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씨쓰기(437)
-
신품4현 고려 柳伸
신품사현 신품사현(神品四賢)은 신라 · 고려 시대의 신품이라 불릴 만큼 글씨가 빼어난 경지에 이른 네 사람을 일컫는다. 신라의 김생, 고려의 유신 · 탄연 · 최우가 이에 속한다. 신품사현의 글은 송광사에 있는 유신의 〈보조국사비문〉과, 청평사의 탄연이 쓴 〈문수원기〉에 남아..
2013.05.14 -
한국의 서예 & 대자 결구 84법
한국의 서예 고려시대에 남아있는 서예의 자료는 흔적비문 ·묘지명 ·사경 등을 제외하고는 비교적 적다. 이 시대를 전기와 후기로 나누어 보면, 전기는 거의 비석이고 후기는 비 ·묘지명 ·진적과 사경 등이 많다. 전기는 전대를 이어 해서(楷書)는 구양순의 서풍이고 행서(行書)는 왕..
2013.05.14 -
神品第一 신라 金生
神品第一 신라 金生 김생은 통일신라시대 서예가이다. 고려시대 문인들에 의해 해동제일의 서예가로 평가받았으며,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에서는 그를 신품제일(神品第一)로 평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이미 그의 친필이 귀해서 이광사의 《원교서결》에서 아주 없다고 할 정도였다. ..
2013.05.14 -
원교 이광사
-22년 유배의 삶 '음악 연주하듯' 승화- 요즘 주류예술은 돈과 직결된다. 이유는 예술이라는 꽃은 시장에서 화상과 관객이 피워내기 때문이다. 그런 만큼 대가는 부자일 수밖에 없고 명작은 수천, 수억원을 호가한다. '이 작품 돈 냄새가 난다'는 시쳇말을 거론 안해도 돈을 먹고 자라는 ..
2013.05.14 -
한국 서예의 발달과정
■ 서예 개요 ━개론 ㅇ동양예술의 한분야인 ‘서예’는 달리 ‘서도’라고도 한다. ㅇ이 서예는 중국에서 후 한 이래 종이의 발명, 붓 개량으로 성행하기 시작하여‘위/ 진나라’에 이르러 ‘왕희지’ 부자의 출현으로 ‘왕희지체’가 등장하면서부터 전성기를 이루었다. ㅇ이러한 한문 글씨체를 판독하여, 역사유물을 감별하는 학문을 ‘금석학’이 라고 한다. ━중국 형 서체 갈래 ㅇ전서체: 우리가 대하는 ‘한문옥편’의 글씨체를 말하며, 달리 ‘전자체’라 한다. ㅇ예서체: 중국 진나라 때에 ‘운양’ 지방의 옥리(교도서 관리)인 ‘정막’이 ‘전서체’의 번잡 한 것을 생략해 만들었다. ㅇ행서체: ’해서체’와 ‘초서체’의 중간 정도의 글씨체를 말한다. ㅇ초서체(오늘날의 속기 체) ━흘리어 쓰는 글씨체를 말하며 달리 ‘흘림체’라고..
2013.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