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역사 바로알기(1052)
-
한국어와 몽골어의 계통적 위치
한국어와 몽골어의 계통적 위치 (최기호) | 몽골어 어원 나비우스 2015.12.22 16:14 http://blog.daum.net/pance73/2459 한국어와 몽골어의 계통적 위치 최기호(상명대학교 국어교육과) 1. 계통 연구의 과제 한국어가 어디에서 왔으며, 그 계통적 위치는 어떠한가? 19세기 말엽에 서양의 비교언어 학자들..
2015.12.24 -
언어학으로 본 고구려의 건국과 용어문제
고구려의 건국과 용어문제 역사상식 2014.05.23. 20:55 http://blog.naver.com/2008jsl/220008665333 전용뷰어 보기 아래 자료는 2014년5월13일(화) 13시에 동북아역사재단에서 개최한 제1회 상고사 학술회의에서 발표된 자료를 동북아역사재단으로 부터 얻어 게재하는 것입니다. 이 주장에 대해 저의 의견은..
2015.12.24 -
조선시대의 동해(東海) 인식(認識)에 관한 연구
조선시대의 동해(東海) 인식(認識)에 관한 연구 역사/지리 / 논문/기고문 2015.01.11. 20:00 http://blog.naver.com/joseon_500/220236856581 전용뷰어 보기 첨부파일 (1) 조선시대의 동해(東海) 인식(認識)에 관한 연구 이상태(李相泰) 국사편찬위원회 연구편찬실장(國史編纂委員會硏究編纂室長) Ⅰ. 서언 우..
2015.12.24 -
신라인들도 울진 성류굴 다녀가…입구서 1500년 전 금석문 찾았다
신라인들도 울진 성류굴 다녀가…입구서 1500년 전 금석문 찾았다 [중앙일보] 입력 2015.12.17 02:38 수정 2015.12.17 02:49 | 종합 2면 지면보기 기자 송의호 기자 사진 크게보기 경북 울진군 성류굴(聖留窟 ) 입구 위 바위에서 가로 30㎝, 세로 20㎝의 금석문이 발견됐다. 신라 진흥왕 때인 543년에 제..
2015.12.20 -
베일 속 부여사, 그것이 알고 싶다
2006.09.12ㅣ뉴스메이커 691호 [커버스토리]베일 속 부여사, 그것이 알고 싶다 인터넷 토론방·역사연구단체 등 새로운 주장 봇물 정통 역사학계 “정확한 사료 통해 실증돼야 인정” 고구려의 첫 도읍지로 알려진 오녀산성. 우뚝 솟아 만주벌판을 지키던 오녀산성에는 주몽의 꿈이 담겨 있..
2015.12.06 -
외국인들의 시각에서 바라 본 한국의 역사
o 외국인들의 시각에서 바라 본 한국의 역사|▨―·· 그때그시절 자료 세요 | 조회 204 |추천 0 |2015.07.04. 09:06 http://cafe.daum.net/endolpins/16vI/2423 주은래(저우라이언,周恩來) 총리의 중국-조선관계 대화 1963년 6월28일 주은래 총리는 조선과학원 대표단 접견시 중국과 조선 관계에 대해 다음과 ..
2015.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