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실 관련 고전 모음 - 열 둘 / 만기요람 財用編 (번역본)

2014. 11. 23. 03:58향 이야기

 

 

 

 

 

 

 

 

 

 

 

      

대동작공(大同作貢) 원문  원문이미지  새창띄우기
확대 원래대로 축소
 대동작공(大同作貢)
각관 저치ㆍ각도 진상ㆍ절용마감식(各官儲置各道進上折用磨勘式)

 


각항(各項) 획급(劃給)과 상납(上納)을 마련한 뒤에 그 나머지 쌀은 각 고을에 저치(儲置)하여 공용(公用)으로 삼는다. 그 방법은 경기(京畿)ㆍ삼남(三南)은 대동사목(大同事目)을 적용하고, 관동(關東)ㆍ해서(海西)는 상정사목(詳定事目)을 적용한다. 각도의 진상은 공선정례(貢膳定例 공물을 바치는 일정한 규례)를 적용하여 제도(諸道)는 쌀로 하고, 관동(關東)은 쌀로 하되 곡물(糓物)ㆍ돈[錢]ㆍ베[布]를 섞을 수 있다. 절용(折用)하여 마감하는 방식은 경기는 감영에 획부(劃付)하고, 삼남ㆍ해서는 4등(等 분기(分期))으로 나누고, 관동은 양등(兩等)으로 나눈다. 경기 : 정종(正宗) 병진년에 선혜청 당상관[惠堂] 이명식(李命植)이 본도에시 남보(濫報 예산에 넘치게 보고하는 것)하고 절제가 없는 점으로 해서 감영에다 7,000석을 획부(劃付)하여 감히 다시는 남는다거나 부족된다거나 하는 것으로써 선혜청에 관유(關由 관아에서 지령(指令) 또는 명령(命令)으로 내는 공문(公文))하는 일이 없게 하되, 5,000석은 수조(收租) 중에서 획급하고, 2,000석은 매석에 대한 절전(折錢) 5냥을 경청(京廳)에서 지급하게 했다. 사직(社稷)ㆍ향교(鄕校)ㆍ숭의전(崇義殿)ㆍ사액서원(賜額書院)에 제사드릴 때 진헌하는 포육(脯肉)ㆍ폐백(幣帛)ㆍ과실(果實)의 값과 규례에 의한 사복시분양마(司僕寺分養馬)의 죽미(粥米 말죽 쑤어 주는 경비로 드는 쌀) 등과 능행(陵行 국왕이 능에 출행하는 것) 할 때에 분정(分定)하여 판비(辦備)한 소용과 각능의 수개(修改) 및 예장(禮葬) 때의 공장(工匠) 삯과 나룻배[津船]의 개조(改造)ㆍ개삭(改槊) 값과, 군사[軍兵] 조련[習操] 때 호궤(犒饋 군사를 먹이기 위하여 음식물을 만드는 것)하기 위한 비용으로 든 쌀로써 수시(隨時)로 쓰인 것은 모두 이 수량 중에서 회감함. ○ 호서(湖西) : 윌령(月令)의 날전복[生鰒]ㆍ조홍시(早紅枾), 삼명절(三名節)과 단오(端午)의 방물전문(方物箋文). 사액서원의 추배위(追配位 추후에 배향한 위패(位牌))의 포육(脯肉)ㆍ폐백(幣帛), 내국(內局)의 백청(白淸 품질이 좋은 꿀), 수조도안지(收租都案紙)와 장계(狀啓)에 소용되는 종이, 수영(水營) 영리(營吏)의 식량[粮料], 연해 읍(沿海邑) 세선(稅船)을 호송(護送)하는 사공(沙工)과 격군(格軍)의 식량(食糧), 병선(兵船)ㆍ방선(防船)의 선상(船上)의 초둔(草芚) 값은 예(例)에 의하여 회감하고, 별진하(別陳賀)의 방물전문(方物箋文), 임기가 만료된 감사가 새로 부임할 감사를 대신하여 올리는 도계 진상(到界進上)의 물선(物膳), 향교(鄕校) 수개(修改) 