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추산 송천 들꽃다회 - 셋

2014. 7. 26. 21:17들꽃다회




       




      노추산 송천 들꽃다회 - 셋 

 

               / 20140717~20 목~일요일, 맑음, 맑음, 흐림&소나기, 맑음



    노추산 북서쪽 기슭에 있는 제도리길 마지막에 있는 송천변의 소나무 숲 속에서 나흘을 지내보다.

여기에서는 밤중에는 한여름에도 연탄불을 때고 자야할 정도로  춥다.


   송천가에 있는 우람한 바위에 있는 돌단풍에 절기상 대서(大暑) 전인데에도 불구하고 

벌써 단풍이 들었다.  


    피서는 사람이 북적이는 유명피서지에서도 나름의 즐거움이 있겠지만,

피서와 힐링을 겸하려면 이런 호젓한 계류가에서 며칠을  보내는 것도 

대자연과 함께 호흡할 수 있어서 그리 나쁘지 않다.





    꼬리조팝나무
      - 관상용, 어린 잎은 식용. 밀원식물












    개쉬땅나무

       - 일명 : 쉬땅나무, 밥쉬나무






    애광대버섯


         갓의 지름은 4~10cm 정도로 초기에는 반구형~평반구형이나 후에 편평형이 된다.

       갓 표면은 평활하고 황록색이며 습하면 점성이 있고, 백색~황록색의 외피막 파편이 있다.


          생감자 냄새가 나며, 종래에는 독버섯으로 취급하였으나 최근에는 유럽 등지에서 

       식용한다고 한다. 식용할 때에는 독성분이 있으므로 주의를 요하며, 중독시 신경독과

       환시, 환각을 일으킨다고 한다.


       약리작용:  항그람양성균[피부 감염균 , 심내막염 유발균] .  항그람음성균, 

                       항곰팡이[잔디탄저병균, 인삼뿌리썩음병균]







    노란분말그물버섯


           갓은 지름 3~11CM로 초기에는 반구형이나 후에 편평형이 된다.

        갓 표면은 습할 때는 약간 점성이 있으며, 초기에는 솜 모양의 황록색 가루로


        빽빽히 덮혀 있고, 후에 중앙부는 적갈색~갈색이 된다. 조직은 백색~담황색이나

        공기에 접하면 청색으로 변한다.


        식용 여부 :  식용버섯이다.

        성      미 :  약간 짜다(미함 微鹹) , 온(溫)

        효      능 :  소염지혈(消炎止血) , 구풍제습(驅風除濕) , 서근활락(舒筋活絡)

        약리작용 :   항그람양성균{ 폐렴유발균 등 ] , 항그람음성균

        적 응 증  :   류머티스성 관절염, 요퇴동통, 수족마비, 근골불서(筋骨不舒)

                           사지추축(四肢抽搐) , 외상출혈

        용      법 :   외상 출혈시 자실체 표면에 있는 황록색 가루를 상처에 바른다.

        참      고 :   서근환(舒筋丸) 원료의 일종이다.



        - <원색 한국약용버섯도감>  서울산업대 교수 약학박사 박완희, 이호득 공저

                                                  교학사 刊 . 1999년 7월.  참조...


     -    야생버섯류는 식용이나 약용시 변종이 많으므로 함부로 사용하는 것을 

       엄금하여야 하며, 반드시 식용일 때는 버섯전문가와 약용일 때에는 독성학 전공의 

       의사나 한의사 또는 약사의 처방 하에 복용 또는 사용하여야 한다.

         

       







    물고기 사냥꾼인 수달의 발자욱






   수달 발자욱





     바디나물
       일명 : 사약채






    바디나물에서 꿀을 따는 말벌...






절간에 사는 여러가지 흥겨움

산거잡흥     山居雜興

            /   정 약 용 丁若鏞 ( 1702~1836년 )



제11수 首


계속 부는 마파람이 한없이 시원한데


칠승포 얇은 적삼으로 글방에 기대네.


이전부터 표주박 하나로


찻잔과 술잔을 겸하여 써왔다오.



진진남풍진진량 한데           陳陳南風陳陳凉

칠승삼박의서방 하네.          七升杉薄倚書房

종래일개영표자 하여           從來一箇癭瓢子

겸작다구여주상 이로다.       兼作茶甌與酒觴




   해설 :  전체 20수의 연작시이다. 정약용이 44세 때(1805년) 지은 시로, 이때 정약용은

             강진에서 귀양살이 5년째를 보내고 있었다. 정약용은 이때 쯤부터 귀양살이의

             고달픔을 자연 속에 파묻혀 공부하며 잊고 지낸다.









     물수제비 뜨기.....






   화석들을 많이 가지고 있는 바위인 셰일에 기대어 기를 받고 있다고 말하는 일행분.


       기(氣)라는 것이 생체전자기 신호의 흐름이라면, 바위에도 전자기장이 있으니

     가능한 것 같이 보이나 이 분야에 대하여서는 문외한이라 전문가들에게 맡길 부분이다.


