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3. 15. 14:41ㆍ美學 이야기
2015. 9. 16. 17:57
|
2000년대 초기에 세상에 알려진 단원(檀園) 의 그림으로서 가로 34.7cm 세로 29.2cm 크기의 지본 수묵담채화로서 현재 개인이 소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그림은 과거 일제강점기 시절 송은(松隱) 이병직(李秉直) 구장품으로서 ‘이병직보진장(李秉直寶診藏)’이란 전 소장자 송은의 소장인이 찍혀 있습니다.
[제화시의 원문과 해석]
文章驚世徒爲累 (문장경세도위 누) 문장으로 세상을 놀래키는 무리도 누가 되어
富貴薰天亦謾勞 (부귀훈천역만로 ) 부귀가 솔솔불어 하늘 또한 속이려 애쓰네.
何似山窓岑寂夜 (하사산창잠적야 ) 산속집 창가의 봉우리는 고요한 밤과 어찌도 닮았는지
焚香點坐聽松濤 (분향점좌청송도 ) 향을 사르고 고쳐 앉아 소나무 일렁이는 소리를 듣네.
* 山窓 (산창 ) : 산속에 있는 집의 창문.
* 松濤 (송도 ) : 소나무가 바람결에 흔들려 물결 소리 같이 나는 소리
[느낀 점]
이 그림은 정조(正祖)가 사망한 후 집권 세력에 의해 배척당하기 시작하자 단원은 모든 공직에서 은퇴하고 물러나 은거하였던 단원의 나이 60 세인 1805 년 이후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작품으로서 정조(正祖)가 살아 있을 때 가치있게 등용되어 조정에 기여한 중인 출신의 여러 재사들이 모두 정치적으로 배척당하고 다시 정조 이전의 보수 노론의 집권형태로 되돌아간 현실을 개탄하며 수도(修道) 하는 마음을 표현한 그림이라고 생각합니다.
https://blog.naver.com/kalsanja/220483327035
'美學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북송대(北宋代) 휘종(徽宗) 조길(趙佶)의 납매산금도(蠟梅山禽圖) (0) | 2019.03.16 |
---|---|
중국 남송대(南宋代) 하규(夏珪)의 서호유정도(西湖柳艇图) (0) | 2019.03.15 |
허주(虛舟) 이징(李澄)의 작품세계Ⅱ- 묵죽도,영모도 (0) | 2019.03.12 |
정선(鄭敾)의 고산방학도(孤山放鶴圖)에 제시(題詩)를 쓰다 外 (0) | 2019.03.12 |
미륵사지 사리봉안기 (0) | 2019.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