때의 이안(移安 신주(神主)ㆍ위패(位牌) 등을 딴 곳으로 옮겨 모시는 것) 제물(祭物), 해외(海外) 수토군(搜討軍)의 날짜를 계산한 식량, 군사가 해상에서 훈련할 때의 월해(越海)의 식량과 호궤(犒饋), 비변사(備邊司)에 상납하는 화살대[箭]를 베는 사공(沙工)과 격군(格軍)의 식량, 병참(兵站)ㆍ방참(防站)ㆍ진참(津站)의 잉박선(芿朴船 너비가 넓은 배, 즉 너번선) 등을 개조(改造) 개삭(改槊)하는 경비, 문과(文科)ㆍ무과(武科)의 과장(科場)을 설시하는 읍(邑)이 판비(辦備)하는 잡물(雜物), 감사(監司)ㆍ병사(兵使)ㆍ수사(水使)ㆍ영장(營將)ㆍ수령(守令)의 상사(喪事)에 수용되는 쌀, 표류인(漂流人)의 공궤(供饋), 진영(鎭營)ㆍ읍(邑)의 대기치(大旗幟 진(陣) 중에서 방위(方位)를 표시하는 기)를 갈아내고 다시 장만하는 값은 모두 수시(隨時) 회감(會減)한다. ○ 호남(湖南) : 월령삭선(月令朔膳),삼명절(三名節)의 물선(物膳)ㆍ방물(方物)ㆍ피물(皮物)의 전문(箋文), 단오(端午)의 첩선(貼扇), 계성사(啓聖祠)ㆍ서원(書院)ㆍ사(祠)ㆍ묘(廟)의 추배위(追配位)의 포육(脯肉)ㆍ폐백(幣帛), 석전(釋奠)의 황촉(黃燭), 병영ㆍ수영의 독제(纛祭)의 제물(祭物), 내국(內局)의 종강강분(種薑薑粉)ㆍ백청(白淸 품질이 좋은 꿀), 향실(香室)의 축문지(祝文紙), 천신(薦新)의 보리[大麥]ㆍ참밀[小麥]ㆍ죽순(竹筍), 5영장(五營將)의 찬(饌) 값, 연해 읍(沿海邑)의 세선(稅船)을 호송(護送)하는 감관(監官)ㆍㆍ색리(色吏)ㆍ사공(沙工)ㆍ격군(格軍)의 급료 쌀, 동지사(冬至使)구청(求請)하는 잡물(雜物)은 예(例)에 의하여 회감하고, 별진하(別陳賀) 방물(方物)ㆍ물선(物膳) 전문(箋文), 임기가 만료된 감사가 새로 부임할 감사를 대신하여 올리는 도계 진상(到界進上), 향교(鄕校) 수개(修改) 때의 이안(移安) 제물(祭物), 별사(別使) 구청(求請)의 잡물(雜物), 제주도(濟州島)에서 진상(進上)하는 말을 운반하는 배삯, 조련(操鍊) 때의 군사(軍士)의 호궤(犒饋), 진선(津船)의 개조(改造) 개삭(改槊) 값, 문과(文科)ㆍ무과(武科)의 과장(科場)을 설시하는 읍이 판비(辦備)하는 잡물, 감사(監司)ㆍ병사(兵使)ㆍ수사(水使)ㆍ영장(營將)ㆍ수령(守令)의 상사(喪事)에 수용(需用)되는 쌀, 표류인(漂流人)의 공궤(供饋)와 월해(越海) 식량(食糧)과 의복 등의 값은 모두 수시(隨時) 회감한다. ○ 영남(嶺南) : 월령삭선(月令朔膳), 삼명절(三名節)의 방물전문(方物箋文), 단오절(端午節)의 첩선(貼扇), 천신(薦新)하는 죽순(竹筍), 내국(內局)의 꿀ㆍ인삼ㆍ약재(藥材)의 작목(作木), 문묘(文廟)에 추배(追配)한 각위(各位)의 포육(脯肉)ㆍ초[燭], 분원(分院)에 상납하는 진주(晉州)ㆍ곤양(昆陽)의 백토(白土)를 파내는 인부와 배의 삯, 내섬시(內贍寺)에 상납하는 표고버섯[蔈古],봉상시(奉常寺)에 상납하는 까만 해조[烏海藻], 군기시(軍器寺)ㆍ상의원(尙衣院)에 상납하는 단성(丹城)ㆍ연일(延日)의 숫돌[礪石]을 캐내는 인부의 삯, 장흥고(長興庫)ㆍ상의원(尙衣院)에 상납하는 영저(嶺底 