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용버섯 이야기 : 서근산(舒筋散)

2017. 4. 25. 11:17야생화, 식물 & 버섯 이야기



  약용버섯 이야기(88): 사마귀버섯


사마귀버섯은 항산화, 항종양, 항알레르기, 항염 작용을 가지고 있어 류마치스성 관절염에 좋은 버섯이고, 지구다시 살리기에도 유용한 버섯이다.

  • 최종수(야생버섯애호가) 기자

www.jadam.kr 2016-03-27 [ 최종수 ]
사마귀버섯 Thelephora terrestris Ehrh. 영어이름 Earth Fan. 불규칙한 사마귀가 많이 돋아 있다.

   thelephora라는 속명은 그리스어로 유두를 맺는(bearing nipple)이라는 뜻으로 가죽질을 가진 이 버섯의 사마귀가 많은 것을 가리킨다. 종명 terrestris란 땅위의 라는 뜻으로 이 버섯이 땅위에 돋는 것을 가리킨다. 여름에서 가을까지 땅위에 단생 또는 여러 개가 융합하여 돋는데 흔히 주변의 작은 나무나 뿌리, 혹은 초본 식물들을 감싸고 돋는 것이 그 특징이다. 부채꼴이나 반원꼴을 가지고 있고 적갈색, 초콜릿갈색을 가지고 있고 가장자리는 연한 갈색이나 흰색이 섞어 있는 엷은 색이다. 노균이되어 가면서 검은색을 띤다. 자실층은 진흙갈색으로 평활하거나 불규칙한 사마귀가 많이 붙어있고 때로는 불규칙한 주름져 있다. 질겨서 식용할 수 없다.


www.jadam.kr 2016-03-27 [ 최종수 ]
사마귀버섯 속 Thelephora vialis Schwein. 영어이름 Groundwart

   역시 사마귀버섯 처럼 땅위에 돋는 부채꼴이나 반원꼴을 가진 버섯으로 사마귀버섯과 흡사하게 생겼으나 단지 그 색깔이 엷어서 허연색이거나 노란색이나 갈색이 섞인 회색, 또는 엷은 보라색이 섞인 회색이다. 활엽수림 땅위에, 특히 참나무 밑에 많이 돋는다.


화학성분과 의학적 사용


www.jadam.kr 2016-03-27 [ 최종수 ]
사마귀버섯. 흔히 주변의 식물이나 나무줄기를 감싸고 돋는다.

   사마귀버섯: terrestrins A-G, 프레그넌스 타입의 스테로이드인 terresterones A-B 성분이 들어 있고, 이 성분들은 항산화작용 성분으로 비타민 C나 BHA보다 더 강력한 성분이다. 또 thelophoric acid라는 성분은 항종양, 항알레르기 작용을 가지고 있다.

www.jadam.kr 2016-03-27 [ 최종수 ]
사마귀버섯 속 T. vialis 엷은 보라색이 섞여 있다.

   사마귀버섯 속 Thelephora vialis: vialinin A와 B, thelephorine A, ganbajunins성분을 가지고 있다. vialinin A 성분은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가진 성분으로 류마치스성 관절염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vialinin B 성분은 항알레르기 작용을 가지고 있고 장기 이식 때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중국 전통의학에서 그 효능은 추풍산한(追風散寒), 서근활락(舒筋活洛)이요, 그 적응증은 요퇴동통(腰退疼痛), 수족마비(手足痲痺), 근락불서(筋絡不舒)라 하였다. 다시 말하면 이 버섯은 중국 전통의약 가운데 서근산(舒筋散 Tendon Easing Powder) 등 관절약의 원료로 첨가하여 허리나 다리의 통증, 감각이 없는 팔다리의 마비 증상, 힘줄과 핏줄의 통증 치료에 사용한다.


www.jadam.kr 2016-03-27 [ 최종수 ]
사마귀버섯의 자실층을 볼 수 있다.


지구 다시 살리기에 이용

   1984년 Thompson과 Medve는 이 사마귀버섯이 알루미늄과 망강 등 광물질에 잘 견뎌내는 것을 발견하여, 광물질과 관련된 산업 단지에서 이들 광물질을 모니터링 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또 카드뮴 억제하고, 4 플루오로바이페닐 (4-fluorobiphenyl)을 65% 분해한다고 한다.


참고문헌:

Robert Rogers, The Fungal Pharmacy: The Complete Guide to Medicinal Mushrooms and Lichens of North America, Berkeley, Calif.: North Atlantic Press, 2011, pp. 399-400.

박완희, 이호득, 한국 약용버섯 도감, 서울: 교학사, 2003(재판), 685쪽


최종수(야생버섯애호가) 기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16.03.27 00:28



<저작권자 © 자닮>




약용버섯 이야기(28): 참버섯, 부채버섯, 애잣버섯

  • 최종수(야생버섯애호가)

1. 참버섯 Sarcomyxa serotina(Pers.)P. Karst.

 

= 참부채버섯 Panellus serotinus (개칭, 속 변경)

 

영어속명 Late Fall Oyster, Green Oyster

 

 

www.jadam.kr 2013-06-09 [ 최종수 ]
참버섯 세송이

 

   참버섯은 Late Fall Oyster라는 영어속명(俗名)이 말해주는 것처럼 늦가을에 활엽수 고사목에 돋는데 비교적 흔하고 많이 돋는 편이다. 또 미국 동부지역에서 돋는 것은 그 갓 색깔이 초록색이기 때문에 Green Oyster라고도 한다. 물론 미국에서 돋는 것도 초록색 이외의 갈색이나 초록색 끼가 있는 갈색 등 그 색깔이 다양하지만 한국에서 돋는 것은 초록색이라고 하기보다 황갈색, 자색 끼가 있는 자갈색, 갈록색, 황록색 등 다양하다. 식용버섯이지만 습하면 몹시 미끄럽고 또 질겨서 뭉근한 불에 오래 삶아야 한다. 그러나 그 맛은 별로다. 거기다가 한국의 초보자들은 한국에서 돋는 독버섯인 화경버섯과 비슷하여 혼동하기 쉬우니 조심해야 한다.

