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연종집요(蓮宗輯要)』 제 7장 제사의 법어와 연종과 선종 - 2. 연종(蓮宗)과 선종(禪宗) - (1) 영명대사(永明大師)
2014. 9. 11. 13:08ㆍ경전 이야기
홍인표 저 / 경서원에서 1983년『정토로 가는 길-蓮宗輯要-』
제 7장 제사(諸師)의 법어(法語)와 연종(蓮宗)과 선종(禪宗)
)2. 연종(蓮宗)과 선종(禪宗)
(1) 영명대사(永明大師)
영명대사는 후세의 학자에게
염불과 참선(叅禪)의 관계를 알게 하기 위하여
정선(淨禪) 사료간(四料簡)을 지어서 그 뜻하는 바를 알게 하였으니
다음과 같다.
사료간(四料簡)
유선유정토(有禪有淨土) - 유여대각호(猶如戴角虎)
현세위인사(現世爲人師) - 내세작불조(來世作佛祖)
무선유정토(無禪有淨土) - 만수만인거(萬修萬人去)
약득견미타(若得見彌陀) - 하수불개오(何愁不開悟)
유선무정토(有禪無淨土) - 십인구차로(十人九蹉路)
음경약현전(陰境若現前) - 별이수타거(瞥爾隨他去)
무선무정토(無禪無淨土) - 철상병동주(鐵床竝銅柱)
만겁여천생(萬劫與千生) - 몰개인의호(沒箇人依怙)
이 사료간(四料簡)에 대하여
중국 청나라 때의 인광대사(印光大師)가 해석한 개의(槪意: 대강의 뜻)는
다음과 같다.
유선유정토(有禪有淨土)
행인(行人)이 선종(禪宗)을 깨달아 견성(見成)하고
또 여래의 권실법문(權實法門)을 갖추어
안중(眼中)에 오직 신, 원, 염불의 일법(一法)으로써
자리이타(自利利他)의 행(行)을 행하는 것이다.
유여대각호(猶如戴角虎)
행인이 정토와 선을 같이 닦으면
대지혜(大智慧), 대선정(大禪定), 대변재(大辯才)가 있어서
사마(邪魔)와 외도(外道)가 이름만 들어도 낙담상혼(落膽喪魂)하고
호랑이가 뿔난 것 같아서 사나운 위엄 있는 기세가 짝 없는 것이
가위(可謂) 금상첨화(錦上添花)다.
현세위인사(現世爲人師)
배우는 사람에게는 그 능력(能力)과 성능(性能)을 따라서 설법(說法) 교화(敎化)하여
상중하근(上中下根)이 하나도 그 혜택을 입지 아니한 사람이 없는 것이다.
내세작불조(來世作佛祖)
임명종(臨命終)때에 부처님의 접인(接引)을 입어서 상품(上品)에 왕생(往生)하여
곧 부처님을 뵈옵고 무생인(無生忍)을 증(證)하여 속히 성불하는 것이다.
무선유정토(無禪有淨土)
비록 견성(見性)을 못하더라도 결심하고
서방 극락세계에 왕생하기를 구하는 것이다.
만수만인거(萬修萬人去)
지성으로 염불하면 감응도교(感應道交)하여
부처님의 섭수(攝受)하시는 것을 입어서 왕생하게 되는 것이니
오역(五逆) 십악(十惡)도 임종 때에 부끄러운 마음을 발하고 염불하여
십성(十聲) 내지 일성(一聲)에도 왕생하게 되는 것이다.
약득견미타(若得見彌陀)
서방 극락세계에 왕생하여 부처님을 뵙는 것이다.
하수불개오(何愁不開梧)
부처님을 뵈옵고 불법을 들어 깨닫는 것이다.
유선무정토(有禪無淨土)
선종(禪宗)을 깨달아서 견성(見性)은 하였으나
서방 극락세계에 왕생하기를 구하지 아니하는 것이다.
