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8. 13. 00:45ㆍ율려 이야기
율관에 관한 여러 학설동양에서는 천지(天地)의 원기(元氣)가 발(發)해서 원성(元聲)이 되므로, 천지의 조화(造化)를 형용하는 악(樂)의 기본인 황종율이 천지자연의 수와 일치해야 하는 것으로 여겼다. 따라서 인위(人爲)가 포함되지 않은 자연물인 기장[黍]과 대[竹]로 황종율관을 만들었으며, 이로부터 도량형을 만들었다. 따라서 율과 도량형을 통일하는 것은 통치자의 주요한 임무 중의 하나였다. |
'율려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오성도설(五聲圖說) (0) | 2013.08.13 |
---|---|
[스크랩] 오행(五行)과 오성(五聲) (0) | 2013.08.13 |
[스크랩] 세종대 율관제작 (0) | 2013.08.13 |
[스크랩] 12율관에 관한 각 설의 비교 (0) | 2013.08.13 |
금관의 예수 / 김민기 (0) | 2013.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