 

 

www.jadam.kr 2013-06-10 [ 최종수 ]
참버섯의 주름살 모습

 

화학성분: heteroglucan과 (1-6)-beta-D-glycosyl-branched (1-3)-beta-D-glucan, 그리고 세라미드(ceramide 스핑고신 sphingosine에 지방산(酸)을 결합시켜 만드는 아미드) 두 종류가 들어 있다. 박완희 선생의 한국 약용버섯도감에 보면 유리 아미노산 27종, 에르고스테롤, 미량금속 원소 13종이 들어 있고 그 밖에도 글리세롤, 아라비톨, 마니톨, 글루코스, 트레할로스, 셀루로스, 헤미셀루로스, 치틴, 펙틴, 베타 글루칸, 다당류, 리그닌 등이 들어 있다고 한다(228쪽). 또 이 버섯에 항종양 성분이 들어 있어 쥐 실험에서 sarcoma 180 억제율 70%, Ehrlich 복수암 억제율70%를 보여준다. 이 참버섯의 초록색은 리보플라빈 (riboflavin)과 메틸리보플라빈 (3-N-methylriboflavin)이 들어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또한 참버섯에는 사람 혈액 A형 적혈구를 응집시키는 성분이 들어 있다고 한다.

 


2. 부채버섯 Panellus stipticus(Bull.) P. Karst.

 영어속명 Luminescent Panellus

 

 

www.jadam.kr 2013-06-10 [ 최종수 ]
부채버섯

 

   부채버섯은 유럽과 한국에서도 돋는데 유독 미국에서 돋는 것은 밤에 초록색 끼가 있는 흰빛(夜光)을 낸다. 이렇게 밤에 빛을 내는 버섯은 앞서 다룬 할로윈호박색화경버섯(임시이름) 말고도 뽕나무버섯, 느타리, 애주름버섯류(Mycena spp.)가 있다. 신선한 부채버섯을 채취하여 주름이 위로 가도록 접시 위에 담아 전등을 끈 방에 두고 밤에 눈이 어둠에 적응하기 까지 좀 기다리면 빛을 내는 것(發光)을 볼 수 있다.

 

   Reggie Buller라는 버섯 학자가 발견한 바에 따르면 이 부채버섯이 포자를 방출할 때 빛을 낸다고 한다. 그런데 이 버섯이 건조하면 더 이상 빛을 내지 않지만 물에 불려서 습기를 공급해 주면 다시 빛을 내는데 심지어 건조한 지 육 개월 뒤에도 다시 불려주면 빛을 낸다고 한다. 발광하는 버섯들이 질소, 수소, 에테르, chloroform 등이 발광 과정을 멈추게 할 때까지 산소가 필요하다고 한다. 부채버섯 역시 활엽수 고사목 위에 돋는데 늦은 봄부터 돋기 시작 여름을 거쳐 가을이 되면 특히 많이 돋는다. 미국 동부지역에 많이 분포하고 있다.

 

 

www.jadam.kr 2013-06-10 [ 최종수 ]
역시 부채버섯. 밤에 주름에서 빛을 낸다.

 

   부채버섯에는 eburicoic acid가 들어 있다. 부채버섯의 종명(種名) stipticus가 암시해 주는 대로 유럽 일부 지역에서는 전통적으로 지혈제로 사용하였다고 한다. 부채버섯 자실체를 말려서 가루로 만들어 외상 출혈 때 상처에 뿌려준다. 항균 작용 성분이 있어 대장균, 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작용이 있다. 또 사람 혈액형 B와 O의 특정 적혈구 응집 성분이 들어 있다. 또 항종양 작용이 있어서 sarcoma 180에 대한 80% 항종양 억제율과 Ehrlich 복수암 70% 억제율를 보여준다. 그 밖에도 내분기계 질병과 질병에 대한 저항력 조절에 유효하다(이상 박완희, 231쪽 참고).

 

3. 애잣버섯 Lentinus strigosus(Schwein.) Fr.

 

=애참버섯 Panus rudis Fr. (개칭, 속 변경)

 

영어속명 Giant Panus

 

 

www.jadam.kr 2013-06-10 [ 최종수 ]
애잣버섯(=애참버섯)

 

   애잣버섯은 자작나무, 포플러, 버드나무 등 활엽수 그루터기에 돋는데, 그 생김새는 털이 많은 느타리처럼 생겼다. 약간 보라색 끼가 있는 솜털이 많아 어린 애잣버섯을 보면 아주 귀엽다. 식용할 수 있으나 질겨서 먹기 힘든다. 중국 전통의학에 따르면 애잣버섯을 여러 종류의 부스럼 치료약으로 사용하였다. 이 버섯 달인 물로 부스럼이 난 곳을 씻으면 현저한 치료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한다. 또 이 버섯의 홀씨자루(포자병) 말린 것을 가루로 만들어 외상 출혈 때 지혈제로 사용한다.

 

 

www.jadam.kr 2013-06-10 [ 최종수 ]
애잣버섯은 잔털이 많아 귀엽게 생겼다

 

   또 애잣버섯류에서 추출한 panepoxydone이라는 성분은 암 세포 공격에 사용할 수 있다. 이 버섯의 다른 성분은 에르고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베타 시토스테롤이 들어 있고 약리작용으로 항종양 작용이 있어 sarcoma 180 억제율 60%, Ehrlich 복수암 79% 억제율을 보여준다(박완희, 394쪽 참고).


