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族譜와 韓國人의 삶

2018. 3. 10. 19:12잡주머니


族譜韓國人의 삶

 

族譜血統根源先祖事蹟이 기록된 조상의 얼이 담긴 소중한 자료였다.

 

1. 족보의 기원

1) 여와, 복희 (, ), 風俗通義(東漢·應劭) 기록.

- 의 최초 창시자는 태호복희이다. 孔子<周易>에서 복희씨가 처음으로 八卦를 그렸다고 말한다

2) 春秋戰國 시대

-(가 내려 주는 賜姓)

-(貴賤 구별, 賤人은 이름만 존속)

-취득방법: 賜姓, 冒姓, 變姓, 自稱姓

3) 우리나라 최초의 기록: 제왕들의 계보는 역사를 기록할 때 작성 추정.

-최치원의 帝王年代歷, 三國史記의 본기와 년표, 三國遺事王歷條三國의 왕실계보가 체계화.

-고려조: 각 지방의 읍사에 吏案(鄕吏의 명부)을 비치, 향리의 선임과 승진 등에 활용.

 

2, 최초의 족보

-고려 18毅宗 金寬毅가 작성한 王代宗族記로 알려짐.

-1412(태종 12) 종실에서 嫡庶를 명확히 하기위해 璿源錄, 宗親錄, 類府錄을 왕실 중심으로 작성.

-1467(세조 13) 최초 성씨 관계 단행본 海東姓氏錄이 왕명에 의해 梁誠之가 찬진, 현존하지 않음.

-이외 왕실에서 國朝譜牒, 當代璿源錄, 列聖八高祖圖 등을 宗簿寺에서, 외척과 부마를 중심으로 하는 敦寧譜牒敦寧府에서 편찬.

-私家에 영향, 1476(성종 7) 安東權氏成化譜, 1565(명종 20) 文化柳氏嘉靖譜 간행 이후 성행.

 

3. 족보의 변천

-조선 전기 족보의 계보관념이나 편찬방식은 朱子學이 뿌리를 내리고, 宗法制를 근간으로 하는 사회질서가 강조되는 18세기에 이르기 까지 서서히 변화.

-조선 후기 양적 증가에 따라 위.변조 시작.

-兩亂 이후 신분 질서 동요, 양반 신분 증명 수단으로 이용, 족보 간행 증가.

-門中間 경쟁 우월과시 주요 수단, 선조들의 계보 관직 등 과장, 수정, 조작이 가해짐.

-기존 유명 家門에 자신의 系譜 연결 本貫을 고치거나, 同一姓貫이라도 顯達한 조상이 없는 派系顯祖가 있는 派系連接하여 合譜하는 예도 등장.

 

-1702(숙종 28): 奴婢庶民 比率

-1894東學亂 班常관계 소멸 (集姓村 형성): (奴婢- 머슴 변동)

-19세기 3大 農民戰爭.

 

4. 淸譜濁譜, 別譜

-청보는 그 내용이 사실적 족보이며, 탁보는 과장 거짓 족보를 말함.

 

5. 족보의 慘禍, 를 말리다

- 開城王氏滅族사건, 高麗聖源錄

- 建國 秘話 : 金克, ()씨와 김()

- 1740(영조 16) 杜門洞 비화(不朝峴)

- 癸酉靖亂(1453), 端宗復位 (1455): 斬刑, 婦女名 소멸.

- 鄭道傳 (妻家도륙), 高麗 김문현(金宗直 사건), 張維(還鄕女 사건)

- 庶孼 禁止法: 鄭道傳太宗, 徐選- 經國大典.

 

6. 白丁扃堂(太學, 國學, 國子監, 成均, 經學院, 書堂)

-星湖六蠹, 茶山'我邦疆域考

 

7. 을 갈다

- (), (), (, ), (- 예천 )

- (쿵추이창), (멍린지): 2012. 3/ 1911辛亥革命 깃점.

- 老子(父 韓乾): 唐太宗 李世民祖上

 

8. 피휘(避諱)

(後漢 6代 劉祜 106)-- , 劉啓- 啓蟄(驚蟄)

- 국휘(國諱)는 군주의 이름을 피하는 것이다. 보통 황제는 7대 위, 왕은 5대 위의 조상까지 그 이름을 피했다.

-가휘(家諱)는 집안 조상의 이름을 피하는 것이다.

-성인휘(聖人諱)는 성인의 이름을 피하는 것을 뜻한다.

-원휘(怨諱)는 원수지간인 사람의 이름을 피하는 것을 뜻한다. 삼국시대 촉의 장수 오의가 정사 삼국지에는 사마의의 이름을 피휘해서 오일로 기록된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나라 사이의 외교 문서나 집안 사이의 서신 등에서는 서로 피휘를 지켜 주었고, 군주의 이름에 쉬운 글자가 들어 있으면 나라 전체에 불편이 생기고 외교상의 문제도 생길 수 있기 때문에 군주와 그 일족의 이름은 잘 쓰지 않는 글자를 택했으며 주로 한 글자로 지었다.

 

9. 古代史書 분서사건

-관구 검(毌丘儉, ? ~ 255), 244丸都城 침공

-鄭道傳, 陳自成: 上系 不分明 초래, 徐師昊(白頭大間 말뚝).