십인구차로(十人九蹉路)
왕생도 구하지 않고 견혹(見惑) 사혹(思惑)의 번뇌도 끊지 못하므로
육도윤회(六道輪廻)를 면치 못하여
생사(生死)의 바다는 깊고 보리(菩提)의 길은 멀어서
집에 돌아오지 못하는 것과 같은 것이니
크게 깨달은 사람도 열 사람 중 아홉 사람은 이러한 것이다.
음경약현전(陰境若現前)
음경(陰境)은 중음신(中陰身)의 경(境)이니
즉 임명종(臨命終)때에 현생(現生)과
지나간 겁(劫)의 선악(善惡)의 과보(菓報)를 가져오는
업(業)의 큰 힘이 나타나는 것이다.
별이수타거(瞥爾隨他去)
음경(陰境)이 한번 나타나면 순식간에 가장 맹렬한 선악의 과보를 가져오는
업의 큰 힘을 따라서 선악도(善惡道) 중에 태어나서
조금도 능히 자기의 힘으로 다스리지 못하는 것이다.
무선무정토(無禪無淨土)
선종(禪宗)을 깨닫지 못하고 서방 극락세계에 왕생하기를 구하지도 아니하고
다른 법문을 닦아서 혹(惑)을 끊어 진리를 증(證)하지도 못하고
또 부처님의 자력(慈力)에 의하여 혹을 가진 채로
왕생하지도 못하는 것이다.
철상병동주(鐵床並銅柱)
다른 법문을 닦아서
혹을 끊지는 못하였으나 그 공덕을 많이 지었으면
第二의 생(生)에는 인천(人天)에 태어나서 그 복보(福報)를 받는 중에
오욕(五欲)에 빠져서 악업(惡業)을 많이 짓고 악보(惡報)를 면하기 어려워서
第三의 생(生)에는 지옥에 떨어져서 철상(鐵床) 동주(銅柱)의 형구(形具)로써
그 죄보(罪報)를 받는 것이다.
만겁여천생(萬劫與千生)
오랜 겁을 지내도록 형벌을 받으면서 성색(聲色)을 탐하고
생명을 죽여 해치는 등의 여러 가지 악보를 받는 것이다.
몰개인의호(沒箇人依怙)
모든 부처님 보살이 비록 자민(慈愍)을 드리우시나
악업장(惡業障)이 무거운 까닭으로
능히 그 이익(利益)을 얻지 못하는 것이다.
《註》
-. 료간(料簡)
의의(意義)를 헤아려 간별(簡別)하는 뜻이니 해석(解釋)의 다른 이름인데,
천태종(天台宗)에서는 문답(問答)에만 한하여 료간(料簡)이라 한다.
-. 견성(見成)
선종(禪宗)에서 늘 쓰는 말이니
자기의 심성(心性 곧 眞心)을 성불(成佛)할 수 있는 가능성을 사무쳐 보는 것을 말한다.
-. 권실법문(權實法門)
일시(一時) 중생에게 선근(善根)이 있어 교화하기에
형편이 좋음에 맞는 법(法)을 권(權)이라 하고
구경(究竟) 불변(不變)의 법을 실(實)이라 한다.
-. 자리이타(自利利他)
자익익타(自益益他), 자리이인(自利利人), 자행화타(自行化他)라고도 한다.
자리(自利)란 스스로를 이롭게 한다는 뜻으로
노력하고 정진하여 수도(修道)의 공덕(功德)을 쌓아
그로부터 생기는 복락(福樂)과 지혜 등 과덕(果德)의 이익을
자기 자신만이 향수하는 것을 가리킨다.
이에 대하여 이타(利他)란
다른 이의 이익을 위하여 행동하는 것을 뜻하며
자신의 이익뿐만 아니라 모든 중생의 구제를 위해 닦는 공덕을 말한다.
이 2가지를 합하여 이리(二利)라고 한다.