 

4. 털이 없는 애잣버섯 Lentinus torulosus(Pers.:Fr.) C.G. Lloyd

 

영어속명 Smooth Panus 또는 Conch Panus

 

 

www.jadam.kr 2013-06-10 [ 최종수 ]
털이 없는 애잣버섯속 버섯

 

   이 버섯은 애잣버섯과 색깔이나 모양이 거의 똑같이 생겼으나 단지 털이 없다. 그래서 영어속명이 Smooth Panus인데, 또 귓바퀴(外耳)를 뜻하는 Conch Panus 라고 부르기도 한다. 중국 전통의학에서 이 버섯을 요퇴동통(腰腿疼痛)과 수족마비, 근락불괄(筋絡不适)을 치료하는 서근산(舒筋散 Tendon Easing Powder)의 원료, 다시 말하면 다리와 힘줄의 통증을 치료하는 관절약의 원료로 사용하였다(박완희, 681-682쪽)

 

 

www.jadam.kr 2013-06-10 [ 최종수 ]
역시 털이 없는 애잣버섯속 버섯

 

   또 이 버섯에서 추출한 hyponophilin이라는 성분은 라틴 아메리카의 잠자는 병인 샤가스병(Chagas Disease)을 일으키는 유기체(organism)를 상당히 억제하는 물질이다. 소량을 가지고도 사람의 면역 조절 백혈구에 가벼운 영향을 줄 뿐 샤가스병을 완전 억제한다고 한다. @

 

참고문헌:

 

Robert Rogers, The Fungal Pharmacy: The Complete Guide to Medicinal Mushrooms and Lichens of North America, Berkeley, Calif.: North Atlantic press, 2011, pp. 302-304.

박완희, 이호득, 한국 약용버섯 도감, 서울: 교학사, 2003(재판), 228, 231, 394, 681-682쪽.

 

최종수(야생버섯애호가),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13.06.09 17:37

<저작권자 © 자닮>





약용버섯 이야기(25): 선녀낙엽버섯


선녀낙엽버섯은 맛 좋은 식용버섯이자 피부미용, 항종양, 항균 작용 외에도 한방 관절약의 원료이다.

  • 최종수(야생버섯애호가)

 

www.jadam.kr 2013-04-27 [ 최종수 ]
선녀낙엽버섯 4송이

 

Marasmius oreades(Bolt.) Fr. 영어속명 Fairy Ring Mushroom

 

   Marasmius라는 속명(屬名)은 그리스어로 “말라죽은, 시든”상태를 뜻하는 말로 비 온 뒤 다시 살아나는 이 버섯의 능력을 가리키는 이름이다. oreades라는 종명(種名)은 “산에서 돋는”이라는 뜻의 그리스어에서 온 이름이지만, 실은 이 버섯이 산에서 돋는다고 하기보다 초지나 잔디, 골프장 등 풀밭 위에 둥그런 균환(菌環 fairy ring)을 이루며 돋기 때문에 정확하게 그 돋는 곳을 지적해 주지 못하는 이름이다. 영어속명 Fairy Ring Mushroom이라는 이름은 이 버섯이 흔히 풀밭 위에 둥그런 균환을 이루며 돋기 때문에 붙인 이름이다. 물론 균환을 이루며 돋는 버섯은 이 선녀낙엽버섯 말고도 여러 다른 버섯들이 있다. 이 영어속명이나 한국어 이름 선녀낙엽버섯이라는 이름 속에는 신화나 전설 같은 내용이 담겨 있는 동화나 민담 때문인데 달밤에 난쟁이 요정들이 나와 둥글게 손잡고 춤을 춘다는 이야기를 상상해 보시면 잘 이해할 수 있다.

 

이렇게 버섯이 균환을 이루며 돋는 이유는 버섯의 균사가 동심원을 그리며 뻗어나가는 끝자락에서 버섯이 돋기 때문이다. 균사는 해마다 점점 더 크게 동심원을 그리며 뻗어나가는 관계로 그 균환의 크기도 점 점 더 크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캐나다 알버타(Alberta) 주 매니베리스(Manyberries)근처에서 1969년에 발견된 균환은 지름이 1000ft(약 3300m)나 되고 그 나이가 적어도 700년이나 되었다고 하니 놀랍다. 버섯의 균사가 일 년에 약 12에서 13cm씩 자란다고 하니 나이가 700살이라고 하면 그 크기가 얼마나 클지 상상해보시기 바란다. 여러 낙엽버섯류는 솔잎에서 발견되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토마토 등에서 발견되는 물질로 항암, 심장질환 예방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여겨짐)인 탁시폴린 배당체(配糖體) (taxifolin glycoside) 의 영향으로 더 빨리 자라도록 자극을 준다고 한다.

 

 

www.jadam.kr 2013-04-27 [ 최종수 ]
역시 선녀낙엽버섯 주룸살 모습도 볼 수 있다.

 

   선녀낙엽버섯은 초지를 좋아하여 여름이면 인가 근처 잔디 위에도 많이 돋기 때문에 잔디 관리하는 사람이 제거하려 하여도 쉽지 않다. 이 글을 쓰는 사람의 집 잔디 위에도 해마다 여름 소나기 온 뒤에 여기 저기 돋아 위의 사진들은 주로 집 주변 잔디 위에서 발견되는 것들을 촬영한 것이다. 맛있는 식용버섯이기 때문에 애써 제거하려하기 보다 잔디에 화학비료나 살충제 또는 제초제를 살포하지 않았다면 채취하여 식용하는 것이 더 좋을 것이다. 과식하거나 생식하면 위장장애도 올 수 있어 주의하여야 한다. 신선한 것은 물론 말린 것도 그 맛이 좋아 버터로 조리하면 향기로운 참나무 냄새를 더해준다고 한다. 그 크기에 비하여 그 맛과 향이 좋아 말려서 가루로 만들어 과자를 굽거나 쑵을 끓일 때 넣어도 좋다고 한다.

