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북한산 유산기 모음

2013. 5. 14. 23:50산 이야기

 

 

 

 

 

 

북한산(옛 이름 삼각산)과 관련한 고인들의 유산기 20편을 올립니다. 

 

1. 한국국학진흥원의 사이트 안에서 '사업안내->문화콘텐츠->조선시대유산기' 란 하단의 http://yusan.culturecontent.com/로 들어가시면 감상이 가능합니다.

 

2. 위에서 서비스하는 순서와 내용으로 하였으나 해당 글의 출전과 유산의 연대를 밝히고 원문이 일부만 제공되는 세 편( 李德懋의「기유북한(記遊北漢)」과   李瀷「유삼각산기(遊三角山記)」와 李廷龜의「유삼각산기(遊三角山記)」)은 원문을 채워 넣었습니다.  

 

3. 가독의 편의를 위하여 간단한 오탈과 띄어 쓰기에 대하여 일부 손을 보았습니다.

 

4. 나머지 원문의 일부만 서비스되고 있는 4편의 작품에 대하여서는 제목 우측에 표시하여 놓았는데 추후 찾아서 보완해 놓을 예정이며, 그 외에 삼각산과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작품들로는 다음과 같은 글들이 발견되었습니다.  

  

1)「도봉서원기(遊道峯書院記)」

월사(月沙) 이정구(李廷龜, 1564∼1635)의『월사집(月沙集)』권38에서


2)「유북한기(遊北漢記)」

양원(陽園) 신기선(申箕善, 1851~1909)의『양원유집(陽園遺集)』권10에서 1898.


3)「유청담기(游淸潭記)」

미산(眉山) 한 장석(韓章錫, 1832~1894)의『미산집( 眉山集)』권8에서


4)「재유조계기(再游槽溪記)」 

창설재(蒼雪齋) 권두경(權斗經, 1654~1726)의『창설재집(蒼雪齋集)』권12에서

 

5)「도봉서원기(道峯書院記」

율곡(栗谷) 이이(李珥, 1536~1584)의『율곡집(栗谷集)』 권13에서


6)「유도봉기(遊道峯記)」

매산(梅山) 홍직필(洪直弼, 1776~1852)의 『매산집(梅山集)』권28에서


7)「제중흥유기권후(題重興游記卷後)」

문무자(文無子) 이옥(李鈺, 1760∼1812)의『담정유고(藫庭遺藁)』권10에서 

(위 7편은 추후 번역하여 올려보려고 계획하고 있습니다)

 

5. 고인들이 삼각산에 오르내린 기록과 그에 따른 감흥을 술회한 시문들은 훨씬 더 많을 것이 분명합니다. 우리 은대산우회 회원들이 같이 더 찾아 보기로 하면서 우리가 오늘의 유산기(산행후기)를 남기는 일도 역시 뜻있는 일이 아닐 수 없을 것입니다.

 

'後之視今 亦猶今之視昔'이라 하니 그렇다면 비감한 가운데도 亦足以暢敍幽情일 것입니다. 이것이『삼각산유산기집성(三角山遊山記集成)』을 도모하는 이유인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첨부파일 북한산 유산기 모음_20110926.hwp

 

 

 

 

 

북한산    <<<ㅡ 삼각산

 

 

 


 

산은 그 형상(形象)으로 보아 골산(骨山)과 육산(肉山)으로 나누어진다.

골산은 금강산, 설악산과 같이 바위가 많은 산으로 지혜(智慧)를 상징하고 육산은 지리산, 덕유산과 같이 바위가 적고 흙이 많은 산으로 자비(慈悲)를 상징한다.

바위는 기를 많이 발산하기 때문에 산에 들어 도를 닦는 이들은 흔히 바위 위에서 수련을 하였고 예수도 여호와 하나님의 계시를 받고자 바위산에 올랐다.

 

『택리지(擇里志)』에 따르면 산 모양이 돌로 이루어진 골산이어야만 산이 수려하고 물 또한 맑고 강과 바다가 서로 만나는 곳에 좋은 터를 부려놓는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곳이 나라 안에는 개성의 오관산(五冠山), 한양의 삼각산(三角山), 진잠의 계룡산(鷄龍山), 문화의 구월산(九月山) 네 곳 이라고 한다. 특히 삼각산은 역시 골산인 도봉산(道峰山)과 연달아 얽힌 산세여서 돌 봉우리가 무척 맑고 만 줄기 불이 하늘에 오르는 것 같다고 했다.