대승불교에서는 소승불교에서 지향하는 자리적인 수행을 비판하고,
이에 대해 자리와 이타가 조화를 이루면서 동시에 완전하게 실현된 상태,
곧 자리이타의 원만(圓滿)함이 실현된 세계를 목표로 삼아
이러한 세계가 바로 부처의 세계라고 했다.
한편 중국 담란(曇鸞)의 〈왕생론주 往生論注〉에서는
이타와 타리(他利)를 구별하여
이타는 부처의 경지에서 말하는 것이고,
타리는 중생의 경지에서 말하는 것이라고 한다.
-. 사마(邪魔)
사특(邪慝)하고 나쁜 마라(魔羅)를 말함이다.
몸과 마음을 괴롭혀 좋은 일을 하지 못하게 하며
수도를 방해하는 삿되고 악한 마군(魔群)을 말한다.
-. 낙담상혼(落膽喪魂)
몹시 실망하여 갑자기 마음이 상하여 넋을 잃음을 말함.
-. 무생인(無生忍)
오인(五忍)의 하나.
나지도 없어지지도 않는 진정(眞正)한 진리(眞理)의 세계(世界)를 깨달아
거기에 안주하여 움직이지 않는 지위(地位).
-. 오인(五忍)
불보살(佛菩薩)의 다섯 가지 수행(修行) 단계(段階)인
복인(伏忍), 신인(信忍), 순인(順忍), 무생인(無生忍), 적멸인(寂滅忍)을 말한다.
복인(伏忍)은 번뇌(煩惱)를 끊지 못하였으나
이를 굴복(屈服)시켜 일어나지 못하게 하는 지위(地位).
신인(信忍)은 아미타불(阿彌陀佛)을 염(念)하여 구원(救援)함을 믿어 의심(疑心)치 않음.
무루(無漏)의 진지(眞智)가 일어나는 동시(同時)에 삼보(三寶)를 믿는 마음이 일어남.
순인(順忍) 옛 믿음에 의(依)하여 그보다 나은 지혜(智慧)를 얻어
무생(無生)의 증과(證果)에 따르는 지위(地位).
적멸인(寂滅忍)은 모든 번뇌(煩惱)를 끊어 버리고
몸과 마음이 흔들림이 없이 매우 고요한 경지(境地)에 안주하는 지위(地位).
-. 감응도교(感應道交)
중생의 감(感 곧 느낌)과 부처남의 응(應)이 서로 통하여 하나가 되는 것을 말함이니
불심이 중생의 마음 가운데에 들어가고 중생이 이를 느껴 서로 사귀는 것을 말함.
-. 자력(慈力)
부처님의 고를 없애고 낙을 주시는 힘을 말함.
-. 성색(聲色)
우리들의 정심(淨心)을 더럽히고 진성(眞性)을 덮어 흐리게 하며
공덕을 덜게하는 여섯 가지의 해물(害物) 즉 색성향미촉법(色聲香味觸法)의
육진(六塵) 중에 색(色), 성(聲)을 말함이다.
-. 자민(慈愍)
부처님이 사랑하시고 불쌍히 여기신다는 뜻이다.
의의(意義)를 헤아려 간별(簡別)하는 뜻이니 해석(解釋)의 다른 이름인데,
천태종(天台宗)에서는 문답(問答)에만 한하여 료간(料簡)이라 한다.
-. 견성(見成)
선종(禪宗)에서 늘 쓰는 말이니
자기의 심성(心性 곧 眞心)을 성불(成佛)할 수 있는 가능성을 사무쳐 보는 것을 말한다.
-. 권실법문(權實法門)
일시(一時) 중생에게 선근(善根)이 있어 교화하기에
형편이 좋음에 맞는 법(法)을 권(權)이라 하고
구경(究竟) 불변(不變)의 법을 실(實)이라 한다.