 

   선녀낙엽버섯에는 시안화 수소산(hydrocyanic acid)이 들어 있어서 아주 향기로운 알몬드 냄새를 낸다. 이 성분은 휘발성이 강한 성분으로 버섯을 조리할 때 발산하는 것을 흡입하여도 인체에 해롭지 않다. 그래서 이 버섯을 저장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직접 냉동하거나 섭씨 70도 열로 건조하는 방법이 좋다. 말릴 때에는 실에 꿰어 말리거나 최근 등장한 건조기를 사용하여 말려도 좋을 것이다.

 

 

www.jadam.kr 2013-04-27 [ 최종수 ]
이 선녀낙엽버섯도 집 옆 잔디 위에 돋은 것이다.

 

민담에 얽힌 선녀낙엽버섯의 균환(菌環)

 

독일에서는 균환(fairy rings)을 hexen rings라고 부르는데 hexen이란 “마녀”를 뜻한다. 5월 제(祭 May Day) 전날 밤 옛 이교 마녀들이 술을 마시고 흥청망청 떠들며 둥글게 손에 손을 잡고 춤을 추었다고 전한다. 다른 전설에 따르면 균환은 벼락이 쳐서 형성된 것이라고 하는가 하면 또 다른 전설은 균환은 보물들이 묻혀있는 곳으로 오직 요정이나 마녀의 도움으로만 찾아낼 수 있다고 한다. 프랑스에서는 “마술사의 고리”(ronds de sorcieres)라고 하여 성스러운 고리로서 퉁방울눈을 가진 두꺼비가 나타나는 곳이라고 한다.

 

서부 오스트리아와 북부 이탈리아에 걸쳐 있는 알프스 산맥 가운데 한 지방인 티롤(Tyrol)에서는 균환이 용의 뜨거운 숨으로 만들어진 것이라고 믿었고, 아일랜드에서는 악마가 버터를 만들 때 엎질러진 우유가 만들어 낸 것이라고 믿었다. 또 유럽 어느 지방에서는 균환이 난쟁이 요정의 침이나 오줌 또는 정액이 만들어 낸 것이라고 한다. 북미 인디언의 한 부족은 균환이 버펄로의 춤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라고 믿는다. 이렇게 선녀낙엽버섯에 온갖 전설이 많이 얽혀 있는 갓은 아마도 이 버섯이 천둥치고 큰 소나기 많이 내린 다음 하루 밤사이에 풀밭 위에 둥그렇게 균환을 이루고 돋아 있는 것을 보고 신기하게 여긴 때문인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선녀낙엽버섯의 전통 의학적 사용

 

유럽에서는 젊은 여성이 얼굴 피부의 색깔을 개선하기 위하여 균환 써클 안에 있는 이슬을 받아 사용하였다고 한다. 또 이 이슬은 사랑하는 이를 매혹하는 데에도 유용하다고 믿었으나 만일 마법에 걸렸을 때 이 이슬을 얼굴에 바르면 오히려 미관을 손상하는 것으로 믿기도 하였다.

 

   중국 전통의학에서 선녀낙엽버섯은 요퇴동통(腰腿疼痛)과 수족마비, 근락불괄(筋絡不适)을 치료하는 서근산(舒筋散 Tendon Easing Powder)의 원료, 다시 말하면 다리와 힘줄의 통증을 치료하는 관절약의 원료로 사용하였다.

 

 

www.jadam.kr 2013-04-27 [ 최종수 ]
선녀낙엽버섯 4송이

 

현대 의학적 사용

 

   선녀낙엽버섯에는 에고스테롤(egosterol)의 한 전구체(前驅體 a precursor)인 4, 4-dimethyl-5 alpha-egosta-8, 24(28)-dien-3 beta-ol; 항균 및 식물독소 성분인agrocybin과 drimane sesquiterpene; A형 혈액형에 특이 반응을 보이는 렉틴(lectin); 식물염기 알칼로이드(alkaloid); 향기로운 알몬드 냄새를 내는 성분인 시안화 수소산(hydrocyanic acid)가 들어 있다.

 

   선녀낙엽버섯을 액체 배양(液體培養) 하면 sesquiterpenes marasmone, anhydromarasmone, isomarasmone, dihydromarasmone를 추출해 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norsesquiterpenes o-formyloreadone와 3 alpha hydoxy oreadone, 그리고 dehydrooreadone를 추출해 낼 수 있다. 또 렉틴(lectin)은 사람 B형 혈액형에 반응을 보이는 성분으로 신장 혈전증 미세혈관 장애의 원인이 된다고 한다. 그리고 선녀낙엽버섯은 NFkappa B 활성 경로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데, 이 현상은 암 치료에 상당한 의미가 있다고 한다. 또 항 증식 및 세포자멸 효과도 입증되고 있다.

 

 

www.jadam.kr 2013-04-27 [ 최종수 ]
마늘낙엽버섯. 맛을 보려고 조금 떼어 입에 넣고 씹어보니 진한 마늘냄새가 난다. 마늘 대용으로 쓸 수 있는 버섯이다.

 

   낙엽버섯류 가운데 하나인 마늘낙엽버섯(Marasmius scorodinus)은 마늘 냄새가 강하게 나는 버섯인데 scorodinin이라는 항생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또 연잎낙엽버섯(Marasmius androsaceus)에는 marasmic acid라는 항균 항염 작용을 하는 성분이 들어 있다. @

 

참고문헌:

 

Robert Rogers, The Fungal Pharmacy: The Complete Guide to Medicinal Mushrooms and Lichens of North America, Berkeley, Calif.: North Atlantic press, 2011, pp. 281-285.

