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치원의 '풍류도 外

2019. 8. 16. 09:58우리 역사 바로알기


최치원의 풍류도의 정체는?| 우리철학 아카데미

유토피아 | 조회 309 |추천 0 | 2019.02.18. 07:57


   

" 최치원의 '풍류도' "



나라에 현묘(玄妙)한 도(道)가 있는데,
이를 풍류(風流)라 이른다.

이 가르침을 베푼 근원은
선사(仙史)에 자세히 실려 있는데,

교(三敎)를 포함하여
중생을 교화한다.

國有玄妙之道 曰風流.
設敎之源 備祥仙史
實乃包含三敎 接化群生)'
(최치원: 난랑비서(鸞郞碑序 )

'풍류도'고운 최치원(孤雲 崔致遠ㆍ857~?)
'나라의 현묘한 도'로 전하고,
민족문화의 정신으로 이어진 사상이다.

최고운은 이 현묘한 도를 풍류라 이르며,
특히 이것이 외래 종교인 삼교를 포함하여,
중생을 교화해 온 고유의 사상이라고 했다.

삼국사기에서는 이 사상을 신라 진흥왕(재위 540~576) 대에 화랑도를 일으킨 바탕 정신이었다. 

이를 '풍월도(風月道)'라 하여
문무왕 대까지 1세기 동안 특히 융성했다.

그리고 이 도를
'가르침을 베푼 근원(設敎之源)'이라 하고,
세 가지 교과목을 '도의로 서로 연마하고(相磨以道義) 노래와 춤으로 서로 즐기며 (相悅 以歌樂)
산천을 찾아 노닌다 (遊娛山水)'

이것은 결국 도의로 이룩되는
인간관계와 가무로 이룩되는 예술 생활과,

산수 속에 노니는 자연 사랑의 조화를 목표로 하는
정신문화였음을 보여준다.

이렇게 유ㆍ불ㆍ선 삼교를 포괄하며,
뭇사람을 교화하는 조화로운 정신으로,
최 고운은 이것을 공자의 충효사상과 노자의 무위자연석가의 諸善奉行 (제선봉행) 이다.

'풍류''풍월'의 '풍(風)'자는 자연의 한가함이나
예술의 정서와 사람의 품격을 드러내는 개념이었다.

시경(詩經)
시(詩)의 첫째 원칙으로 '풍(風)'은 '국풍(國風),
민요를 가리켰고,

아랫사람을 교화하는 풍화(風化)
윗사람을 풍자(諷刺)하는 뜻이다.

한민족이 세계 종교사상을
자기 종교문화로 수렴해 온 민족의 영성(靈性) 이다.

   영성이란 사람뿐이 아니고
자연과 모든 생명체를 포괄하는
정신적 성품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원효의 화쟁(和諍) 사상에서
포용, 융화, 일다주의 사상으로 이어졌다. 


요즘에 풍유도하면 다음의 그림을 떠오르게한다.

 

 

 

 





   고운 최치원에 대하여 우리는 무엇을 알고 있는 것일까?

 





첫째로 중국에 유학하여 장원급제했지만 조국에 돌아와서 백성들의 행복을 위하여 노력했으나




골품제의 정치제도 탓으로 인하여  높은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는 것




신분제의 폐단으로  신라는 결국 망하고 말았다는 것

 






둘째로  환단시대의 경전을 한문으로 되살렸다는 것




이른바 천부경을 한문으로 완성시키게 되고 오늘날까지 이어지게 했다는 것

 






세째로 최치원철학을 후세에 남겼다는 것.




 

 


   

   보통 우리가 최치원에 대하여 알고 있는 것은 이 정도 인데....

 




그렇다면 최치원이 언급하 풍류도란 과연 어떠한 철학을 의미하는 것일까?




대체로 풍류도라고 하면 화랑도의 정신, 자연주의 등등으로 대충 인식하고 있는데...










 



흔히 사람은 자기의 수준대로 세상을 본다고 합니다.