-太宗, 世祖, 睿宗, 成宗

 

10. , ,

- 李世民 피휘

- , 표기법

- 祭祀: 4(3품 이상), 3(6품 이상), 2(7품 이하), 서민(1)

- 大監(1- 2), 令監(2-3), 나으리(6)

 

11. 寒食나라

- BC 765, 介子推足下, 太大兄, 마노라

- 백색(적색), 뽕나무 (잣나무, 밤나무), (), ()

- 李成桂, 鄭夢周, 申師任堂

- 貨幣(圓孔貝錢): 世宗, 栗谷, 退溪

- 奇子朝鮮箕子朝鮮

 

12. 位牌(神主)- 뽕나무, 밤나무

 

13. 祭主(初獻官, 亞獻官, 終獻官)

- , , (禮記 曲禮下, 凡祭宗廟之禮犬曰羹獻)- 說文解字.

- 中山國의 멸망과 국 한 그릇(河北城, BC 414-118 존속, 사마의 조나라 망명)

14. =(殷王 墓)

-人骨犬骨, 성 베드로 광장, 명량과 일본군기. 언더우드의 여호와 하느님.

 

15. 人骨: 1960년 윌라드 리비(100, 同期感應)

- 방사성 탄소연대측정법 개발(고고학), 원자폭탄 제조 필수공정 우라늄 동위원소 분리법 개발

 

16. 뿌리(1976년 알렉스 헤일리, 킨타쿤테)

- 중국: 전 세계 화교, 족보 입력.

 

17. 本貫

’, ‘’, ‘관향’, ‘적관’, ‘향관등 다양한 용어로 사용되었다. 본관은 지명을 이용하였는데, 본래는 채읍지를 주로 본관으로 하였으나 포상으로 삼는 경우도 있었다. 그리고 본관은 일시에 형성된 것은 아니며, 국가가 과거 시험에 응시하는 자에게 씨족을 확실하게 기록하라고 하는 등 법제적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이 이후로 본관이 법적 구속 작용을 하였을 것이다. 그러나 동성동본이라 하여 모두가 동족은 아니고, 동성 이본·이성 동본·이성 이본이라 하여 모두가 이족은 아니다. 또한 동성 동본이라 하여 모두 동일 혈연 집단이 아니다. 특히, 이성 동본은 같은 군현에 살면서 혼인을 통하여 강한 유대를 형성하였으니, 동족 이상의 관계를 형성하는 경우가 많았다.

 

18. 三國主要 姓氏

. 高句麗: , , , , , , , , , , , 을지 등

. 百濟 8대 성씨(北史, 隋書, 新唐書)

-, (3,549), , , (1,579), (2,182), ,

 

- 고구려, 백제 전성시 강군 100- , 침입. 북연 제 노 휘어 잡아,

중국의 두통거리였다 (삼국사기 최치원 전)

- 大唐平百濟國碑銘: 24만호, 620만 명.

- 삼국유사: 152,300

- 1404(태종4) / 충청: 44,476, 전라: 39151= 83,629.

 

. 新羅: , , , , ,

-인구: 18만호(90만 명)/ 경주: 260,263(2015. 8)

 

. 국가는 3년마다 호적을 정리, 그 때마다 성을 가진 인구 증가로,

17세기 후반에는 20%가 성씨를 가졌고,

19세기 초에는 50%를 넘고,

19세기 후반에는 70%를 넘게 된다.

 

19세기 후반에는 전체 인구의 70%가 양반이 되는 것이었다.

그러다가 전 국민이 성씨를 가지게 된 것은 1909년 일제가 실시한 '민적법'에 의해서였다.

 

* 소소한 얘기

 

*Diaspora(흩어진 씨앗)

-민족(726만명-175개국), 유대인(730만명-100개국), 화교(4,543만명-130여 개국)

(해외동포재단, CIA)

 

*체류자

1.조선족(588,803), 2.중국(299,023), 3.미국(137,165), 4.베트남(129,621)

5.태국(90,208) 6.필리핀(52,379) 7.우즈베키스탄(44,592), 8.인도네시아(42,267), 9.캄보디아(38,319), 10.일본(37,440)

 

이름 앞에 성이 오는 나라 : 동아시아, 헝가리, 인도

-이름 뒤에 성이 오는 나라 : 헝가리를 제외한 서양 모두, 터키

-성이 없는 나라 : 아랍

(때문에 이름에는 아버지 이름, 할아버지 이름, 부족출신, 고향이름 등이 붙는다)

-결혼을 하면 여자의 성이 남편 성을 따르는 나라 : 대부분 국가, 일본

-결혼을 해도 여자의 성이 남아있는 나라 : 한국, 중국

-부모와 자식들의 성이 다른 나라 : 아이슬란드

아버지 성씨에 아들에게는 -sson()을 붙이고, 딸에게는 -dottir(도띠르)를 붙인다.

-서양에서 전치사가 붙는 성씨는 대개 귀족의 성씨다.

프랑스 de(), 독일 von(), 네덜란드 van(), 스페인 de()

-이런 성은 누군가의 '아들'이라는 뜻

-son, -sson으로 끝나거나, O' 혹은 Mc(Mac)으로 시작하는 경우

: Handerson, McGuire, O'brien

 

*이스라엘 성씨

- stone(stein)-아인슈타인, 뮐러(방앗간), 베커(빵집), 베켄 바우어(옹기장이, 농사꾼)

슈나이더(재단사), 슈미트(대장장이), 와그너(수레고치는 자)

 

*일본 성씨

木下(기노시타), 山本(야마모토), 竹田(다케다), 大竹(오타케), 太田(오타), 村井(무라이)

山野(야마노), 川邊(가와베), 森永(모리나가), 麥田(무기타) .

 

 

<강의>

-2015. 10/8, 11/19 성균관석전교육원

-2016. 2/3 우리문화선양회

 




출처 : soo709
글쓴이 : 한문수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