       만약 전자기 신호의 흐름이 아니고 장래에 다른 종류의 신호 흐름으로 밝혀진다면......

     알 수 없는 일이다. 노벨의학상 예비후보로 올라갔었던 북한의 김봉한 박사의 연구가 


     좀더 진전되었더라면, 지금쯤엔  경혈에서 발견된 0.5~1.0mm 크기의 <봉한소체>와 

     기혈(氣穴) 간에 연결되는 생명신호전달 체계의 통로인 <봉한관>에 대한 보다 확실한

     연구성과가 있었을 것이라는 아쉬움이 남는다.

   






     송천 상류부에 있는 삼각형의 바위 암굴.....

          높이가 낮아 한사람이 겨우 앉을 수 있는 크기이다.






     도깨비부채

          병이 든 듯한 잎의 무늬가 오히려 아름답다.





     우산나물(일명 : 삿갓나물)
                 - 어린 잎은 식용.






   수중 바위섬






     기린초

       억새 종류인 달뿌리풀 밭에 가운데 있어서 무척이나 키가 높게 자랐다.






     개망초와 기린초






     금꿩의다리






    노추산 북서능과 꼬리조팝나무






    층층나무 열매





   사시던 할아버지가 몇해전에 작고하신 빈 농가주택
       마루 바로 앞에 야생 복분자가 잘 익어서 몇개를 따서 맛보다.





산속에 사는 즐거움 

산거잡흥 이십수  山居雜興 二十首


                  /   혜  장   惠藏 스 님 ( 1772 ~ 1811년) 



발 밖으로 보이는 산빛은 고요함 속에 곱고


푸른 나무 붉은 노을 , 눈에 가득 아름답다.


어린 중에게 부탁하여 차를 달이라 했지만


머리맡엔 원래 지장수 나오는 샘이 있어라.



일렴산색정중선 하고              一簾山色靜中鮮

벽수단하만목연 하도다.           碧樹丹霞滿目姸

정촉사미수자명 하지만           叮囑沙彌須煮茗

침두원유지장천 하도다.           枕頭原有地漿泉





   해설 :  전체 20수 중 둘째 수이다. 이 시의 정경으로 보아 대체로 1806년이나 1807년 경에

             쓴 듯하다. 혜장 스님은 강진에 귀양살던 다산 정약용 茶山 丁若鏞과 1805년에 

             처음 만났는 데, 정약용과 만나서 <주역>에 대해 토론하고 나서는부터 불경에 대한


             공부보다는 유교 경전에 대한 공부를 많이 해서 같이 지내던 스님들이 "선생"이라

             일컬었다. 그리고 이때에 정약용이 혜장 스님에게 절간에 사는 여러가지 흥취를

             읊어보라고 하고서 정약용도 혜장을 대신해 같은 제목으로 시를 지었다.

          

             


     농가 앞마당의 채마밭은 풀밭으로 변해 있고......






     현장숙소 처럼 새로 지은 집의 내부..... 

        현재는 비어 있으나 때때로 거처하는 분이 있는 것으로 보임.






  빈 농가






    흰물봉선






    이름이 "법동이"인 청삽사리







  옹기항아리에는 된장, 고추장이 익어가고 있고.....






                이경재의 금계산장을 빌려

                             차이상서(경재).....    借李尙書(景在).......

  

                                     /   홍 현 주 洪 顯 周 ( 1793 ~ 1865 )



 자연이나 인간사는 예나 지금이 같으니       


 바람과 비가 서로 소식을 전하네.               


 제비는 삼월 중순에 돌아오고                    


 띳집은 온갖 꽃 속에 있네.    


                    


 산을 보고 비로소 시가 그림과 같음을 깨닫고


차를 마셔보고 비로소 샘물의 공덕을 알았네.


어지러운 바위와 그윽한 솔숲에 나갈 길 잃었으니


은자의 집이라 어디가 동인지 어디가 서인지.




천시인사고금동 하니      天時人事古今同       

풍우상장신식통 하도다.   風雨相將信息通

연자귀래삼월반 하고       燕子歸來三月半       

모재기재백화중 하네.     茅齋寄在百花中


간산시오시여화 하고        看山始悟詩如畵

시명방지천유공 하도다.    試茗方知泉有功

난석심송미출처 하니        亂石深松迷出處

유서부자해서동 하구나.     幽棲不自解西東 




  *******홍현주 洪顯周  :  1793(정조 17년)~1865( 고종 2년). 본관은 풍산. 자는 세숙 世淑

                                        호는 해거재 海居齋 , 약헌 約軒 . 홍석주 洪奭周의 아우.

                                        정조의 둘째딸 숙선옹주 淑善翁主와 결혼하여 영명위에 봉해졌다.

                                        저서로는 <해거재시집>이 있다.










    송천이 내려다 보이는 야외식당






    






    연보라빛 노루오줌











       청구영언(靑丘永言)  제453수(首)


            낙     시    조 ( 樂    時    調) 



        조오다가 낙대를 일코 춤추다가 되롱이를 일해


        늘근의 망령을 백구(白鷗)-야 웃지 마라.