 

 북한산(北漢山)은 『산경표(山經表)』의 산줄기 개념으로 보면 한강 북쪽에서 흘러내려와 한강을 건너지 못하는 산줄기인 한북정맥(漢北正脈) 상에 있는 산이다.

백두산(白頭山)에서 시작된 백두대간(白頭大幹)이 동해(東海) 연안(沿岸)을 따라 남쪽을 향하다가 강원도 평강군 분수령에서 서남쪽으로 꺾어져 적근산, 대성산, 광덕산을 일구고 강원도와 경기도의 경계인 광덕고개에서 잠시 숨을 고르고 다시 솟구쳐 백운산, 국망봉, 청계산, 운악산을 지나며 높낮이를 이어오다가 포천과 의정부를 넘나드는 축석고개에서 그 높이를 현저히 낮추고 불곡산, 도봉산을 지나 북한산과 도봉산을 가르는 우이령에서 본줄기는 서향(西向)하여 노고산에 잠시 솟구쳤다가 장명산에서 임진강 하류로 숨어들어 산줄기의 뻗음을 마감하고 또 다른 한줄기는 남향(南向)하여 백운대(白雲臺), 인수봉(仁壽峰), 만경대(萬頃臺)를 솟구쳐 일구어 놓았으니 이를 삼각산(三角山)이라 하는데 속칭 북한산이라고도 한다.

 

대부분의 역사서들은 북한산을 삼각산으로 기록하고 있다.

『삼국사기』『고려사』 그리고 조선시대에 편찬된 『세종실록지리지』,『신증동국여지승람』,『동국여지지』,『여지도서』,『증보문헌비고』,『북한지』, 『대동지지』 등 역대 지리서와 조선왕조실록에 북한산을 한결같이 삼각산으로 기록하고 있다.

백운대(836.5m) 인수봉(810.5m) 만경대(799.5m)의 세봉우리가 이루고 있는 그 모양이 세 개의 뿔과 같이 생겼다고 해서 세뿔 즉 삼각산(三角山)으로 불려졌다.

 

그럼 북한산이란 이름은 어디서 비롯되었을까 ?

삼국시대부터 지금의 서울지역인 한강유역을 한산(漢山)이라 하였는데 한강을 중심으로 북쪽지역을 북한산(北漢山), 남쪽지역을 남한산(南漢山)이라 하고 한산에서 가장 양지바른 곳을 한양(漢陽)이라 하였다.이와 같이 북한산이란 산 이름이 아니라 지역(地域) 이름인 것이다.

북한산의 이름도 각 시대마다 달리 불렀는데 삼국시대에는 부아악(負兒岳), 횡악(橫岳)이라 하였고 고려, 조선시대에는 삼각산(三角山), 화산(華山), 중악(中岳) 이라 하였다.

삼각산의 한 봉우리인 인수봉 뒤에 튀어나온 바위가 마치 어머니가 어린애를 업고 있는 형상이라서 이를 한자로 표기하여 부아악(負兒岳)이라 했고, 삼국시대는 북한산을 가로 놓고 대치하여 길항하고 있었으니 이 때문에 가로 횡(橫)자를 사용하여 횡악(橫岳)이라 불렀고, 중국의 영향을 받아 중국이 자기나라를 세계의 중심으로 기운이 결집되어 꽃같이 피어난다는 의미로 중화(中華)라고 칭하고 있듯이 화악(華岳) 또는 중악(中岳)도 이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던 것이다.

 

 예로부터 산의 격(格)을 말해주는 기준으로 최고의 지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12종산(宗山)이 있으니 북한산도 그 중의 하나이다.

백두산, 원산, 낭림산, 두류산, 분수령, 태백산, 속리산, 장안산, 지리산은 백두대간에 위치하여 다른 산줄기를 가르는 분기점(分岐點)이라는 조종적(祖宗的) 위치인데 북한산은 금강산, 오대산과 더불어 그러하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종산의 반열에 들었다.