조령(烏嶺) 밑) 8읍의 돗자리[席子] 값과 작지(作紙)ㆍ역가(役價), 동래(東萊)에 하납(下納)하는 위미(位米)와 왜인(倭人)에게 공급할 고기 값으로 거둔 쌀올 운반하는 배삯, 왜학통사(倭學通事 일본어(日本語)를 맡은 통역)의 월급[朔料], 장계(狀啓)와 수조회안(收租會案)을 마감하는 데 드는 종이 값, 동지사(冬至使) 구청(求請)의 잡물(雜物), 대동(大同) 간색미(看色米)포대(布帒) 값, 장졸(將卒)에게 주는 봉급과 사수(射手)ㆍ포수(砲手)의 양미(糧米), 왜인이 진상하는 봉과잡물(封裹雜物), 군의마세(軍儀馬貰), 두모포(豆毛浦)ㆍ개운포(開雲浦) 2진(鎭)의 왜관차역견감조(倭館差役蠲減條)는 예(例)에 의하여 회감하고, 별진하(別陳賀) 방물(方物)ㆍ물선(物膳) 전문(箋文), 임기가 만료된 감사가 새로 부임할 감사를 대신하여 올리는 도계 진상(到界進上), 향교 수개(修改) 때의 이안(移安) 제물, 별사(別使) 구청(求請)의 잡물, 영장(營將)이 새로 부임할 때에 자리를 마련하는 데 소용되는 잡물(雜物), 수륙(水陸)에서 조련(操鍊)하는 군병(軍兵)의 호궤(犒饋)ㆍ화전(火箭)ㆍ밀초[黃燭], 사고(史庫)의 포쇄(曝曬) 때 드는 잡물(雜物), 황장판(黃腸板 회양목 널빤지. 재궁(梓宮)을 만드는 데 사용함)ㆍ밤나무[栗木 신주를 조성(造成)하는 데 사용함]를 봉해 싸는 데 드는 잡물, 문과(文科)ㆍ무과(武科)의 과장(科場)을 설시하는 읍이 판비하는 잡물, 진선(津船)의 개조ㆍ개삭(改朔) 값, 경ㆍ향(京鄕) 접위관(接慰官왜국(倭國) 사신이 올 때에 영접하는 관원)의 예단(禮單) 잡물, 왜관(倭館)에 머물러 있는 왜인(倭人)에게 주는 예물(禮物), 표류한 왜인의 공궤와 양식 및 반찬, 감사(監司)ㆍ병사(兵使)ㆍ수사(水使)ㆍ수령(守令)의 상사(喪事)에 수용(需用)되는 쌀은 모두 수시(隨時) 회감한다. ○ 관동(關東) : 월령삭선(月令朔膳)ㆍ삼명절의 물선전문(物膳箋文), 천신물선(薦新物膳), 월령의 약재(藥材)ㆍ인삼(人蔘), 정조 호장(正朝戶長)작지(作紙) 값, 영관(營官)ㆍ본관(本官)의 기름[油]ㆍ꿀ㆍ잡물 값, 대동 감색료(監色料), 보장사(報狀使 상관에게 보고하는 공문(公文)을 가지고 가는 사람)의 품삯, 경주인(京主人 경저리(京邸吏))ㆍ방자(房子 지방의 6방에서 일하는 남자 종의 하나)의 보수[役價], 연분(年分) 상정군정(詳定軍丁)의 문서(文書)와 공도회(公都會)의 방목지(榜目紙 과거급제자의 성명을 기록하는 것)의 종이[紙]ㆍ필(筆)ㆍ묵(墨)의 값, 4등군기(四等軍器) 월과조총(月課鳥銃)ㆍ탄약[藥丸] 값, 사직(社稷)ㆍ문묘(文廟)ㆍ산천(山川)ㆍ서원(書院)ㆍ사(祠)ㆍ묘(廟)의 각 제향(祭享)에 드는 물종(物種) 값, 포폄(褒貶)과 회안(會案)을 봉해 싸는 잡물, 향실(香室)의 자단향(紫丹香 향의 일종), 상의원의 누주(樓柱) 값과 잡비(雜費), 영동(嶺東)에 위치한 읍(邑)의 동지사(冬至使) 구청(求請)의 잡물, 진상선(進上船)의 품삯은 예(例)에 의하여 회감하고, 별진하물선(別陳賀物膳) 전문(箋文), 임기가 만료된 감사가 새로 부임할 감사를 대신하여 올리는 도계 진상(到界進上), 