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연종법요(蓮宗集要)』 제 2장 극락세계의 삼성 - 1. 삼성(三聖)의 인행(因行)
2014. 7. 14. 12:23ㆍ경전 이야기
홍인표 저 / 경서원에서 1983년『정토로 가는 길-蓮宗輯要-』
제 2장 극락세계의 삼성(三聖)
1. 삼성(三聖)의 인행(因行)
삼성(三聖)은 극락세계의 교주(敎主)이신 아미타불과
그 왼편에 계신[左脇侍 좌협시]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과
오른편[右脇侍 우협시]에 계신 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을 말함이니
그의 인행(因行)에 다음과 같은 일이 있었다.
지나간 겁(劫)에 용진왕(龍珍王)이 산에 들어가서 도를 닦을 때에
신하의 두 딸인 녹파나(綠波那)와 세택가(洗澤訶)가
따라 들어가서 도를 배웠으니
왕은 지금의 아미타불이시고 녹파나는 관세음보살이시고
세택가는 대세지보살이시다.
《註》
-.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범어(梵語)로 아박로기저습벌라(阿縛盧枳低濕伐邏)의 음역을
관세자재(觀世自在), 관자재(觀自在), 광세음(光世音)
이라 번역하고 줄여서 관음(觀音)이라 한다.
중생에게 온갖 두려움이 없는 무외심(無畏心)을 베푸신다는 뜻으로
시무외자(施無畏者)라 하고,
자비(慈悲)의 본존(本尊)이시라는 뜻으로 대비성자(大悲聖者)라 하며,
세상을 구제하시므로 구세대사(救世大士)라고도 한다.
이 보살은 대자(大慈) 대비(大悲)를 근본 서원으로 하시는 보살이신데
극락세계에서 미타삼존(彌陀三尊)의 한 분으로
아미타불의 왼쪽 보처(補處)로
모든 중생의 교화를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관세음(觀世音)이란 세간의 모든 소리를 다 듣고 보며,
그에 따라 중생을 돕는다는 뜻이고,
관자재(觀自在)라 함은 관세음보살이 지혜로 관조(觀照)하여
자재(自在)한 묘과(妙果)를 얻는 분이란 뜻이다.
이 보살이 세상을 교화함에는
중생의 근기(根機)에 맞추어 갖가지 모습으로 나투시는데,
수능엄경에서는 32응신(三十二應身)이라 하고,
법화경에는 삼십삼응신(三十三應身)이라하며,
이를 보문시현(普門示現)이라 한다.
이 보살이 왼손에 든 연꽃은 중생이 본래 갖춘 불성(佛性)을 표시함이요,
그 연꽃이 핀 것은 불성이 드러나서 성불(成佛)한 뜻이고,
그 연꽃 봉오리는 불성이 번뇌에 물들지 않고 장차 필 것을 나타낸 것이라 한다.
-. 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
마하살타마발라발다(摩訶薩馱摩癖鉢跢)의 음역을
대정진보살(大精進菩薩), 득대세보살(得大勢菩薩) 이라 한다.
아미타불의 바른 편 보처(補處) 보살이시다.
아미타불에게 자비문(慈悲門), 지혜문(智慧門)이 있는 중에
관세음보살은 자비문을 표하고, 대세지보살은 지혜문을 표시 하는데,
이 보살의 지혜광명이 모든 중생에게 비치어
삼도(三途)를 여의고 위없는 힘을 얻게 하므로 대세지(大勢至)라 한다.
이 보살의 형상은 정수리에 보배병을 얹고 아미타불의 바른쪽에 있으며
염불하는 수행자를 맞아 갈 때에는 합장하는 것이 통례이다.
-. 삼도(三途)
삼도라는 말은 인도의 불전의 한역에서는
삼도(三塗)라고 되어 있는데
대개 삼도(三途)가 일반적이다.
삼도는 三塗라고 하는 것이 옳다.
불교에서는 욕망으로 가득 찬 세계의 생물을 6단계로 나누어
지옥·아귀·축생·수라·인간·천상(天上)이라 하고
그들의 생존하는 세계를 도(道)라고 하여
지옥도(地獄道), 아귀도, 축생도, 아수라도, 인간도, 천상도로 하고
이것을 총칭하여 육도(六道)라고도 부르고 있다.
이 가운데서 지옥·아귀·축생의 셋이 가장 나쁜 것으로 간주되어
삼악도(三惡道)라고 부르는데 삼도란 이 삼악도를 말하는 것이다.
출처 : 미주현대불교
글쓴이 : 염화미소 원글보기
메모 :
'경전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오늘의복음]부활 제3주일 (생명 주일)](5/04) (0) | 2014.07.14 |
---|---|
[스크랩] [오늘의복음]성 필립보와 성 야고보 사도 축일(5/03) (0) | 2014.07.14 |
[스크랩] 『연종법요(蓮宗集要)』 제 1장 극락세계 - 8. 태궁(胎宮) (0) | 2014.07.14 |
[스크랩] 『연종법요(蓮宗集要)』 제 1장 극락세계 - 7. 극락세계 장엄(莊嚴)의 종류(種類)와 명칭(名稱) (0) | 2014.07.14 |
[스크랩] 『연종법요(蓮宗集要)』 제 1장 극락세계 - 6. 극락세계의 장엄(莊嚴) (2) (0) | 2014.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