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1. 19. 00:44ㆍ美學 이야기
- 신광섭 국립민속박물관장
- 승인 2006.09.16 10:56
금·은·동·철·청동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한 금속공예는 삼국시대에 들어와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그 중에서도 삼국시대 후반 제작된 백제의 ‘백제금동대향로’와 통일신라시기 제작된 ‘성덕대왕신종’이 가장 뛰어난 것으로 꼽히고 있다. 이번호에서는 백제의 종교와 사상을 함축적으로 표현한 ‘백제금동대향로’의 아름다움을 짚어보았다. / 편집자주
다양하고 신비로운 圖像 상상력 자극
백제금동대향로는 사비시대 백제왕들의 무덤인 능산리 고분군에 인접한 백제 능사의 工房址에서 출토됐다. 전체 높이 61.8cm, 최대지름 19cm로 향로 뚜껑과 몸체 두 부분으로 이뤄졌으나 원래는 봉황·뚜껑·몸체·받침으로 만들어 조합한 것이다.
그 아래에는 다섯 개의 산을 두었고, 산꼭대기마다 신선의 음악을 감상하는 듯한 춤추는 기러기들이 있어 한폭의 아름다운 歌舞像을 이룬다. 5악사와 더불어 뱀을 물고 있는 짐승 등 상상의 동물, 호랑이, 코끼리, 원숭이, 멧돼지 등 현실세계의 동물 42마리, 주변인물 12명이 74곳의 봉우리와 계곡에 변화무쌍하게 표현돼있어 자세히 볼 수록 그 신비한 세계로 빠져들어간다.
머리는 봉황, 다리는 용
봉황은 聖人의 탄생과 임금이 치세를 잘해 태평성대를 이룰 때 출현하는 상서로운 새이다. 天鳥, 瑞鳥, 神鳥로 여겨져 온 이 봉황이 출현할 때는 뭇 새들의 영접을 받으며 내려오는데 이 때, 아름다운 음악으로 불리는 鳳鳴은 5음의 묘음으로서 주악신선으로 상징화 했다. 봉황의 턱밑 여의주 바로 아래에는 2개의 구멍이, 5악의 뒤쪽에는 5개씩 두 줄로 10개의 구멍이 있어 향 연기를 자연스럽게 피어오를 수 있게 했다. 실제로 대향로에서 피어나는 연기를 보면 動的인 자태로 그 아름다움이 배가된다.
향로 뚜껑에 있는 12명의 인물은 말을 탄 2명을 제하고는 발아래까지 내려오는 도포를 입고 있다. 그 중에서 폭포아래 머리를 감고 있는 인물이 눈에 띄는데 그는 산천의식을 준비하고 있는 듯하다. 말 탄 이 중 한 명은 후방을 향해 활을 당기는 듯 날렵한 몸동작을 보여주며 다른 한 명은 투구와 갑옷을 착용했고, 말은 안장과 각종 장식구로 꾸며졌다. 이런 기마인물상은 고구려 고분벽화와 신라·가야 토기의 것과 흡사하다. 또한 상상의 세계에서나 볼 수 있는 인간 얼굴에 새의 몸이나 짐승의 몸을 하고 있는 평화스런 모습들이 눈에 띄는데, 선계의 신선을 묘사한 것이다.
뚜껑에는 또 악귀를 막기 위한 포수도 있고, 여섯 종류의 신령이 깃든 식물이 있다. 뿐만 아니라, 길상, 서기의 상징으로 표현한 博山무늬가 있는데 박산무늬 테두리는 화염무늬로 장식했다. 산봉우리 사이사이에는 바위가 있는데, 2~4개가 중첩되어 깎아지른 듯한 험준한 형상을 나타내 문양들이 수직으로 쏟아져내리는 듯 향로의 맵시있는 몸체와 연결된다.
마치 활짝 피어난 연꽃인듯
이처럼 현존하거나 혹은 상상 속의 다양한 물상이 표현된 백제금동대향로는 출토 이후 고고학, 미술사 분야의 비상한 관심을 끌어 왔다. 특히 향로의 도상에 대한 사상적 배경을 추정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도교적 관점에서 연구한 것이 주목할 만하다.
‘삼국유사’에 보면 도성에는 일산, 오산, 부산의 三山이 있어, 국가가 전성기일 때 각 산에는 神人이 거주하며 조석으로 왕래했다 했고, 삼국시대에는 백제무왕 35년에 궁궐 남쪽에 연못을 파고 20여리에서 물을 끌어 들였으며 연못의 사방언덕에 버드나무를 심고 물 가운데에는 섬을 축조해 方丈仙山을 조성했다고 했다. 방장선산은 영주산·봉래산과 함께 고대인들의 이상향인 삼신산의 하나다. 또한 37년에 무왕은 조정 신료를 거느리고 기암괴석과 기이한 화초가 있어 그림과 같은 백마강의 북쪽 포구에서 성대한 연회를 베풀었으며, 같은 해 궁남의 연못가에 있는 망해루에서 신하들에게 연회를 베풀었다는 기록이 있다. 또 백제 문양전 8종에서 이 향로의 도상들과 일치하는 문양이 보여진다. 이 중 산수산경문전은 삼산형의 산들로 표현됐는데 이는 향로의 몸체와 같고 그 분위기는 향로의 뚜껑 도상과 유사하다. 봉황아래 펼쳐진 산 경치와 주변에 유유히 흐르는 서운과 서기는 향로 뚜껑에 있는 봉황, 그리고 그 주변에 전개된 도상과 의도하는 바가 같다. 대향로에 피운 향연이 피어올라 봉황주변과 뚜껑의 심산유곡으로 흐르는 형상이 산수봉황문에 그대로 나타난다.