인간은 알고있는 수준만큼만 세상을 이해하고 해석하고 인식하여 평가한다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이제 우리는 좀더 과학적인 눈으로 다시 재인식을 하고 재해석을 해야한다고 봅니다.

 






   

    즉 최치원의 풍류도= 현도= 금척= 황금비= 8괘론= 천부경의 운환의 일묘연의 원리와 상통한다고 보는 것이고 




수로는 8이고 금척원리의 핵심인 8등신이다라고...

 




그래서 앞으로 8괘론의 재해석을 해야하지 않을까...  









                                          최치원풍류도의 정체는? 

2019.02.18



cafe.daum.net/chunbooi/gNWV/731   우리문화 진흥회  










노자의 도와 한국의 종교철학: 1. 최치원의 풍류도; 삼교일치와 교섭사상

이명권 2015.03.05 09:24




노자의 도와 한국의 종교철학

 


 

1. 崔致遠風流道: 三敎一致交涉 思想

   고대 한국의 가장 뛰어난 사상가로는 孤雲 최치원을 들 수 있다. 신라말기인 9세기의 최대 사상가요 대문장가인 최치원(857- ?)12세에 으로 유학하여 5년 만에 科擧에 급제하고 벼슬을 했다. 그 당시 그가 기록한 작품을 정리한 한국최초의 文集 [桂苑筆耕]은 한국 사상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그가 귀국하여 찬술한 禪僧들의 塔碑銘 3편과 寺刹碑銘 1편을 합친 유명한 [四山碑銘]등에는 그의 儒佛道 思想이 잘 나타나 있다. 이를 중심으로 최치원의 사상과 노자의 도 사상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자.

 

1). 최치원 사상의 기초

 

   최치원 사상의 핵심에 도달하려면 그의 儒佛道 三敎觀을 고찰해야 한다. 그 이유는 그가 그의 [文集]에서 儒佛道 三敎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보여주고 있을 뿐 아니라 韓國思想史에 조명되는 그의 모습이 너무도 다양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그의 三敎관을 잘 보여주는 것이면서 동시에 그의 사상의 저변에는 三敎가 그 기초를 이루고 있음을 입증해 주는 것이다. 따라서 그의 사상은 어느 한 가지 측면에서만 파악해서는 안 되고 三敎를 중심으로 종합적으로 이해해야 한다.


   최치원은 유명한 [鸞郞碑序]에서 우리 민족에는 고유한 사상이 있는데 그것은 玄妙로서 風流라고 하였다. 이러한 현묘한 로서의 風流三敎를 포섭한다. 즉 풍류속에 三敎가 구비되어 있어서 三敎自己同一性이 하나의 풍류 속에서 만난다는 것이다. 이러한 風流道的 三敎觀의 고찰을 통해 그의 사상의 핵심을 고찰해 보자.

 

2). 최치원의 학문과 儒敎思想

 

   후세에 東方文章始祖로 추앙되고, 스스로 儒者로 자처하던 최치원의 학문관은 유교의 도학적 성격을 가진다. 나라 留學을 통해 科擧出世하려고 한 것이라기보다는 학문을 통해 다만 儒敎를 따르고자 했고, 孔子처럼 학문에 전념하고, 오직 가 장차 없어지는 것을 근심할 뿐, 사람들이 자기를 알아주지 않음을 원망하지 않았다. 이와 같이 출세보다 의 존폐를 문제 삼는 그의 학문은 道學的 성격을 지니고 있다.

 

   당시의 학풍과 관련하여서 최치원은 心學(思想)口學(文學)中庸論을 펴면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心學者을 닦으며, 口學者는 문학을 주로 한다. 이란 文章으로 표현되어야 후세에 전해질 수 있고, 그렇게 되면 문학도 옛 君子에 부끄럽지 않을 것이다.” 이와 같이 그는 不立文字 直指人心을 말하면서 文學을 무시하는 극단적 禪風心學, 반면에 思想이 없는 文學 또한 지양하면서, 思想文學中庸을 강조했다.