-. 자리이타(自利利他)
자익익타(自益益他), 자리이인(自利利人), 자행화타(自行化他)라고도 한다.
자리(自利)란 스스로를 이롭게 한다는 뜻으로
노력하고 정진하여 수도(修道)의 공덕(功德)을 쌓아
그로부터 생기는 복락(福樂)과 지혜 등 과덕(果德)의 이익을
자기 자신만이 향수하는 것을 가리킨다.
이에 대하여 이타(利他)란
다른 이의 이익을 위하여 행동하는 것을 뜻하며
자신의 이익뿐만 아니라 모든 중생의 구제를 위해 닦는 공덕을 말한다.
이 2가지를 합하여 이리(二利)라고 한다.
대승불교에서는 소승불교에서 지향하는 자리적인 수행을 비판하고,
이에 대해 자리와 이타가 조화를 이루면서 동시에 완전하게 실현된 상태,
곧 자리이타의 원만(圓滿)함이 실현된 세계를 목표로 삼아
이러한 세계가 바로 부처의 세계라고 했다.
한편 중국 담란(曇鸞)의 〈왕생론주 往生論注〉에서는
이타와 타리(他利)를 구별하여
이타는 부처의 경지에서 말하는 것이고,
타리는 중생의 경지에서 말하는 것이라고 한다.
-. 사마(邪魔)
사특(邪慝)하고 나쁜 마라(魔羅)를 말함이다.
몸과 마음을 괴롭혀 좋은 일을 하지 못하게 하며
수도를 방해하는 삿되고 악한 마군(魔群)을 말한다.
-. 낙담상혼(落膽喪魂)
몹시 실망하여 갑자기 마음이 상하여 넋을 잃음을 말함.
-. 무생인(無生忍)
오인(五忍)의 하나.
나지도 없어지지도 않는 진정(眞正)한 진리(眞理)의 세계(世界)를 깨달아
거기에 안주하여 움직이지 않는 지위(地位).
-. 오인(五忍)
불보살(佛菩薩)의 다섯 가지 수행(修行) 단계(段階)인
복인(伏忍), 신인(信忍), 순인(順忍), 무생인(無生忍), 적멸인(寂滅忍)을 말한다.
복인(伏忍)은 번뇌(煩惱)를 끊지 못하였으나
이를 굴복(屈服)시켜 일어나지 못하게 하는 지위(地位).
신인(信忍)은 아미타불(阿彌陀佛)을 염(念)하여 구원(救援)함을 믿어 의심(疑心)치 않음.
무루(無漏)의 진지(眞智)가 일어나는 동시(同時)에 삼보(三寶)를 믿는 마음이 일어남.
순인(順忍) 옛 믿음에 의(依)하여 그보다 나은 지혜(智慧)를 얻어
무생(無生)의 증과(證果)에 따르는 지위(地位).
적멸인(寂滅忍)은 모든 번뇌(煩惱)를 끊어 버리고
몸과 마음이 흔들림이 없이 매우 고요한 경지(境地)에 안주하는 지위(地位).
-. 감응도교(感應道交)
중생의 감(感 곧 느낌)과 부처남의 응(應)이 서로 통하여 하나가 되는 것을 말함이니
불심이 중생의 마음 가운데에 들어가고 중생이 이를 느껴 서로 사귀는 것을 말함.
-. 자력(慈力)
부처님의 고를 없애고 낙을 주시는 힘을 말함.
-. 성색(聲色)
우리들의 정심(淨心)을 더럽히고 진성(眞性)을 덮어 흐리게 하며
공덕을 덜게하는 여섯 가지의 해물(害物) 즉 색성향미촉법(色聲香味觸法)의
육진(六塵) 중에 색(色), 성(聲)을 말함이다.
-. 자민(慈愍)
부처님이 사랑하시고 불쌍히 여기신다는 뜻이다.
출처 : 미주현대불교
글쓴이 : 염화미소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