 

박완희, 이호득, 한국 약용버섯 도감, 서울: 교학사, 2003(재판), 204-205쪽.

 

최종수(야생버섯애호가),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13.04.27 09:48



<저작권자 © 자닮>



자닮






한국전통지식포탈

서근산(舒筋散)A

[처방]서근산(舒筋散)A, 동의보감(東醫寶鑑)(1613)

   약재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데운 술에 타서 빈속에 먹는다. 혹은 우슬, 도인, 속단을 더 넣어 써도 효과가 있다., 계심(桂心), 당귀(當歸)A, 현호색(玄胡索)A

주요내용

처방 상세정보 주요내용
내용접질려서 피가 몰려 허리가 아픈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총 3건)
조제용법약재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데운 술에 타서 빈속에 먹는다. 혹은 우슬, 도인, 속단을 더 넣어 써도 효과가 있다.
주치병증

좌섬(挫閃)

좌상(挫傷)과 섬상(閃傷)을 합해 이른 말. 몸 표면에 둔한 외력(外力)이 작용하여 피부에 큰 상처 없이 피하 조직 및 근골(筋骨), 장기가 상한 것을 좌상이라고 하고, 몸을 갑자기 비틀거나 굽혔다 펴는 것 등으로 인해 인대나 근막이 땅겨지면서 손상된 것을 섬상이라고 한다

혈력요통(血瀝腰痛)

혈력(血瀝)으로 인해 허리가 아픈 것

출전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원출전 득효(得效)
편명외형편(外形篇) 권삼(卷三) 요(腰)

분석정보

처방 상세정보 분석정보
IPCA61K 36/232; A61K 36/54; A61K 36/66; A61P 29/00
키워드서근산(舒筋散); 계심(桂心); 계피(桂皮); 계피나무; 관계(官桂)육계나무(동속근연식물); 육계(肉桂)(동속근연식물); 건귀(乾歸); 당귀(當歸); 대근(大芹); 문귀(文歸); 문무(文無); 백점(白蔪); 산점(山蔪); 상마(象馬); 숭검초; 승검초; 신감채; 여인천(女二天); 왜당귀; 일당귀(日當歸); 조선당귀; 중국당귀; 지선원(地仙圓); 참당귀; 토당귀(土當歸); 남화채; 들현호색; 보물주머니; 연호(延胡); 연호색(延胡索); 원호; 원호색(元胡索); 정호(廷胡); 정호색(廷胡索); 현호색(玄胡索); 애기현호색(동속근연식물); 왜현호색(동속근연식물); 섬현호색(동속근연식물); 들현호색(동속근연식물); 댓잎현호색(동속근연식물); 혈력요통(血瀝腰痛); 혹; 혈(血); 기(氣); 경락(經絡); 외사(外邪); 결(結); 응결; 결절; 덩어리; 융기(隆起); 붉은색; 적자색(赤紫色); 혈관(血管); 출혈(出血); 혈관류(血管瘤); 좌섬(挫閃); 섬상(閃傷); 좌상(挫傷); 타박; 멍; 염좌

발행정보

처방 상세정보 발행정보
DB공개일자2007. 12. 6
TKOI [?]

한국전통지식포탈의 개별 콘텐트에 부여되는 객체식별자(Traditional Knowledge Object Identifier)로써, 해당 콘텐츠에 대한 항구적인 접근 경로에 활용됩니다.

형식:
http://tkoi.koreantk.com/[TKOI]
예시:
http://tkoi.koreantk.com/TKOI:KTKP-TSS-0000045749
TKOI:KTKP-PRE-0000087719
DOIdoi: 10.20929/KTKP.PRE.0000087719





한국전통지식포탈

서근산(舒筋散)B

[처방]서근산(舒筋散)B,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1345)

가루낸 것을 매번 7.5g을 따뜻한 술로 식전에 복용한다., 관계(官桂), 당귀(當歸)A, 현호색(玄胡索)A

주요내용

처방 상세정보 주요내용
내용접질려서 피가 몰려 허리가 아픈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총 3건)
조제용법가루낸 것을 매번 7.5g을 따뜻한 술로 식전에 복용한다.
주치병증

섬좌(閃挫)

좌상(挫傷)과 섬상(閃傷)을 합해 이른 말.

혈체(血滯)

(1) 혈액순환이 삽체(澁滯)된 것. (2) 월경이상. 산후에 오로(惡露)가 깨끗이 안 내린 데에 풍한(風寒), 습랭(濕冷), 서열(暑熱)을 외감(外感)하거나, 음식내상(飮食內傷)이나 칠정울결(七情鬱結)로 담(痰)과 어혈(瘀血)이 생겨 발생함. 월경폐지면 얼굴이 암자색을 띠고, 하복부 동통이 있는데 손으로 누르면 더 심하며 통증...

출전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1345년)
편명권제삼(卷第三) 요통(腰痛)

분석정보

처방 상세정보 분석정보
IPCA61K 36/232; A61K 36/505; A61K 36/54; A61P 15/02; A61P 19/00; A61P 29/00
키워드서근산(舒筋散); 계심(桂心); 계지(桂枝); 계피(桂皮); 계피나무; 관계(官桂); 대계(大桂); 류계(柳桂); 모계(牡桂); 목계(木桂); 육계(肉桂); 육계나무; 육계피(肉桂皮); 자계(刺薊)육계나무(동속근연식물); 육계(肉桂)(동속근연식물); 연호색(延胡索); 원호색(元胡索); 정호(廷胡); 정호색(廷胡索); 조선현호색; 현호색(玄胡索)애기현호색(동속근연식물); 왜현호색(동속근연식물); 섬현호색(동속근연식물); 들현호색(동속근연식물); 댓잎현호색(동속근연식물); 건귀(乾歸); 당귀(當歸); 대근(大芹); 문귀(文歸); 문무(文無); 백점(白蔪); 산점(山蔪); 상마(象馬); 숭검초; 신감채; 여인천(女二天); 왜당귀; 일당귀(日當歸); 조선당귀; 중국당귀; 지선원(地仙圓); 참당귀; 토당귀(土當歸)왜당귀(동속근연식물); 일당귀(日當歸)(동속근연식물); 섬좌(閃挫); 좌상(挫傷); 섬상(閃傷); 염좌; 혈체(血滯); 혈액순환이상; 혈액정체; 혈액; 월경이상(月經異狀); 월경; 생리; 오로; 허리; 신(腎); 요통(腰痛)

발행정보

처방 상세정보 발행정보
DB공개일자2007. 12. 6
TKOI [?]

