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명대(明代) 서위(徐渭)의 하화도(荷花圖)

2019. 3. 10. 10:32美學 이야기



중국 명대(明代) 서위(徐渭)의 하화도(荷花圖)     림과 글씨의 내용 해독  


2015. 8. 26. 10:24


복사https://blog.naver.com/kalsanja/220462296892

엮인글 2번역하기전용뷰어 보기



規格136cm36cm

材質纸本水墨

所藏地2006北京嘉宝国际拍卖(International Auction)






拂拂孤香滿鏡湖(불불고향만경호    만경호(滿鏡湖 )에 외로운 향기 솔솔 부니

採蓮人靜月明孤(채련인정월명고    고요하게 달 밝은데 연꽃 따는 사람 외롭.

空除一隻徐熙手(공제일척서희수)     한 가지를 뺀 서희(徐熙 )의 수법으로

收拾風光在畵圖(수습풍광재화도)     경치를 수습하여 겨우 그림을 그렸네.

 

青藤道士(청등도사) 서위(徐渭)

 

* 拂拂 (불불 ) : 솔솔 부는 모양 살랑거리다

* 收拾 (수습 ) : 거두다 정돈하다 수습하다

 

当代画家齐白石自称 恨不生三百年前 为青藤磨墨理纸

   현대 화가 제백석(齊白石) 이 스스로 말하기를 삼백년 전부터 나오지 않은 한()서위(徐渭)가 먹을 갈아 종이로 다스렸다.”하였다.

서희(徐熙, 10세기경)

 

   오대(五代) 말에서 송나라 초 때의 강녕(江寧) 사람.

강남(江南) 의 사족(士族)으로, 한가하게 여유를 즐기면서 고아(高雅)함으로 자임(自任) 했다.

화목(花木)과 금어선접(禽魚蟬蝶), 소과(蔬果) 를 잘 그려 남당(南唐)의 후주(後主) 가 몹시 아꼈다.

항상 비단 화폭(畵幅) 에 무더기로 쌓인 돌과 사이에서 자라나는 약초(藥草) 싹에 새와 벌 매미 등이 어우러진 그림을 그려 후주의 궁중을 장식하는 도구로 제공되었는데, 포전화(鋪殿花) 또는 장당화(裝堂花)라 불렸다.

송나라 태종은 일찍이 꽃과 과일의 오묘함을 나는 오직 서희에게만 있음을 아노라(花果之妙 吾獨知有熙)”라고 말했다.

후촉(後蜀) 의 황전(黃荃)과 함께 황서(黃徐)로 병칭되었는데, 오대 화조화 양대 유파(流派)중요 작가이다.


   아들 서숭사(徐崇嗣) 와 함께 골격을 겉에 나타내지 않아 부드럽고도 고상한 화풍인 몰골도(沒骨圖) 를 창시했다.

몰골도란 윤곽의 선이 드러나지 않게 그리는 화법이다. <몽계필담(夢溪筆談)>


   고려말 학자 이인로(李仁老) 는 點畵精强(점화정강) 力出於外而得徐家之風骨(역출어외이득서가지풍골) 점획이 정하고 강하여, 힘이 밖으로 노출되면서도 서희의 고상한 품격을 얻었다.’라고 하였다. <題張學士雙明齋額題後(제장학사쌍명재액제후)>

 


제백석(齊白石, 1860~ 1957)

 

   청나라 말기 호남(湖南) 상담(湘潭) 사람.

이름은 () 이고, 백석(白石)은 호인데, 제황(齊璜) 이라고도 한다.

가난한 농가에서 태어나 북경(北京)에서 죽었다.

40살 무렵까지 고향에서 소목장(小木匠) 을 주업으로 하면서 그림을 그려 팔아먹고 살았다.

화초와 영모(翎毛), 초충류(草蟲類) 의 명수가 되었다.

처음에 송나라와 원나라 때의 그림에 촉발되고, 육유(陸游) 의 시에서도 자극을 받아 주로 독학으로 시서화(詩書畵) 를 함께 배워 능통하게 되었다.

전각(篆刻 )에도 솜씨가 있었다.

 

   50 살 이후 북경으로 이사하여 한때 미술전문학교 교수가 되었고, 중국회화협회 회장을 지냈다.

대개 커다란 산수화보다 규모가 좀 더 작은 일상의 모습으로 다양한 흥미와 경험을 반영하고  있으며, 점차 서위(徐渭) 석도(石濤), 주탑(朱耷)과 같은 개성주의(個性主義)의 양식을 이어받으면서 양주계(揚州系) 화풍 발전시켰다.

작품에 남과도(南瓜圖)하엽도(荷葉圖), 화훼화(花卉畵) 등이 있다.





https://blog.naver.com/kalsanja/2204622968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