‘5’의 상징화로 중국 박산로와 차별화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향로를 중국 박산로와 관련시키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여러 가지 정황으로 보아 좀더 신중히 접근할 필요가 있다. 특히 봉황 아래 5개의 산, 5인의 악사를 보자.
삼국사기 온조왕 20년조에 왕이 大壇을 세우고 천지의 제사를 지냈는데 이상한 새가 다섯 마리가 와서 날았다는 기사가 있다. 또 이러한 제천의식과 더불어 백제 임금이 하늘과 5제에 대하여 제사했다는 기록이 있다. 백제가 출자한 부여도 일찍이 ‘5’라는 수의 개념을 기본단위로 하고 있었다. 그래서 백제에서도 도성을 5부, 전국은 5방으로 각각 설정해 통치하였다.
이와 관련해 백제 법왕은 불교와 산악사상은 결합하기 위해 성주사 터에 오함사를 창건하고 북악이라 칭하였다. 이렇게 볼 때 백제는 동·서·남·북에 중을 합하여 국가적으로 5악의 산악숭배사상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와 더불어 봉황의 주변에 배치한 3산과 5악은 백제 숭천사상, 산악숭배사상이 강하게 표현되어 있다. 따라서 海中神山의 하나인 방장선산을 도성에 조성하고 그 해중신산을 바라보는 망해정을 건립하고 불로장생의 표상인 여러 신선과 신수, 신목들을 대향로에 표현한 것이다. 요컨대 대향로의 3산과 5악, 산천, 제사는 봉황과 더불어 성군의 출현과 태평성대를 기대하는 백제인들의 이상향의 표현이며 궁극적으로 백제관념세계의 복합적 총체로써 이 향로를 이해해야 할 것 이다.
궁남지, 3산, 숭천사상, 하늘과 5제의 개념, 백제문양전등에서 볼 수 있는 도교는 백제의 새로운 통치 체계를 강화하는 수단으로서 여겨져 무왕대의 국왕권위의 강화 분위기와 맞물려 있어서 향로는 백제 6세기말~7세기 작품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 이다.
이와 같이 발달한 백제의 공예기술은 면면히 이어져 신라에 전해졌고 우리나라 남북국시대 성덕대왕신종이 탄생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 금속공예를 대표하는 문화재로서 ‘성덕대왕신종’(국보 제29호)은 금동대향로와 쌍벽을 이룬다. 금동대향로가 출토하기 전만 해도 성덕대왕신종이야 말로 유일한 대표급 유물이었다. 비록 제작시기에 있어 2백여 년이라는 시간차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공통점과 개별적 특성이 있다. 성덕대왕신종은 현존하는 가장 큰 범종으로 높이 37.5m 지름 2.27m 무게 118.9t이다. 이 종은 신라 경덕왕이 부왕인 성덕왕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제작을 시도하였으나 혜공왕이 771년에 완성하였다.
통일신라의 문화적 역량의 총 집결된 금속공예품으로 규모, 제작기술, 예술적 표현, 음향적 특성에서 한국 전통 종의 대표작이다. 금동대향로 역시 백제인의 사상과 염원을 담은 백제 최고의 걸작으로 백제 금속문화를 대표 한다는 공통점이 있고 당시로서는 최고의 금속공예기술이 적용되었을 것이다. 또 금동대향로는 백제 27대 위덕왕이 전장에서 전사한 성왕을 追福하기 위하여 지은 백제능사에서 출토하였다는 점에서 볼 때 모두 父王을 추모하기 위하여 조성한 점에서 그 제작 동기가 같다.
그러나 두 문화재간에는 명확한 차이점이 있는데, 외형이 다를 뿐 아니라 내적 상징체계가 다르다는 점이다. 성덕대왕신종은 불교적 세계관이 표현된 불교예술품이고 대향로는 불교보다는 백제의 전통사상과 도교적 세계관의 혼합된 백제의 관념체계 그 자체이다. 또 성덕대왕신종은 그 예술적 표현과 함께 오묘한 음향적 특성으로 인하여 청각 예술을 가미한 소리로서 그 가치를 증가시켰다. 반면에 향로는 외연에 베풀어진 시각적 예술성과 향연이 함께 등장함으로써 향로의 停體와 향연이라는 動體가 조화를 이루는 형식이다.
요컨대 향로에 베풀어진 다양한 물상은 백제인의 관념체계를 확실하게 드러낸 걸작으로 앞으로 고구려 고분벽화의 의미와 기능과 비교 검토해야 할 것이다. 특히 향로가 출토한 백제능사는 고구려의 능사개념과 기술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여겨져 고구려문화와의 관련성은 배제할 수 없을 것이다.
필자는 중앙대에서 ‘백제 사비시대의 능사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금속공예’ 등의 저서와 ‘백제금동향로의 조형과 편년’ 등의 논문이 있다.
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10645
교수신문
'美學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시전도시(城市全圖詩), 도성의 번창을 노래한 시 /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 백탑파이야기] (0) | 2018.02.26 |
---|---|
〈꽃병〉, 클로드 모네 / 런던 미술관 산책 (0) | 2018.02.22 |
쌍작보희도(雙鵲報喜圖) / 김홍도(檀園 金弘道) 外 (0) | 2017.12.17 |
충신의 묵매도-추담 오달제 (0) | 2017.12.03 |
제석사, 원효스님의 탄생지 (0) | 2017.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