한국전통지식포탈의 개별 콘텐트에 부여되는 객체식별자(Traditional Knowledge Object Identifier)로써, 해당 콘텐츠에 대한 항구적인 접근 경로에 활용됩니다.

형식:
http://tkoi.koreantk.com/[TKOI]
예시:
http://tkoi.koreantk.com/TKOI:KTKP-TSS-0000045749
TKOI:KTKP-PRE-0000094191
DOIdoi: 10.20929/KTKP.PRE.0000094191




한국전통지식포탈

서근산(舒筋散)C

[처방]서근산(舒筋散)C,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1345)

약재분말을 한번에 7.5g을 취하여 식사전에 따뜻한 술로 조화해서 복용한다., 관계(官桂), 당귀(當歸)A, 현호색(玄胡索)A

주요내용

처방 상세정보 주요내용
내용접질려서 피가 몰려 허리가 아픈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총 3건)
조제용법약재분말을 한번에 7.5g을 취하여 식사전에 따뜻한 술로 조화해서 복용한다.
주치병증

혈체(血滯)

(1) 혈액순환이 삽체(澁滯)된 것. (2) 월경이상. 산후에 오로(惡露)가 깨끗이 안 내린 데에 풍한(風寒), 습랭(濕冷), 서열(暑熱)을 외감(外感)하거나, 음식내상(飮食內傷)이나 칠정울결(七情鬱結)로 담(痰)과 어혈(瘀血)이 생겨 발생함. 월경폐지면 얼굴이 암자색을 띠고, 하복부 동통이 있는데 손으로 누르면 더 심하며 통증...

출전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1345년)
편명권제삼(卷第三) 신동(身疼)

분석정보

처방 상세정보 분석정보
IPCA61K 36/232; A61K 36/505; A61K 36/54; A61P 15/02
키워드서근산(舒筋散); 연호색(延胡索); 원호색(元胡索); 정호(廷胡); 정호색(廷胡索); 조선현호색; 현호색(玄胡索)애기현호색(동속근연식물); 왜현호색(동속근연식물); 섬현호색(동속근연식물); 들현호색(동속근연식물); 댓잎현호색(동속근연식물); 건귀(乾歸); 당귀(當歸); 대근(大芹); 문귀(文歸); 문무(文無); 백점(白蔪); 산점(山蔪); 상마(象馬); 숭검초; 신감채; 여인천(女二天); 왜당귀; 일당귀(日當歸); 조선당귀; 중국당귀; 지선원(地仙圓); 참당귀; 토당귀(土當歸)왜당귀(동속근연식물); 일당귀(日當歸)(동속근연식물); 계심(桂心); 계지(桂枝); 계피(桂皮); 계피나무; 관계(官桂); 대계(大桂); 류계(柳桂); 모계(牡桂); 목계(木桂); 육계(肉桂); 육계나무; 육계피(肉桂皮); 자계(刺薊)육계나무(동속근연식물); 육계(肉桂)(동속근연식물); 혈체(血滯); 혈액순환이상; 혈액정체; 혈액; 월경이상(月經異狀); 월경; 생리; 오로

발행정보

처방 상세정보 발행정보
DB공개일자2007. 12. 6
TKOI [?]

한국전통지식포탈의 개별 콘텐트에 부여되는 객체식별자(Traditional Knowledge Object Identifier)로써, 해당 콘텐츠에 대한 항구적인 접근 경로에 활용됩니다.

형식:
http://tkoi.koreantk.com/[TKOI]
예시:
http://tkoi.koreantk.com/TKOI:KTKP-TSS-0000045749
TKOI:KTKP-PRE-0000094750
DOIdoi: 10.20929/KTKP.PRE.0000094750




한국전통지식포탈

서근산(舒筋散)D

[처방]서근산(舒筋散)D, 수세보원(壽世保元)(17세기초)

약재 분말을 매번 7.5g을 술로 복용한다., 날계(辣桂), 당귀(當歸)A, 현호색(玄胡索)A

주요내용

처방 상세정보 주요내용
내용접질려서 피가 몰려 허리가 아픈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총 3건)
조제용법약재 분말을 매번 7.5g을 술로 복용한다.
효능

활혈이기(活血理氣)

주치병증

지절동통(肢節疼痛)

팔다리의 뼈마디의 통증

행보간난(行步艱難)

걷는 모양이 어려움

혈맥응체(血脈凝滯)

혈맥이 뭉치고 저체된 증상

출전 수세보원(壽世保元)(17세기초)
편명무집오권(戊集五卷)