영관(營官)ㆍ본관(本官)새로 부임하는 것을 영접할 때[新迎時]지장(支裝) 잡물, 관아 창고(倉庫)의 수리(修理), 이조(吏曹)의 당참채(堂參債) 구관해유채(舊官解由債), 장릉(莊陵 단종의 능) 봉심(奉審 왕명을 받들어 능을 보살피는 것)과 사고(史庫) 봉안(奉安) 및 왕의 태(胎)를 묻을 때에 출참(出站)하는 반찬 값, 문과(文科)ㆍ무과(武科)의 과장(科場)을 설시하는 읍이 판비(辦費)하는 잡물, 진상선(進上船)과 참진선(站津船)의 개조(改造) 개삭(改朔) 값, 각 잉문의 군사를 한데 모아 조련(操鍊)할 때의 호궤(犒饋),군기시(軍器寺)의 별복정(別卜定)한 도가니[陶罐] 값, 황장판(黃腸板)을 봉해 싸는 비용, 영동(嶺東) 읍의 별사(別使 황장나무를 채취하기 위하여 파견한 관원) 구청(求請)의 잡물 값, 울릉도(鬱陵島) 수토(搜討) 때의 선상[船上] 잡물, 사고(史庫)의 포쇄(曝曬) 때 드는 잡물(雜物), 각종 진상(進上)의 배지(陪持) 잡비, 수령(守令)ㆍ차사원(差使員)이 상경할 때의 고풍례목(古風禮木 전례[例]에 의하여 행하(行下)로 주는 무명), 호적(戶藉)을 상납할 때의 서울과 지방에서 드는 잡비, 향교 수개(修改) 때에 이안(移安)에 드는 제물(祭物), 내의원(內醫院)이 별복정(別卜定)한 약재(藥材) 값, 분원(分院)의 구유[木槽] 백토(白土), 장생전(長生殿)의 고수(羔鬚), 조지서(造紙署)의 침목(砧木 다듬이 하는 나무), 상의원의 꿩깃[雉羽], 비변사(備邊司)의 호피(虎皮)와 방석(方席) 값, 감사(監司)ㆍ도사(都事) 선생(先生 원임(原任)감사와 원임도사, 도사는 감영의 종5품의 벼슬)의 치부(致賻 부의(賻儀)를 주는 것)는 모두 수시(隨時) 회감한다. ○ 해서(海西) : 감영(監營)의 삼명절 방물(方物), 병영(兵營)의 복구방물(復舊方物), 더[加] 복정(卜定)한 월령물선(月令物膳)과 약재, 문묘(文廟) 추배위(追配位) 제향 때의 포육(脯肉)ㆍ폐백(幣帛), 각종 진상과 제향의 첨가(添價), 경주인(京主人)의 보수는 예(例)에 의하여 회감하고, 별진하방물(別進賀方物) 전문(箋文), 임기가 만료된 감사가 새로 부임할 감사를 대신하여 올리는 도계 진상(到界進上), 호조의 별수미(別收米)를 운반하는 배의 잡비, 향교 수개 때 이안(移安)에 드는 제물, 전선(戰船)ㆍ방선(防船)ㆍ진선(津船)의 개조 개삭(改朔) 값, 문과ㆍ무과의 과장을 설시한 읍이 판비하는 잡물, 표류인(漂流人)의 공궤, 사행(使行) 때 입북역자(入北驛子)의 노자(路資)로 쓰는 쌀은 모두 수시(隨時) 회감한다. 경사(京司)의 복정(卜定)과 외읍(外邑)의 회감(會減)이 만일 정해진 식례(式例)로 지급할 것이 아니면 먼저 선혜청에 보고(報告)한 뒤에 시행한다. 정종(正宗) 계축(1793, 정조 17)에 선혜청 당상 정민시(鄭民始)가 연품(筵稟)하여 정식(定式)하였는데, 삼남(三南)의 책 만드는 종이, 관동(關東)의 목물(木物)과 도가니[陶罐], 호서(湖西)의 오석(烏石), 영남(嶺南)과 해서(海西)의 돗자리[席子]ㆍ시우쇠[正鐵]ㆍ숫돌[礪石]ㆍ갈대발[蘆簾], 각도(道)의 꿀[淸蜜]ㆍ약재(藥材)와 같은 종류임.