 

   그러면 孤雲儒敎思想의 핵심은 무엇인가? 그것은 仁思想大同思想이다. 그의 仁思想 [中庸] 道不遠人”, [論語]人能弘道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그의 말속에 잘 드러나 있다.하늘이 귀하게 여기는 것이 사람이며, 사람이 으뜸()으로 삼는 바는 이다. 사람이 능히 를 넓힐 수 있는 것이요, 는 사람을 떠나서 있는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최치원은, 사람이 하늘을 근원으로 하여 를 실천하는 존재임을 밝히면서, 동시에 사람의 존귀함을 드러내고 있는데, 이는 [中庸] 道也者, 不可須臾離也와 같은 사상을 따라 사람이 곧 의 주체임을 천명하는 人道主義的 仁思想을 보여주고 있다. 孔子克己復禮로써 人心에 매이지 않고 道心을 회복하는 을 이룬다고 하였듯이, 孤雲도 그의 [文集]에서 修心’, ‘操心’, ‘直心등을 언급함으로써 利慾에서 벗어나 本心을 회복해야할 것을 강조하는 心學的 일면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최치원의 사상은 이처럼 을 중심으로 하여 大同思想으로 나아간다. 大同思想 [禮記]에서 大道平等이 구현되는 완성된 사회를 보여주고 있다. 최치원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儒敎의 좋은 가르침을 擧揚하여 때를 잃지 말고 上古風敎를 일으켜서 영원히 大同敎化를 이룬다.” 이와 같이 孤雲은 사람에게 있는 (道不遠人)를 바탕으로 사람에게는 國境이 없다는 평등원리와 함께, 유교의 이상은 영원한 大同에 있음을 강조하면서, 宋代 儒學者들이 의 사상으로 佛敎道敎를 비판한 것과는 달리, 大同을 바탕으로 三敎를 만나게 한다.



                                  한국의 종교철학: 1. 최치원풍류도; 삼교일치와 교섭...

2015.04.22             

cafe.daum.net/meditationhealth/URLW/18   귀향여정







단군신화와 최치원의 풍류도, 동인의식으로 본 현대 한국인의 급속한 발전 원동력

  • 리포트 > 사회과학
  • 단군신화와 최치원의 풍류도, 동인..
  • 한글
  • 2013.06.05 / 2013
  • 5페이지

단군신화와 최치원의 풍류도, 동인의식으로 본 현대 한국인의 급속한 발전 원동력

단군신화와 최치원의 풍류도, 동인의식으로 본 현대 한국인의 급속한 발전 원동력

*단군신화

㉠환인-하느님-하늘에 대한 일정한 관념

㉡가족주의적 성격

『위서』에 다음과 같이 말한다. 지금으로부터 2천 년 전에 단군왕검이 있어 아사달에 도읍을 정하여 나라를 열고 국 호를 조선이라 하니 요와 같은 시기다.
『고기』에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가)옛날에 ㉠환인의 ㉡여러 아들 가운데 환웅이 있었는데 자주 하늘 아래에 뜻을 두어 ㉢인간세상을 구하기를 탐하였다. ㉣아버지가 아들의 뜻을 알고 아래로 삼위태백을 내려보니 ‘인간을 널리 이롭게 할 만하였다.’ 이에 천부인 세 개를 주어 다스리라고 보냈다. 환웅이 무리 3천을 거느리고 태백산 꼭대 신단수 아래에 내려와 ㉤신시라 이르니 이가 곧 환웅천왕이다. ㉥풍백,우사,운사 그리고 주곡, 주명, 주병, 주형, 주선악을 거느렸고 무릇 인간의 360여 가지 일을 주관 했으니 ㉦‘세상을 이치로 다스렸다’.
....