분석정보

처방 상세정보 분석정보
IPCA61K 36/232; A61K 36/505; A61K 36/54; A61P 19/02; A61P 29/00; A61P 5/24
키워드서근산(舒筋散); 날계(辣桂); 계피(桂皮); 계피나무; 박계(薄桂); 육계(肉桂); 중계(中桂)육계나무(동속근연식물); 육계(肉桂)(동속근연식물); 연호색(延胡索); 원호색(元胡索); 정호(廷胡); 정호색(廷胡索); 조선현호색; 현호색(玄胡索)애기현호색(동속근연식물); 왜현호색(동속근연식물); 섬현호색(동속근연식물); 들현호색(동속근연식물); 댓잎현호색(동속근연식물); 건귀(乾歸); 당귀(當歸); 대근(大芹); 문귀(文歸); 문무(文無); 백점(白蔪); 산점(山蔪); 상마(象馬); 숭검초; 신감채; 여인천(女二天); 왜당귀; 일당귀(日當歸); 조선당귀; 중국당귀; 지선원(地仙圓); 참당귀; 토당귀(土當歸)왜당귀(동속근연식물); 일당귀(日當歸)(동속근연식물); 근락구련(筋絡拘攣); 행보간난(行步艱難); 행보; 보행; 지절동통(肢節疼痛); 손톱자국; 얼굴; 흉터; 혈맥응체(血脈凝滯); 혈맥; 혈맥저체

발행정보

처방 상세정보 발행정보
DB공개일자2007. 12. 6
TKOI [?]

한국전통지식포탈의 개별 콘텐트에 부여되는 객체식별자(Traditional Knowledge Object Identifier)로써, 해당 콘텐츠에 대한 항구적인 접근 경로에 활용됩니다.

형식:
http://tkoi.koreantk.com/[TKOI]
예시:
http://tkoi.koreantk.com/TKOI:KTKP-TSS-0000045749
TKOI:KTKP-PRE-0000094778
DOIdoi: 10.20929/KTKP.PRE.0000094778





한국전통지식포탈

관계(官桂)

[약재]관계(官桂), Cinnamomum cassia Blume, 계피나무

계심(桂心)

, 간피(幹皮)에서 주피와 내피의 얇은 층을 벗긴 것.

주요내용

약재 상세정보 주요내용
학명Cinnamomum cassia Blume
라틴명Cinnamomi Cortex Interior
일반명계피나무
과명녹나무과(樟科 : Lauraceae)
약용부위껍질
이미지

관계(官桂) 사진

효능

보양(補陽)

보법(補法)의 하나로, 양허증(陽虛證)을 치료하는 방법임.

생기육(生肌肉)

기육(肌肉)을 새로 생기게 하는 효능임.

이관절(利關節)

관절(關節)을 이롭게 하는 치료방법임.

난요슬(暖腰膝)

허리와 무릎을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보음활혈(補陰活血)

음기(陰氣)를 보하여 혈맥(血脈)을 소통시키는 효능임

살삼충(殺三蟲)

회충(蛔蟲)과 같은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소어혈(消瘀血)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효능임

속근골(續筋骨)

뼈나 근육이 끊어진 것을 이어주는 효능임

익정(益精)

정기(精氣)를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탁옹저두독(托癰疽痘毒)

옹저와 두차의 독기를 빼내는 효능임

통구규(通九竅)

구규(九竅)를 막히지 않게 소통시키는 효능임

주치병증

결기(結氣)

(1) 기(氣)가 맺혀서 운행하지 못하는 병증. [의방유취(醫方類聚)]에 나옴. 우수(憂愁), 사려(思慮)가 원인이 되어 발생하니, 마음에 걸리는 것이 있거나 정신을 몰두해서 기가 머물러 운행하지 않으면 안에서 기가 울체된다. (2) 사기(邪氣)가 맺히어 모인 것. [영추(靈樞)] <자절진사편(刺節眞邪篇)>에 "결기가 돌아간다....

경폐(經閉)

여자가 18세 이상이 되어도 월경이 없거나 또는 계속 월경이 있다가 임신, 수유기를 제외하고 3개월 이상 연속 월경이 없는 병증.

구역(嘔逆)

구토(嘔吐).

실음(失音)

음(瘖) 목이 쉬거나 말소리가 잘 나오지 않는 것. 폐경(肺經)의 병임. 실증(實證)은 갑작스런 병으로 사기(邪氣)가 막혀 기역(氣逆)이 되어 생김. 허증(虛證)은 오랜 병으로 진액과 혈이 말라서 발생함. 후음(喉瘖)과 설음(舌瘖)으로 구별됨. 후음은 목의 이상, 즉 옹종(癰腫)의 미란으로 인두가 손상되어 일어남. 설음은 혀의 ...

심통(心痛)

흉완부(胸脘部)가 아픈 것을 통틀어 일컫는 말. (1) 가슴앞 또는 명치께가 아픈 것. (2) 위완통(胃脘痛). [단계심법(丹溪心法)] <심비통(心脾痛)>에서 "심통은 즉 위완통이다.(心痛卽胃脘痛.)"라고 하였다. 고대의 문헌에는 심통에 대한 여러 가지 기록이 실려 있는데, 진심통(眞心痛), 궐심통(厥心痛), 구종심통(九種心痛)...

열격(噎膈)

음식을 못 넘기거나 넘겨도 위(胃)에 내려가지 못하고 곧 게우는 병증. 기혈이 휴손(虧損)된 데에 감정의 변화가 심하여 비위(脾胃)를 상해 혈액이 마르고 기가 막혀서 생긴 담(痰) 때문에 기가 오르내리지 못하고 식도가 장애받아 일어남. 목과 가슴에 막힌 감이 있고, 목이 메어 음식을 넘기기 힘들고, 넘겨도 위에까지 내려가지 못하...

오로(惡露)

분만 후 포궁(胞宮) 안에 남아 있는 혈액과 탁액(濁液). 출산 후 2-3주 이내에는 오로가 모두 배출되어야 한다. 이 기간이 지나서도 조금씩 계속 나오는 것은 양이 많든 적든 모두 병태에 속한다.

