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 온조계와 부여씨 / 역사문 자이수 님

2013. 8. 1. 23:41우리 역사 바로알기

 

 

백제 온조계와 부여씨 |백제 토론방
자이수 | | 조회 68 |추천 0 | 2013.07.31. 18:32 http://cafe.daum.net/alhc/3Cdg/572

(서기 304년) 분서왕이 낙랑에서 보낸 자객에 의해 피살되자, 구수왕의 둘째 아들인 비류왕이 왕위에 올랐다.
============
분서왕은 낙량에 의해 피살되었다기보다는 대방에 의해 피실된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304년는  낙랑(313)과 대방(314)이 멸망하기 이전인데, 대방을 지나 낙랑이 있는데, 낙량이 자객을 보낼 이유가 없어보입니다.
초고왕->구수왕->비류왕>근초고왕->근구수왕으로 이어지는 왕위는 온조 다루기루 개루 왕으로 이어지는 왕위계승에 심각한 변화가 있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이 초고왕계가 저는 성씨가 부여씨로 부여에서 대방을 거쳐 백제로 온 부여세력이라고 보여집니다.

 

개루왕의 둘째 아들로 나오는 고이왕은 해씨로 부여씨인 초고왕에게 왕위를 빼았기고 난후 해씨를 대표해서 반정에 성공해서 왕위를 이어가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이렇게 백제는 초고왕계와 고이왕계로 나누어 왕위를 이어가다가 근초고왕에 이르러 부여씨로 왕위가 계승되고 해씨집안에서 왕후로 삼아 왕위계승에 타협점을 이루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문제는 근초고왕의 부인이 둘이 있었는데.. 적자인 해씨부인의 아들(구수왕)에게는 백제를 물려주고 , 진씨부인의 아들에게는 후에 가야를 점령하여 가야를 진씨부인의 아들에게 맡겼지 않나 보여집니다.

 

백제에는 최초의 왕인 온조왕의 성씨인 해씨와 그 이후에 부여씨, 그리고 큰 호족 세력을 형성한 진씨에 의해 다스려 진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

 

양서(梁書) 제이열전(諸夷列傳) 백제전의 일부

 

晉太元中王須                ()나라 태원(太元, AD 376-396) 때는 

                            임금 수()

義熙中王餘映                의희(義熙, AD 405-418) 때는 임금

                            여영(餘映)

宋元嘉中王餘毗              ()나라 원하(元嘉) 때는 임금

                            여비(餘毗)

並遣獻生口                  사신을 보내 사람을 바쳤다.

 

餘毗死                      여비(毗死)가 죽자

立子慶                      아들 경()이 임금이 됐다.

慶死                        ()이 죽자

子牟都立                    아들 모도(牟都)가 임금이 됐다.

都死                        모도가 죽자

立子牟太                    아들 모태(牟太)가 임금이 됐다.

 

齊永明中                    ()나라 영명(永明, AD 479-502)

除太都督百濟諸軍事          <<태도독 백제 제군사

東大將軍百濟王            진동대장군 백제왕>> 관직을 제수(除授)하였다.

天監元年                    천감(天監, AD 502-519) 원년에

進太號征東將軍              큰 이름인 <정동장군>을 더했다.

 

尋爲高句驪所破              고구리와 싸워 크게 지고

衰弱者累年                  힘이 약해진 지 여러 해가 되었다.

遷居南韓地                  나라를 남쪽 한() 땅으로 옮겼다.

 

普通二年                    보통(普通, AD 520-526) 이 년(521)

王餘隆始復遣使奉表          임금 여융(餘隆)이 처음으로 다시 사신을

                            보내고 글을 올렸다.

                          글에

累破句驪                    <고구리를 여러 차례 깨뜨렸습니다.

今始與通好                  이제 처음으로 좋은 관계를 맺고자 합니다>

                            하고 적혀 있었다.      

而百濟更爲              백제가 다시 강한 나라가 되었다.

 

其年                        그해

高祖詔曰                    고조(양 고조 소연(蕭衍))가 조서(詔書)를 내려

行都督百濟諸軍事            <행도독 백제 제군사

東大將軍百濟王餘隆        진동대장군 백제왕 여융은  

守藩海外                    바다 밖에서 번방(藩方)을 지킨다.

遠脩貢職                    멀리서 공물을 바치며

迺誠款到                    지극한 정성(誠款)을 보이니

朕有嘉焉                    ()가 매우 기쁘다.

宜率舊章                    마땅히 옛 규정에 따라

授茲榮命                    이 영예로운 작위를 내린다.

可使持節                    <<사지절

都督百濟諸軍事              도독 백제 제군사

寧東大將軍百濟王            영동대장군 백제왕>> 관직을 주는 것이

                            마땅하다>고 하였다.

 

五年                        오 년(524)

隆死                        ()이 죽자

詔復以其子明爲              다시 조서를 내려 그 아들 명()에게

持節督百濟諸軍事            <<지절(持節) 독백제 제군사

綏東將軍百濟王              수동장군 백제왕>> 관직을 주었다.

 

號所治城曰固麻              임금이 살면서 나라를 다스리는 성을

                            고마(固麻)라고 부른다.

謂邑曰檐魯                  마을은 담로(檐魯)라고 부른다.

如中國之言郡縣也            지나 말로 군현(郡縣)과 같다.

 

 

 

                                                                                   다음 카페 <우리역사문화연구모임>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