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당 김은호의 그림

2014. 11. 18. 06:01美學 이야기

 

 

 

 

      

 

 

 

동양화가 이당 김은호(1892∼1979)의 그림

 

 

 

  成春香

 

 

 

 

三仙圖 

 

 

 

 

 논개,춘향,아랑

 

 

 

看星 

 

 

 

 

濠上知樂

 

 

 

 

舞姬圖 

 

 

 

 

 

 

 

 純宗 肖像

 

 

 

 

諧謔圖 

 

 

 

 

 

 

朱論介

 

 

족두리

 

 

승무

 

 

 

 

 

 

김은호(1892∼1979). 한국화가. 본관은 상산(商山). 초명은 양은(良殷), 호는 이당(以堂). 인천 구읍면 향교리(지금의 관교동)에서 농가의 2대 독자로 태어났다.

 

 1912년 8월 서울의 서화미술회(書畵美術會) 화과(畵科)에 입학하여 조석진·안중식의 제자로 전통 회화 기법을 배웠다. 1915년에 화과(畵科) 과정을 졸업하고, 1917년에는 서과(書科) 과정도 수료하였다.

 

 서화미술회에서 그림을 배울 때인 1912년 창덕궁의 하명(下命)으로 순종의 반신상 어용(御容: 임금의 초상을 높여서 일컫는 말)을 그렸다. 그리고 시천교(侍天敎) 측의 의뢰로 1913년에는 동학의 교조 최제우, 1915년에는 2세 교주 최시형과 당시 시천교를 이끌던 김연국의 전신좌상을 제작하였다. 1918년 서화협회가 창립되자 정회원이 되었다. 1919년 3ㆍ1운동에 가담, 등사판 『독립신문』을 배포하다가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5개월간 복역하였다. 1920년에 창덕궁 대조전의 벽화 「백학도」를 그렸다. 1921년 이후에는 서화협회전람회[약칭 협전(協展)]에 계속 출품하면서 조선미술전람회[약칭 선전(鮮展)] 동양화부에서도 입상과 특선을 거듭하였다. 그의 작품은 새로운 표현 감각의 세필 채색화로 부드럽고 섬세한 필선과 맑고 우아한 채색의 사실적인 미인도, 꽃, 새 등의 화제를 주로 다루었다. 그러나 전통 형식의 신선도 등에서도 독보적 경지를 펼쳤다.

 1924년부터 고려미술원에서 후진을 지도하다가 1925년 동경에 건너가 3년간 머물면서 자신의 예술 기량을 더욱 연마하고 시야도 넓혔다. 동경에서는 당시 가장 권위 있던 제국미술원전람회[약칭 제전(帝展)]에 입선하여 주목을 끌었다.

 

1928년에는 창덕궁 선원전에 봉안된 순종 어진(純宗御眞)과 태조ㆍ세조의 어진을 봉사(奉寫)하였다. 1933년에는 서화협회 간사가 되었고, 1936년에는 양화가 박광진, 조각가 김복진과 힘을 합쳐 조선미술원을 설립하고, 한때 후진 양성을 도모하였다.

 그 밖에도 1930년 이전부터 자신의 낙청헌(絡靑軒) 화실에서 독자적으로 문하생을 배출하였다. 백윤문ㆍ김기창ㆍ장우성ㆍ이유태ㆍ조중현ㆍ김화경ㆍ안동숙 등이 그때 배운 제자들이다.

1937년부터는 조선미술전람회 초대 작가 위치에 올랐고, 1939년에는 남원의 춘향사를 위하여 「춘향상」을 그렸다(당시의 그림은 6·25 사변 중에 소실되었고, 현재 영정은 그 뒤에 다시 그린 것이다). 1945년 조국 광복 이후에는 대한민국미술전람회[약칭 국전(國展)] 초대 작가 및 심사 위원, 수도여자사범대학 명예 교수 등을 역임했다.

 

 1950년에 제작한 「이충무공상(李忠武公像)」의 모대본좌상(帽帶本坐像: 사모와 각대를 착용한 관리의 정복(正服) 좌상)은 순천 충무사(忠武祠)에, 갑주본입상(甲胄本立像: 갑옷과 투구를 착용한 군복 입상)은 한산도 제승당에 각각 봉안되었다. 이 작품은 정부에 의해 공인영정(公認影幀)으로 인증되었다.

 그 뒤 장수와 진주 촉석루 옆의 논개사당에 봉안된 「의기논개상 」, 강릉 오죽헌의 「신사임당상」과 「이이상(李珥像)」, 밀양 영남루의 「아랑상」, 그밖에 서울 안중근의사기념관의 영정과, 전주 이영남장군사당의 영정 등 역사상의 주요 인물상을 무수히 제작하였다.

 

 대표작은 「백학도」(1920년)ㆍ「간성(看星)」(1927년)ㆍ「춘향상(1960년 재제작)ㆍ「해학(海鶴)」(1965년)ㆍ「백모란 (白牡丹)」(1968년) 등이 있다. 자서전적 저서로 『서화백년』이 있다.

 미술 창작과 후진 양성에 끼친 공로로 1962년 문화훈장대통령장을 받았으며, 1965년에 3ㆍ1문화상, 1968년에 예술원상을 각각 수상하였다

 

 

 

                                         - 다음 카페 < 추억은 영원히 >예원님의 글 중에서 전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