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鸭香消夏日长,抛书高卧北窗凉。晚来骤雨山头过,栀子花开满院香。
2013. 6. 16. 23:25ㆍ詩
겹치자꽃
梔子花題畵(치자화제화)
豊坊(풍방)
金鴨香消夏日長(금압향소하일장),
抛書高臥北窗凉(포서고와북창량)。
晩來驟雨山頭過(만래취우산두과),
梔子花開滿院香(치자화개만원향)。
금압향로의 향 사그라지고 여름날은 긴데
보던 책 내던지고 편히 누우니 북창이 서늘하네
뒤늦게 내리던 소나기 산머리 지나가고
치자꽃 핀 정원에는 향기가 가득하네
- 梔子 ; 꼭두서니과(―科 Rubiaceae)에 속하는 상록관목. 지름이 5~8㎝ 정도인 꽃은 흰색으로 6~7월경 가지 끝에서 1송이 씩 핀다. 열매 말린 것을 치자 또는 산치자라고 하여 한방에서 소염제·이뇨제·지혈제로 사용하거나 황달의 치료에 쓰며, 초나 재를 매염제로 이용해 헝겊이나 단무지를 노랗게 물들이거나 전(煎)을 노란색으로 물들일 때 쓴다. 꽃 향기가 있어 남쪽지방에서는 정원수로 심기도 한다.
- 金鴨香 ; 금으로 만든 오리 모양의 향로, 또는 그 향로의 향.
- 驟雨 ; 소나기
☞ 근현대 중국화가 진반정(陳半丁)의 <장미치자도(薔薇梔子圖)> 화제(畵題)로도 쓰임
※풍방(豊坊, 1492~1563?)[= 豐坊 = 丰坊]
명나라 때 서법가(書法家)、전각가(篆刻家)、장서가(藏書家)。
절강(浙江) 은현(鄞縣) 사람. 字는 존례(存禮), 또는 인옹(人翁). 號는 남옹외사(南禺外史)。만년(晚年)에 이름을 도생(道生)으로 바꾸었음. 방안(榜眼) 풍희(豊熙)의 아들.
가정(嘉靖) 2년에 진사에 급제하여, 이부주사(吏部主事)를 제수 받았으나, 통주동지(通州同知)로 폄적되었다가 돌아왔다. 오중(吳中)에 살았는데, 빈한하여 병으로 죽었다. 성정이 광탄(狂誕-오만하고 방탄함)하여, 익살로 세상을 희롱하였으나, 재주가 비범하고 박학하여 수천 마디 글을 그 자리에서 써내려가곤 했다.
13경을 모두 따로 훈고하여, 새로운 것을 끌어 내고, 특이한 것을 찾아냈다[鉤新索異]. 집에 만권루(萬卷樓)가 있어 장서가 매우 많았다. 서법은 5체에 모두 능하였으며, 특히 초서를 잘 썼다. 전각(篆刻)에도 뛰어났고, 산수화(山水畵)를 잘 그렸는데, 옛 사람을 사사하지 않고, 스스로 일가를 이루었으며, 또한 화훼(花卉)도 잘 묘사하였다. 《서결(書訣)》을 지었으며,《만권루유집(萬卷樓遗集)》이 있다.
[참고]
명나라 풍방(豊坊)은 『서결(書訣)』에서 이렇게 말했다.
“서예는 육예의 다섯 번째에 자리하는데, 성인은 이것으로 교화하고 육성시키는 데에 참여하여 도와주었으며 고금을 관철하였다[書居六藝之五, 聖人以之參贊化育, 貫徹古今.]”
“손가락은 착실하고 팔을 들어 붓에 온 힘이 있게 한 뒤에 누르고 비틀고 머무르고 꺾어서 글씨가 반드시 나무속으로 파고 들어가면 인인니와 같게 된다. 이는 방필과 원필이 깊고 중후하여 가볍게 나부끼지 않음을 말한다[指實臂懸, 筆有全力, 擫衄頓挫, 書必入木, 則如印印泥. 言方圓深厚而不輕浮也].”
七言绝句 押阳韵
다음 카페 <고사성어서당>에서
치자나무
| |||||||
| |||||||
|
다음 카페 <풀꽃나라>에서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코얌 농사집 자식, 내 아가 (0) | 2013.06.25 |
---|---|
세상이 달라졌다 外 /정희성 (0) | 2013.06.19 |
梔子 (치자) /朱淑眞 (南宋 1091년 전후) 外 (0) | 2013.06.16 |
지는 꽃은 욕심이 없다 外 / 도 종 환 (0) | 2013.06.03 |
새에 대한 반성문 / 복 효 근 (0) | 2013.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