 

[주D-001]이명식(李命植) :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건중(楗仲), 호는 목애(木厓). 영조 신미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은 이조판서(史曹判書)에 이름. 시호는 문정(文貞).
[주D-002]숭의전(崇義殿) : 경기 연천군(漣川郡)에 있는 고려 태조(太祖) 이하 태종(太宗)ㆍ혜종(惠宗)ㆍ정종(定宗)ㆍ광종(光宗)ㆍ경종(景宗)ㆍ성종(成宗)ㆍ목종(穆宗)ㆍ현종(顯宗)의 위패를 봉안한 사당.
[주D-003]삼명절(三名節) : 삼명절(三名節). 국왕의 탄일(誕日)ㆍ정월 초하루ㆍ동지(冬至)의 세 명절.
[주D-004]내국(內局) : 내의원(內醫院)의 약칭. 삼의사(三醫司)의 하나. 태조(太祖) 때에 창설하였는데 궁중의 어약(御藥)을 맡아보는 관아.
[주D-005]수조도안지(收租都案紙) : 수조안(收租案)을 도합(都合)한 문서에 소용되는 종이.
[주D-006]초둔(草芚) : 띠ㆍ부들 같은 것의 풀로 거적처럼 엮어 만든 것. 비올 적에 물건을 덮거나 볕 가리는 데 씀.
[주D-007]별진하(別陳賀) : 특별한 경사가 있을 때 백관이 조하(朝賀)하는 일.
[주D-008]월령삭선(月令朔膳) : 매월 초1일에 각도에서 산출(産出)되는 물건으로 차려서 국왕에게 바치던 수랏상[水刺床].
[주D-009]계성사(啓聖祠) : 공자(孔子)ㆍ안자(顔子)ㆍ자사(子思)ㆍ증자(曾子)ㆍ맹자(孟子)의 아버지를 제사지내던 사당. 서울 문묘 안에 있음.
[주D-010]석전(釋奠) : 문묘(文廟)에서 행하는 공자(孔子)의 제례(祭禮). 본래 제물(祭物)을 신전(神前)에 진열하여 선성(先聖)ㆍ선사(先師)를 제사하는 것인데 음력 2월과 8월의 상정일(上丁日)에 거행함.
[주D-011]독제(纛祭) : 독(纛)에 지내는 제사. 군기제(軍旗祭). 독은 대가(大駕) 앞이나 군중(軍中)에서 대장(大將)의 앞에 세우던 기의 일종.
[주D-012]종강강분(種薑薑粉) : 생강 뿌리로 즙을 내어 말린 가루.
[주D-013]향실(香室) : 교서관(校書館)의 소속으로 대(大)ㆍ소(小) 제향(祭享)에 쓰는 향(香)과 축문(祝文)을 맡던 곳.
[주D-014]동지사(冬至使) : 명(明) 또는 청국(淸國)에 보내는 사신에게 동지(冬至)를 전후(前後)하여 가기 때문에 정사(正使)는 삼공(三公) 또는 육조(六曹)의 판서가 담당하고, 부사와 서장관(書狀官)이 수행한다. 공물로는 인삼ㆍ호피(虎皮)ㆍ수달피ㆍ화문석(花紋席)ㆍ종이ㆍ명주ㆍ모시 등이다.
[주D-015]분원(分院) : 사옹원(司甕院)의 사기그릇 만드는 일을 맡은 직소(職所). 경기도 광주에 있음.
