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0500. 수미산의 둘째 관문-사천왕문

2019. 1. 3. 14:41집짓기

*** 재미있는 사찰공간 '이 뭐꼬' *** *** *** *** *** *** *** ***

 

제5장. 수미산의 둘째 관문 (1.천왕문)                                                



* 하루하루가 이리 바쁜데 어떻게 시간을 낼 까요..

 

/ 어떤 일을 못하는 여러 핑계 중에는 바빠서 못하는 일들이 많습니다.

/ 그건 시간이 없어서 못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마음을 내지 않기 때문입니다.



  1-1. 사천왕문(四天王門): 옹호문, 회전문, 법왕문

 


      * 첫 번째 문 일주문 지나면 수미산에서 거처야할 삼문 중에 수미산 중턱에 있는 두 번째 문인 사천왕문 혹은 금강문이 나온다. 

 

 

 

 

 

 

 

 


  1. 개요:


/ 일주문을 지나 사천왕문을 통과해야 천국(天國)에 들 수 있는데, 좌우에 4개의 무시무시한 조각상사천왕(四

天王)이 있다.

<사천왕 세계의 위치>

<사천왕탱화(김홍도)>

/ 사찰의 특성에 따라 약간씩 다른 이름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대다수가 천왕문으로 부르지만 승군이 머물

렀던 주둔지에는 사찰과 백성을 지키겠다는 의지가 담긴 ‘옹호문(擁護門)’-대구 동화사, 인간들을 잘 살피

겠다는 뜻의 ’회전문(回轉門)‘-예천 용문사, 등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그러나 문안의 사천왕의 명칭

과 역할은 같다.


/ 4천왕은 원래 천상세계의 모든 귀신들을 거느리는 마왕이었으나, 부처님에 감화되어 불법을 보호하고 지

는 역할을 한다.


/ 사천왕은 착한 마음을 보호하고, 악한 마음을 가진 무리들은 굴복시켜 교화하는 임무를 띠고 있으며, 4천왕

과 그 부하들은 선악을 가려 수미산 정상의 도리천에 있는 제석천에 보고한다.


/ 사천왕은 아주 무서운 귀신이지만 사람에게는 아주 관대하다고 한다. 그러니 사천왕문이나 금강문

을 지나갈 때 무서워하거나 굴복할 필요 없이 사천왕이나 금강역사가 불법을 수호하듯이 자신도 지

주기를 기원하며 합장하며 예를 보이며 지나가면 된다.


/ 사천왕의 얼굴 형상은 우리와 다른 이국적 이다, 얼굴이 부리부리한 것이 구분한다면 인도사람의 얼굴 형

이다. 이는 불교가 그쪽에서 왔다는 뜻으로 볼 수 있다.


/ 사천왕은 원래 인도의 토속 신에서 유래한 것이며,  귀족의 형상으로 표현한 경우가 많았으나, 서역을 거쳐

중국과 우리나라에 이르는 동안 이것처럼 투구와 갑옷 차임에 무장의 모습으로 변해 왔다.


/ 우리나라에서는 통일신라 초기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조선시대에는 사찰입구에 사천왕문을 세워 모시

 있다.

 

 


  2. 사례:


직지사 천왕문/ 경북 김천

기림사 천왕문/ 경북 경주

고은사 천왕문/ 경북 의성

 

보경사 천왕문/ 경북 포항

백련사 천왕문/ 전북 무주

내소사 천왕문/ 전북 부안

 

동화사 옹호문/ 대구 동구

용천사 천왕문/ 전남 함평

불국사 천왕문/ 경북 경주

 

 

 

  *. 툇마루:


 ◈ 중을 ‘중(스님)’이라 부르는 이유 ?...                          <출처 :인창동창회>


/ 스님을 ‘중’이라고도 하는데, 중이란 본래 승가 곧 ‘화합중(和合衆)’이란 뜻이다. 화합중이란 4인 이상의 스님

이 모여 수행하고 있음을 가리키는 말이다.


/ 이렇듯 여러 스님이 모여 함께 수행하는 모임을 줄여서 중이라 하다가, 점차적으로 스님 개개인을 중이라 부르게 되었다.

 

/ 또한 〈잡고(雜攷)〉라는 글에서는 “중의 어원은 신라 때 한 마을의 우두머리로서 천신제 등 제사를 주관하던 ‘차차웅(次次雄)’이 있었는데, 불교가 전래된 이후 스님들이 그 역할을 대신하면서 ‘자자웅→자웅→ㅈ+웅→중’이 되었다”고도 한다.

 


 

 ◈ 스님의 어원 ?...                                            <출처 :인창동창회>

 

/ 스님이란 부처님의 가르침을 배우면서 부지런히 수행하는 출가 수행자를 높여 부르는 우리말인데, 그 어원

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


/ 첫째, 스승님에서 스님이 되었다는 것이다. 절에 출가한 사람은 누구나 은사(恩師)스님을 택해야 한다.

자를 보면 알겠지만 은사스님이란 자신의 스승이 되는 스님이고, 속가의 부모 같은 분이다.


/ 이처럼, 제자가 스승을 부르는 명칭인 스승님이 줄어서 스님이 되었다는 설이 있다.



/ 둘째, 승님에서 스님이 되었다는 것이다. 출가 수행자들이 한 곳에 모여 화합하며 수행하는 청정한 공동체

인 승가(僧伽)의 줄임말 ‘승’에 존칭어미 ‘님’자를 붙여 ‘승님’이라 하던 것이 변하여 스님이 되었다는 것이다.

 

 

 

출처 : 건축사 김종걸
글쓴이 : 다인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