자료다운로드
   
관심자료등록

  • [고전문학 작가론] 남북국시대 최치원의 삶과 문학
    [고전문학 작가론] 남북국(南北國) 시대(時代) 최치원의 삶과 문학(文學) - 목 차 - 1. 머리말 2. 남북국 시대의 정치적 상황과 육두품 3. 최치원의 삶 (당 유학-귀국 후 정치적 좌절-은거생활) 4. 최치..
  • 최치원에대해서
    ◈최치원 ▶목차 1. 시대적 배경 2. 최치원의 생애 3. 최치원의 사상과 작품세계 ※사산비문에 나타난 삼교융합론 ※풍류도에 대한 제가들의 견해 4. 최치원에 관한 설화 5. 계원필경(桂苑筆耕) ※ 그 밖..
  • 교육과역사의식역사흐름으로본단군신화와북한
    역사흐름으로 본 단군신화와 북한, 일본의 관점으로 본 단군신화 Ⅰ. 서언 단군은 우리 역사를 연 인물로서 한반도의 수세기 역사의 첫 장을 장식한다. 단군신화는 이러한 존경의 대상인 ‘단군’을 중심으로 한 ..
  • [동양철학] 풍류도에 대해서
    ◀ 목 차 ▶ 1. 서 론 1 ▣ 풍류도의 잘못된 해석 1 2. 본 론 1 ▣ 풍류도 정의와 기원 1 ▣ 종교적인 관점의 풍류도 3 ▣ 현묘지도로서의 풍류도 6 ▣ 풍류도와 한국문화 6 ▣ 풍류의 놀이적 성격과 한마당..
  • [고전문학사] 단군신화에 나타나는 웅녀의 이미지 해석과 현대 단군신화의 수용 양상 변화
    [단군신화]에 나타나는 ‘웅녀’의 이미지 해석, 현대 [단군신화]의 수용양상의 변화 - 서론 [단군신화]는 한국 민족의 시조인 단군과 그의 아버지로 설정된 환웅에 관한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의 건국신화이다. ..
  • 단군신화와 건국신화
    단군신화와 건국신화 Ⅰ. 서 론 Ⅱ. 본 론 1. 개 관 2. 단군신화 3. 고구려, 백제, 신라의 건국신화 Ⅲ. 결 론 참고문헌 Ⅰ. 서 론 한국의 건국신화는 한국・한국인・한국사의 탄생에 대한 이야기다. 건국신..
  • 고전문학의 흐름 - 고유사상
    (고전문학의 흐름) 고유사상 [목차] Ⅰ.서론 Ⅱ.본론 1)한국의 고유사상 정리 2)구석기, 신석기 3)고대문학(고조선, 부여·삼한·가야) 4)설화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Ⅰ. 서론 문학은 글자 형성 이전, 건국..
  • 고전문학의흐름고유사상
    고전문학의 흐름[고유사상] 《목 차》 Ⅰ.서론 Ⅱ.본론 1)한국의 고유사상 정리 2)구석기, 신석기 3)고대문학 4)설화 Ⅲ. 결론 Ⅰ.서론 문학은 글자 형성 이전, 건국 이전부터 종합예술의 형태로 존재 문자 형성 이..
  • 인문어학 『격황소서檄黃巢書』
    『격황소서(檄黃巢書)』 《 차  례 》 Ⅰ. 서 론 Ⅱ. 본 론 1. 작품해제 2. 작자소개 3. 원문 및 번역문 4. 패러디 Ⅲ. 결 론 [ 참고문헌] 최치원, 『우리나라 한시총서1:고운 최치원 시집』, 서울: 민속원, 1..
  • [인문어학] 『격황소서(檄黃巢書)』
    『격황소서(檄黃巢書)』 《 차  례 》 Ⅰ. 서 론 Ⅱ. 본 론 1. 작품해제 2. 작자소개 3. 원문 및 번역문 4. 패러디 Ⅲ. 결 론 [ 참고문헌] 최치원, 『우리나라 한시총서1:고운 최치원 시집』, 서울: 민속원, 1..



                                 단군신화와 최치원풍류도, 동인의식으로 본 현대 한국인의 급속한 발전 원동력

m.jisikmall.com/519801.단군신화와 최치원의 풍류도, 동인의식으로..    지식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