이북의 한산 지역?이란       의미의 지역이름으로 사용

     (이상태/국사편찬위원회 고증세사실장, 이흥환/한국땅이름학회 이사)


3. 삼각산의 연혁 (역사적 배경)


□ 삼국시대- 백제초기문화의 발상지, 삼국세력의 경합지

백제시조 온조가 한산에 이르러 부아악에 올라가 살만한 땅을 물색 


백제 한성시대 재상선출, 왕위계승문제 등 중요국사 논의결정 장소


삼국시대 중심 요새지로서, 삼국의 주요한 쟁탈 대상지

   (백제 개루왕 132년 토성 축조, 신라 진흥왕 순수비 )


원효대사, 의상대사 수도 (원효봉, 의상봉 지명 유래)

□ 고려시대 - 군사적 요새, 불교신앙 활발

11세기 초 거란침입시 태조의 관을 삼각산향림사로 이전하고 성 증축

우왕 13년(1387) 왜구방비책으로 노적봉 중심으로 중흥동 석성 수축

오행사상과 지리도참사상의 중요지역

사찰건축 : 왕건 중흥사 창건, 현종 진관사, 탄연 문수사 등 창건


□ 조선시대 - 서울의 진산, 수도의 방어기지

무학대사가 한양을 조선의 도읍으로 삼고자 삼각산 답사

서울의 진산(鎭山), 종산(宗山)으로서 각종 제의 및 도당굿 등 무속․축제 성행

천혜의 방어기지로서 중요성 강조 (숙종 북한산성 축성 )


□ 일제시대 - 독립운동의 요람

의병전쟁 막고자 일본 헌병대 주둔- 사찰 및 봉우리 훼손

의암 손병희 선생, 봉황각에서 3.1독립운동 준비 및 인재양성(별첨)

 → 삼국시대부터 선조들이 제사를 지내고 도를 닦는 등 민족사와 문화의 상징

 

<경조오부도 : 1861년 김정호(대동여지도 내)>

<삼각산의 현재>


□ 서울의 대표적 자연휴식공간 (연간 탐방객 약 1,000만명)

수려한 자연경관과 문화유적지, 편리한 교통으로 서울․수도권 이천여만 국민들이 즐겨 찾는 도심속 자연공원


□ 도시지역에 대한 녹색허파 역할

광대한 면적에 울창한 수목과 1,300여종의 동식물 서식지


□ 생생한 역사의 현장

역사․문화유적 및 사찰 암자가 곳곳에 산재하여 있는 삼국시대 이래 조상들의 자취를 체험할 수 있는 역사교육의 장


 □ 암벽등반을 함께할 수 있는 세계적인 등산코스


<삼각산 문화자원>


문화재 : 진흥왕 순수비, 도선사 마애석불, 북한산성, 봉황각 등

삼국시대부터 삼국의 세력다툼 요지였으며, 많은 고승대덕들이 참석 수도한 곳으로, 다양한 문화재 산재


 □ 사  찰 : 도선사, 화계사, 보광사, 삼성암, 용덕사, 백련사 등

일찍부터 명산으로 알려진 삼각산에는 신라시대 창건된 사찰을 비롯, 크고 작은 사찰 및 암자가 소재


             <백련사>                 <화계사>                    <도선사>

 

4. 삼각산 제이름 찾기 운동 추진

□ 필요성

삼각산은 고려 성종 무렵부터 약 1천년간 사용해온 산명인데 반해

   북한산이라는 명칭은 일제가 우리민족의 정기를 억누르기 위해      창지 개명한 것    


○ 지명이란 우리 조상들의 얼과 혼이 녹아 있는 결정체라는 견지에서     볼 때, 천년동안 우리조상들이 사용했던 삼각산이라는 명칭을 되찾는     것은 삼각산 문화의 뿌리를 찾는 과업인 동시에 민족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민족사 복원의 계기 마련


□ 복원 절차

○ 구청장협의회 → 서울시에 건의 →시지명위원회 심의 → 시․도지

   협의회 상정 → 중앙지명위원회 심의결정(국토해양부 소속 국토     지리정보원)


□ 그간 추진사항

2003. 10. 31 : 삼각산 국가지정문화재(명승제10호) 지정

   ※ 총면적중 0.5%인 0.273㎢ 지정


○ 2004. 2. 10 : 건설교통부에 삼각산(북한산)명칭 변경 요청


○ 2004. 2. 21 : 건설교통부(국토지리정보원)회신

   - 회신내용 : 시지명위원회 개최 등 절차이행후 송부


○ 2004. 3. 11 : 서울시 제1차 지명위원회 개최


○ 2004. 3. 25 : 서울시 지명위원회 개최결과 통보(보류결정)

삼각산에 대한 관련 자료연구 검토 및

보다 정확한 고증절차를 거쳐 추후 재심의


2004. 4. 6 : 삼각산 명칭복원을 위한 관계전문가 간담회 개최


○ 2004. 5. 30 : 삼각산 명칭복원 서명운동(솔밭근린공원)


○ 2005. 4. 18 : 삼각산 국제포럼 개최(9개국 12개 도시 참여)


2005. 10. 7 : 산림청 우리산 제이름 찾아주기 결과 발표

                 북한산→삼각산, 백운대→백운봉 개명 포함


2006. 12. 15 : 삼각산 관련 종합세미나 개최


2007. 11. 10 : 삼각산 알리미 홍보단 발족


○ 2008. 1. 17  : 인터넷 서명운동 개시


○ 2008 10. 21  : 삼각산 제이름 찾기 운동 범국민 추진위원회 구성


○ 2008. 11. 10  : 삼각산 제이름 찾기 심포지엄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