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15세기 무로마치(室町)시대 분세이(文成)의 방우도(放牛圖)

2019. 3. 11. 20:46美學 이야기



일본 15세기 무로마치(室町)시대 분세이(文成)의 방우도(放牛圖) 그림과 글씨의 내용 해독 

2015. 9. 14. 10:41


복사https://blog.naver.com/kalsanja/220480774185

엮인글 2번역하기전용뷰어 보기



   일본 교토국립박물관(京都國立博物館) 에 소장되어 있는 일본 15세기 무로마치(室町) 시대 선승(禪僧) 분세이(文成)의 그림으로서 그림의 상단에는 신덴 세이하(心田清播) 세 사람의 동료 선승의 제화시가 적혀 있습니다.

 

크기 : 가로36.4cm, 세로66.6cm

 


[퍼온 자료 : 중국불교협회 전희스님]

 

   넓은 호수가에 평화롭게 서있는 집들, 그 옆의 버드나무는 산에서 불어오는 시원한 바람에 흔들리고 가까이에는 소가 여유롭게 풀을 뜯고 있다. 참으로 한가로운 광경이다. 소는 평화의 상징에 대한 의미도 있기 때문에 이 그림에는 평화에 대한 간절한 바람을

나타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찬문을 쓴 난에 소겐(南江宗沅 , 13871463) 은 가와치(河內 )와 이즈미(和泉) 지방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환속승으로, 다이토쿠지(大徳寺) 절의 잇큐 소쥰(一休宗純)과 이 그림의 또 다른 찬문을 쓴 고세이 류하(江西龍派), 신덴 세이하(心田清播) 등의 겐닌지(建仁寺) 절의 승려들과도 교류가 있었다.

또 난에의 찬문 끝부분에 분세이 외사우도(文成外史牛図)’라고 있어 본 그림은 분세이(文成)라는 선승에 의해 그려졌음을 알 수 있다. 분세이 스님에 대해서는 다른 자료에서 보면 나이가 들어 난에를 따랐던 사람이었음을 알 수 있지만 그의 생몰연대 등에 대해서는 전혀 알 수가 없다.

 

* 外史 는 선승의 서기직의 일

 

本圖描寫寬廣的湖面以及立於岸邊的小小家屋

其旁的柳樹彷佛隨著從山中吹來的涼風而略略擺動前景的牛只悠閒的吃著草呈現一種安穩而閒散的光景

牛只又帶有象徵和平的意味因此也可以認為畫家藉由本圖寄託了對和平的深切渴望

畫中題贊的人之一南江宗1387~1463是還俗僧活動於河內與和泉一地與大德寺的一休宗純以及江西龍派的心田清播等建仁寺僧

亦有往來

根據南江宗畫贊的最後題有文成外史牛圖可知本圖乃是被稱為文成的禪僧之作(所謂的外史是指禪僧的書記職 )

關於文成隻知他是長年跟隨南江宗的人物 但是有關其生卒年與經歷等目前一無所知



















[제화시의 원문과 해석]





[庵叟贊]

 

陽坡草膩暖煙凝(양파초니난연응)  볕드는 언덕 풀은 기름진데 따뜻한 연기 엉기니

放犢無人拽鼻繩(방독무인예비승)  놓아 둔 송아지에 사람은 없이 코가 끈에 끌리네.

寄語三家深樹鴻(기어삼가심수홍 깊은 숲은 크다고 세 집에 전해다오.

退欄分羊着殘僧(퇴란분양착잔승)  난간을 분간해서 물러난 쇠잔해진 중이 양을 붙잡네.

 

庵叟

 

* 寄語 (기어) : 말을 전하다  안부를 전하다  담은 전언 .

* 三家村(삼가촌) : 인구가 적고 궁벽한 마을  한촌  등척·오함·요말사 등 정치적 비판 집단 .

* 殘僧 (잔승) : 늙어서 쇠잔해진 중 .

 




[心田清播賛]

 

谿上茅茨柳日遲(계상모자류일지)   시냇물 위로 띠를 잇는 버드나무 핀 날은 더딘데

懶牛眠食草離離(나우면식초이리)   게으른 소는 쉬면서 무성한 풀을 먹네.

何人爲畵升平象(하인위화승평상)   누구를 위해 평화로운 모습을 그렸나?

勝似桃林放牧時(승사도림방목시)   경치는 도원 숲에 방목하던 때를 닮았네.

 

聽雨叟淸播題(청우수청파제)         빗소리를 듣는 늙은이 세이하가 짓다.

 

* 離離 (이리) : 여럿의 구별( 區別 ) 이 또렷한 모양(模樣)

* 升平 (승평) : 나라가 태평함.






[南江宗沅贊]

 

不欄外叱自由耳(불란외질자유이)   난간 밖에서 소리치지 마라 자유롭게 듣고 있으니

暖日郊白過草染(난일교백과초염)   따뜻한 날 들판은 깨끗한데 풀이 물들어 가네.

○○○深山中陶(○○○심산중도)

曾將斯畵獻(증장사화헌)

 

皇宸(황신) 황궁에서

 

文成外史牛圖庚午秋 洹菴題       문성외사 우도 경오년 가을 洹菴이 짓다 .

 


[느낀 점]

 

   13세기에서 16세기까지 중국과 한국, 일본에서는 이러한 우도(牛圖)를 많이 그렸는데, 소는 유교(儒敎)에서는 안빈낙도(安貧樂道)를 불교(佛敎)적으로는 깨달음을 그리고 도교(道敎)에서는 노자(老子)의 화신으로서 신선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15세기 일본에서 권력을 잡고 있는 집권층은 무사(武士)들이었고 글을 배우고 익혀 조선의 사대부와 같은 문인학자의 역할은 선승(禪僧) 이라 일컫는 승려들이 담당하고 있으면서 집권자인 막부(幕府)의 측근으로 발탁되어 주요한 행정업무를 담당하고 있었는데, 이 그림은 그러한 사회적 환경 속에서 권력자에 의해 선택되어 조정에 있기보다는 자연으로 돌아가 본연의 깨달음을 위한 수양을 희망하며 집권층으로부터 자유롭고 싶다는 희망을 표현하고 있다고 느껴집니다.

 

   세 개의 제화시 중 마지막 난에 소겐(南江宗沅) 의 한시 마지막 두 구는 능력이 아직 부족하여 글자 해독을 할 수 없으므로 좀 더 내공을 쌓을 때 까지 다음 기회로 미루어 두겠습니다.





https://blog.naver.com/kalsanja/220480774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