[주D-016]간색미(看色米) : 좋고 나쁜 것을 알기 위하여 견본(見本)으로 삼는 쌀.
[주D-017]왜관차역견감조(倭館差役蠲減條) : 왜관(倭館)에서 노역(勞役)하는 사람에게 조세의 일부를 감하는 것.
[주D-018]연분(年分) : 농작(農作)의 풍흉(豊凶)으로 인하여 매년에 정하는 전세(田稅)의 비율.
[주D-019]공도회(公都會) : 각도의 도사(都事)와 유수(留守)가 매년 그 관내 유생에게 시행하는 초과(初科)ㆍ초시(初試)ㆍ제술(製述)ㆍ고강(考講)으로써 시험하여 여기에 합격된 자는 다음 해 생원(生員)ㆍ진사(進士)의 복시(覆試)에 응할 수 있음.
[주D-020]포폄(褒貶) : 전최(殿最). 지방의 감사가 영하(營下) 각 고을 수령의 치적(治績)을 심사하여 중앙에 보고하는 우열(優劣). 성적을 고사할 때 상은 최(最), 하를 전(殿)이라 하며 6월과 12월 두 번 시행함.
[주D-021]지장(支裝) : 신임(新任) 수령을 영접할 때에 그곳 군아(郡衙)에서 주는 그곳의 산물(産物).
[주D-022]당참채(堂參債) : 수령이 새로 나가거나 또는 다른 고을로 옮길 때 단골 서리(書吏)에게 주는 돈. 당참전(堂參錢).
[주D-023]구관해유채(舊官解由債) : 전임(前任) 수령의 사무를 인계(引繼)할 때에 드러난 채무(債務).
[주D-024]출참(出站) : 사신ㆍ감사를 영접하고 모든 전곡(錢糓)ㆍ역마(驛馬)를 지공(支供)하기 위하여 그의 숙역(宿驛) 가까운 역에서 사람을 내보내는 것.
[주D-025]별복정(別卜定) : 지방에서 나는 물건을 정한 예대로 서울의 각 관아(官衙)ㆍ각도(道)ㆍ각군(郡)에 바치는 것.
[주D-026]배지(陪持) : 지방관아(地方官衙)의 진상(進上)ㆍ장계(狀啓)를 가지고 서울에 가는 사람.
[주D-027]차사원(差使員) : 중요한 사무를 위해 임시로 중앙에서 파견하는 직원.
[주D-028]장생전(長生殿) : 세종 14년에 창설. 동원비기(東園秘器) 즉 왕실용(王室用) 또는 대신(大臣)에게 내리는 관곽(棺槨)을 갖추어둔 관아.
[주D-029]복정(卜定) : 조정에서는 각도(道)에 각도에서는 각군(郡)에 시켜서 그 지방의 산물을 억지로라도 바치게 하던 일.
[주D1-001]공선정례(貢膳定例 : ‘공선정례(貢膳定例)’의 ‘膳’이 어느 본에는 ‘繕’으로, 어느 본에는 ‘善’으로 되어 있음.
[주D1-002]선혜청 당상관[惠堂] : ‘선혜청 당상관[惠堂]’이 어느 본에는 ‘惠廳’으로 되어 있음.
[주D1-003]경청(京廳) : ‘경청(京廳)’이 어느 본에는 ‘京畿’로 되어 있음.
[주D1-004]능행(陵行 : ‘능행(陵行)’과 ‘능행(陵幸)’을 여러 본들에서 통용(通用)하였음. 이하 일일이 적지 않음.