        져 건너 십리도화(十里桃花)에  춘흥(春興)을 계워 ㅎ.노라.

                  

   

                   -   졸다가 낚시대를 잃고 춤추다가 도롱이를 잃어버렸구나!!


                        늙은이의 망령을 백구ㅡ야 웃지 마라.


                        저 건너 십리도화에 춘흥을 겨워 하노라.



                  *****  백구(白鷗)는 한조(閑鳥)라 한사(閑士)들이 망기압구(忘機押鷗)하나니

                           "조오다가" "춤추다가"는 한일(閑逸)들이 자기들의 한가로움을 즐기는

                           모양을 백구의 노는 모양에 본 떠서 그 뜻을 숨긴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 <진본(珍本) 청구영언>   정주동(鄭東) 유창균(兪昌均) 교주(校註) . 

                                                명문당 刊 , 1957년 5월 , 575쪽에서 발췌....








우연히 읊다  

              우음 偶吟


                                      숙선옹주 淑善翁主 (1793 ~1836 )


시냇가 푸른 이끼 낀 돌에 앉아 

솔잎 태워 차를 달인다.

차 마시며 다시 시를 읊노라니

꽃 사이로 흰 나비가 노니누나.


간변좌청태 하여        澗邊坐靑苔

팽다소송엽 하도다.    烹茶燒松葉

경배복음시 하니        傾盃復吟詩

화간희백접 하도다.    花間戱白蝶


 

< 한국의 차문화 천년 1 - 시 詩> 에서....

송재소 宋載邵    성균관대 명예교수

유홍준 兪弘濬     전문화재청장

정해렴 丁海廉    현대실학사 대표

이규필 李奎泌   한국고전번역원 연구원 외 2인

돌베개 刊 , 2009년 6월.

          


  ******* 해거도인(海居道人) 홍현주와 숙선옹주는 서로 부부로 우리나라 시문학과

           조선 중후기의 차문화의 발달과정에서 크게 기여하신 분들이다.


             일례로 초의선사의 <동다송 東茶頌 >은 해거도인 홍현주를 위하여 지었다는 

          것이 발문(拔文)에 명기되어 있다. 

                <동다송, 해도인의 명을 받아 짓다( 東茶頌 承海道人命作)>이다.




























고요한 밤에 차를 끓이며

정야팽다  靜夜烹茶


           /  영수합 서씨 令壽閤 徐氏 ( 1753~1823년)



몇년이나 작은 차화로에 불을 지폈으니


작으나마 신묘한 공덕이 응당 있노라.


차 마신 뒤 거문고 다시 어루는 데


밝은 달 보고서 누구를 부를까나.




봄날 찻상 푸른 찻잔에 옥이슬 따르고


낡은 벽에 그을름 얼룩져 그림이 되었네.


잔을 채울 게 꼭 술뿐이겠느냐


답청가는 내일은 또 차호를 가져가리.




기년장화소다로 하니             幾年丈火小茶爐

일점신공정유무 하도다.         一點神功定有無

철파청금환자무 하고             啜罷淸琴還自撫

간래호월경수호 할까?            看來好月竟誰呼




춘반완벽첨경벽 하고              春盤椀碧添瓊露

고벽연농작분도 하네.             古壁煙籠作粉圖

만작하수대지주 하느냐?        滿酌何須待旨酒

답청명일재휴호 하리.          踏靑明日再携壺








    해설 :  영수합 서씨 - 1753(영조 41년)~ 1823( 순조 23년).  영조 때의 여류시인.

                          호를 영수합(令壽閤)이라 한다.  홍인모 洪仁模의 부인이자, 홍석주,

                          홍길주, 홍현주의 어머니이다. 저서로 <영수합고(令壽閤稿)>가 있다.



   이상에서 한 가정에서 숙선옹주의 시어머니이자 해거도인 홍현주의 어머니인 영수합 서씨까지

세분의 대표적인 다시(茶詩)들을 살펴보았다. 영수합 서씨의<정야팽다>라는 한시에서 

" 내일 답청을 갈 때에 차호를 가져가리" 하는 마지막 구절에서 조선 중기인 영정조 때에도 

야외에서 차를 마시는 들차모임이 일상화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바위 틈에 자란 다릅나무에 꽃이 피었다.( 일명: 개물푸레나무, 쇠코뚫개나무 )


      다릅나무는 진한 갈색의 심재와 연한 베이지색의 변죽재로 두가지 색깔을 가져서

   가구재나 목공예 소재로 많이 활용된다. 수피는 염료용.






  가을색이 짙어가는 돌단풍













                                                            산행중에 틈을 이용한 망중한(閑)






    텅빈 하늘에도 태양광 뿐만아니라 우주공간에서 날아오는 

무수한 우주선(宇宙線)과 광선들로 꽉 차 있다.



















                                 새로 지은 스님토굴과 송천 뚝방 경사면에 서있는 다릅나무(흰꽃이 핀 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