칠상(七傷)

(1) 노상(勞傷)의 7가지 병인(病因).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 <허로병제후(虛勞病諸候)>에서 "첫째는 지나치게 포식(飽食)하여 비(脾)를 상(傷)하는 것이며…… 둘째는 크게 노(怒)하여 기(氣)가 역(逆)해서 간(肝)을 상(傷)하는 것이고…… 셋째는 억지로 힘을 쓰고 무거운 것을 들거나 습한 곳에 오래 앉아 있어서 신(腎...

포의불하(胞衣不下)

태아를 분만한 후 태반(胎盤)이 잘 나오지 않는 것. [경효산보(經效産寶)]에 나옴. 포의불출(胞衣不出), 식포(息胞), 식태(息胎), 태의불출(胎衣不出), 태의불하(胎衣不下), 아의불출(兒衣不出), 포창불하(胞脹不下)라고도 한다. 대부분 분만 후에 원기(元氣)가 크게 허하여 계속 배출시킬 힘이 없으므로 패혈(敗血)이 포중(胞中...

하리(下痢)

대변이 묽은 것. 고대에서는 이질(痢疾)과 설사를 통틀어 말했음.

허한(虛汗)

몸이 허해서 땀이 나는 것.

현벽(痃癖)

옆구리 아래 부위에 벽기(癖氣)가 활줄 모양으로 불거지고 기침이나 가래를 뱉을 때 땅기고 아픈 병증.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 <벽병제후(癖病諸候)>에 "현벽은 벽기가 옆구리 부위에서 활줄처럼 길쭉하게 불거지고 기침이 나 가래를 뱉을 때 옆구리 아래가 매어달린 듯 땅기면서 아프므로 현벽(懸癖)이라 한다.(懸癖者, 謂癖氣在脇肋之...

혈붕(血崩)

월경 주기가 아닌데도 갑자기 음도(陰道)에서 대량의 출혈이 있는 병증. [부인양방대전(婦人良方大全)] 제1권에 나옴. 붕중(崩中), 혈산붕(血山崩), 혈붕부지(血崩不止), 폭붕(暴崩)이라고도 함. 지나친 과로로 기(氣)가 허하여 경혈(經血)을 섭제(攝制)하지 못하거나 매우 화를 내서 간(肝)을 상하여 간이 혈을 저장하지 못하기 ...

후비(喉痺)

목 안이 막혀 통하지 않는 것. 간(肝), 폐(肺)의 화(火)가 성한 데에 다시 풍한(風寒)을 외감(外感)하여 열독(熱毒)이 간경(肝經)으로 들어가서 일어남. 또한 상한(傷寒), 온병(溫病), 열병, 대두온(大頭瘟) 등에서 습담울화(濕痰鬱火)로도 생김. 대개 인후종통(咽喉腫痛)이 나타나고, 얼굴이 붉고 뺨이 부어 심하면 목덜미 ...

수치법

간피(幹皮)에서 주피와 내피의 얇은 층을 벗긴 것.

이명계심(桂心)
성미고신(苦辛)
작용부위심(心); 심포(心包)
포함처방 (총 275건)

건중탕(建中湯)A

허로(虛勞)로 속이 당기고 아프며, 몽설(夢泄)이 되고 사지(四肢)가 시큰 거리면서 아프며, 손발이 화끈거리고 입과 목이 마른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내색산(內塞散)

감질(疳疾)을 앓으면서 배 아프고 설사하고 대변에 피가 섞여있기도 하며 창양(瘡瘍)에서 고름이 나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도경환(導經丸)A

월경이 갑자기 나오지 않고 허리와 배가 쑤신듯이 아픈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소고탕(消蠱湯)

기(氣)로 인해 고창(蠱脹)이 생겨서 단지 배만 불러 오르고 팔다리와 머리, 얼굴은 붓지 않은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신선거승자원(神仙巨勝子元)

허로(虛勞)로 생긴 여러 가지 증상을 치료하며 두루두루 보(補)하는 처방임

신선불취단(神仙不醉丹)

술을 취하지 않게 해주는 처방임

온해산(溫解散)A

누창(漏瘡)을 치료하는 처방임

육합탕(六合湯)A

월경(月經)을 하지 않고 아랫배에 덩어리가 만져지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각통산(卻痛散)

온경환(溫經丸)

부양조위탕(扶陽助胃湯)A

쌍화산(雙花散)

서금산(瑞金散)

귀출파징탕(歸朮破癥湯)A

만응고(萬應膏)A

분석정보

약재 상세정보 분석정보
IPCA61K 36/54; A61K 129/00
키워드계심(桂心); 계지(桂枝); 계피(桂皮); 계피나무; 관계(官桂); 대계(大桂); 류계(柳桂); 모계(牡桂); 목계(木桂); 육계(肉桂); 육계나무; 육계피(肉桂皮); 자계(刺薊)육계나무(동속근연식물); 육계(肉桂)(동속근연식물)
관련 화합물 (총 89건) beta-Sitosterol; 3-Carene; Cassioside; Cinncassiol B; Cinnzeylanol; Cinnzeylanine; Cinncassiol A; Anhydrocinnzeylanine; Cinncassiol D1; 2,19-Diacetate-cinncassiol D3; Cinncassiol D2; 2',3',4',6'-Tetra-O-acetyl-beta-D-glucopyranosyl-cinncassiol D2; Cinncassiol C2; Cinncassiol C3; Cinncassiol C1-19-O-beta-D-glucopyranoside
관련논문

발행정보

약재 상세정보 발행정보
DB공개일자2007. 12. 6
TKOI [?]

한국전통지식포탈의 개별 콘텐트에 부여되는 객체식별자(Traditional Knowledge Object Identifier)로써, 해당 콘텐츠에 대한 항구적인 접근 경로에 활용됩니다.

형식:
http://tkoi.koreantk.com/[TKOI]
예시:
http://tkoi.koreantk.com/TKOI:KTKP-TSS-00000457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