[주D1-005]죽순(竹筍), : ‘죽순(竹筍)’의 ‘筍’이 어느 본에는 ‘荀’으로 되어 있음. 아래도 같음.
[주D1-006]표고버섯[蔈古], : ‘표고버섯[蔈古]’의 ‘蔈’가 어느 본에는 ‘葯’으로, 어느 본에는 ‘藥’으로 되어 있음.
[주D1-007]작지(作紙)ㆍ역가(役價) : 작지는 일종의 수수료이고, 역가는 물건을 운반하는 공역의 비용이다. ‘紙’가 어느 본에는 ‘錢’으로 ‘役’가 ‘後’로 되어 있음.
[주D1-008]왜학통사(倭學通事 : ‘왜학통사(倭學通事)’의 ‘事’가 어느 본에는 ‘使’로 되어 있음.
[주D1-009]포대(布帒) : ‘표대(布帒)’의 ‘帒’가 어느 본에는 ‘貸’로 되어 있음.
[주D1-010]포쇄(曝曬) : ‘포쇄(曝曬)’의 ‘曬’가 어느 본에는 ‘’로, 어느 본에는 ‘晒’로 되어 있음.
[주D1-011]접위관(接慰官 : ‘접위관(接慰官)’의 ‘慰’가 어느 본에는 ‘應’으로 되어 있음.
[주D1-012]월령삭선(月令朔膳) : ‘월령삭선(月令朔膳)’의 ‘膳’이 어느 본에는 ‘饌’으로 되어 있음.
[주D1-013]물선전문(物膳箋文), : ‘물선전문(物膳箋文)’의 ‘膳’이 어느 본에는 ‘饌’으로 되어 있음.
[주D1-014]정조 호장(正朝戶長) : ‘정조 호장(正朝戶長)’의 ‘朝’가 어느 본에는 ‘朔’으로 되어 있음.
[주D1-015]본관(本官) : ‘본관(本官)’이 어느 본에는 ‘本府官’으로, 어느 본에는 ‘本府’로 되어 있음.
[주D1-016]새로 부임하는 것을 영접할 때[新迎時] : ‘새로 ……… 때[新迎時]’의 ‘迎’이 어느 본에는 ‘延’으로 되어 있음.
[주D1-017]지장(支裝) : ‘지장(支裝)’이 어느 본에는 ‘支裝所’로 되어 있음.
[주D1-018]당참채(堂參債) : ‘당참채(堂參債)’의 ‘債’가 어느 본에는 ‘價’로 되어 있음.
[주D1-019]호궤(犒饋), : ‘호궤(犒饋)’의 ‘饋’가 어느 본에는 ‘餉’으로, 어느 본에는 ‘犢’으로 되어 있음.
[주D1-020]내의원(內醫院)이 별복정(別卜定) : ‘내의원(內醫院)이 별복정(別卜定)한’이 어느 본에는 ‘內醫別院卜定’으로 되어 있음.
[주D1-021]더[加] : ‘더[加]’가 어느 본에는 ‘價’로 되어 있음.
[주D1-022]추배위(追配位) : ‘추배위(追配位)’의 ‘追配’가 어느 본에는 ‘進上’으로 되어 있음.
[주D1-023]입북역자(入北驛子) : ‘입북역자(入北驛子)’의 ‘子’가 어느 본에는 ‘者’로 되어 있음.


 

ⓒ 한국고전번역원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공역) ┃ 19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