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오성도설(五聲圖說)

2013. 8. 13. 00:45율려 이야기

 

 

궁ㆍ상ㆍ각ㆍ치ㆍ우의 오성은 서양음악 용어로 계명(階名)에 해당된다. 계명 『도ㆍ레ㆍ미ㆍ파ㆍ솔ㆍ라ㆍ시』에 해당하는 음명(音名)이 악조에 따라 다르듯이, 『궁ㆍ상ㆍ각ㆍ치ㆍ우』에 해당하는 율명은 악조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면, 『도ㆍ레ㆍ미ㆍ파ㆍ솔ㆍ라ㆍ시』에 해당하는 음이, c장조에서는 『cㆍdㆍeㆍfㆍgㆍaㆍb』이며, d장조에서는 『dㆍ eㆍ f#ㆍgㆍaㆍbㆍc#』이다. 즉 c장조에서는 c가 도, 즉 중심음이 되고, d장조에서는 d가 중심음이 된다. 『궁ㆍ상ㆍ각ㆍ치ㆍ우』에 해당하는 율명이 황종균(黃鍾均)에서는 『황ㆍ태ㆍ고ㆍ임ㆍ남』이며, 대려균에서는 『대ㆍ협ㆍ중ㆍ이ㆍ무』이다.
그러나 서양의 계명과 달리, 동양에서는 오성(五聲)을 오행(五行)ㆍ오방(五方)ㆍ오색(五色)ㆍ오장(五臟)ㆍ오성(五性)ㆍ오정(五情) 등과 연관지어 천지자연의 이치를 표현하고 있다. 동대문을 흥인지문(興仁之門), 남대문을 숭례문(崇禮門), 서대문을 돈의문(敦義門)이라 이름 지은 것에서도 오성(五聲)ㆍ오행(五行)ㆍ오방(五方)ㆍ오성(五性) 등을 연관 짓는 사고방식이 동양의 전통사회에 뿌리박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도표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예기(禮記)』 『월령(月令)』주소(注疏)에 ‘나무 열매의 맛은 시고[酸], 불에 탄 것은 쓰며, 흙에서 난 백곡(百穀)은 단맛이 나고, 쇠는 매우며[辛], 소금물[鹽水]은 짜다.’고 하였다. 물맛으로 소금물을 택한 것은 모든 물이 바다로 흘러가므로 바닷물을 물의 정수(精髓)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출처 : 몽마르카부덴의 오름산책 & 젓대소리
글쓴이 : 몽마르카부덴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