천하명산 금강산(金剛山)이야 중원(中原)과도 바꿀 수 없는 보배이고 오대산(五臺山)은 불법(佛法)의 보고(寶庫)이니 종산이 되고도 남을 터인데 북한산은 이도저도 아니면서 종산이 된 이유가 무엇일까?

그것은 북한산이 부려놓은 터가 한 나라의 도읍을 가능하게 한 명산이었기에 그러하다.

이처럼 북한산이 도읍지를 부려놓은 명산이라서 새로운 나라를 세우고자 이성계가 산에 올라 시를 남겼고 나라의 경계를 굳건히 하고자 진흥왕이 산에 올라 비석을 남겼고 원효, 의상, 도선, 보우, 탄연, 진관, 승가, 법경 등의 스님들이 수행을 위하여 산에 들어 절을 지었고, 숱한 사대부 양반들이 산에 올라 산천경계를 감상하고 유산기(遊山記)를 남기기도 하였다.

 

 

*******

 

조선시대 선비들의 산행기 모음을 볼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백두산 금강산 지리산 북한산 가야산 청량산 등 7개산 산행기 250편을 번역해 올려놓았습니다.

 

산행기 외에  지도, 산행 경로, 사진, 관련 漢詩, 설화 등 다양한 컨텐츠를 함께 제공하고 있습니다.

 

http://yusan.culturecontent.com/

 

출처 : 백담 그 시절...
글쓴이 : 케엑 원글보기
메모 :







북한산 유산기 목록(수정중)| 북한산 유산기관련 자료 

여름날|조회 96|추천 1|2015.10.27. 23:08

북한산(도봉산포함) 유산기 목록을 작성해봤습니다.

 

추가할 게 있으면 알려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제목

집필년

작가

생몰년대

문집

원본

국역본비고

삼각산중수승가굴기(三角山重修僧伽窟記)

 

이예(李預)

1093_(미상)

 

  경기문화

남경건도소(南京建都疏)

 

김위제(金謂)

1097~

 

  경기문화

진관사수륙사조성기(津寬寺水陸社造成記)

 

권근(權近)

1352(공민왕 1)∼1409(태종 9)

 

  경기문화

도성암기(道成庵記)

 

김수온(金守溫)

1410(태종 10)∼1481(성종 12)

 

 현해당경기문화

몽도원도서(夢桃源圖序)

 

박팽년(朴彭年)

1417(태종 17)∼1456(세조 2)

 

  경기문화

제비해당몽도원기후(題匪懈堂夢桃源記後)

 

성삼문(成三問)

1418(태종 18)∼1456(세조 2)

 

  경기문화

중흥사중창기(中興寺重創記)

 

홍유손(洪裕孫)

1431(세종 13)∼1529(중종 24)

 

  경기문화

도봉서원기(道峯書院記)

 

이이(李珥)

1536(중종 31)∼1584(선조 17)

율곡집(栗谷集)

   

중흥동산성형세보고서

 

이덕형(李德馨)

1561(명종 16)∼1613(광해군 5)

 

   

유조계기(遊曺溪記)

1603

이정구(李廷龜)

1564 (명종 19) ~ 1635 (인조 13)

『월사집(月沙集)』

   

도봉서원기(遊道峯書院記)

 

이정구(李廷龜)

1564 (명종 19) ~ 1635 (인조 13)

『월사집(月沙集)』

   

유삼각산기(遊三角山記) 

1603

이정구(李廷龜)

1564(명종 19)~1635(인조 13) 

『월사집(月沙集)』

   

유삼각산기(遊三角山記 ) 

 

정길(鄭佶)

1566(명종 21)∼1619(광해군 11)

난곡유고

 현해당 

고양산수(高陽山水)

1658

허목(許穆)

1595(선조 28)~1682(숙종 8)

미수기언

  경기문화

제설초자화산행후(題雪蕉子華山行後)

 

이득원(李得元)

1600(선조 33)∼1639(인조 17)*

소대풍요

  경기문화

제화산기흥후(題華山記興後)

 

유찬흥(庾纘洪)

1628(인조 6)∼1697(숙종 23)

소대풍요

  경기문화

청담초당기

 

구시경(具時經)

1637(인조 15)∼1699(숙종 25)

獨樂齊文集
   

유삼각산록(遊三角山錄)

1696

오재정(吳再挺)

1641(인조 19)~1709(숙종 35)

한천당유고

  경기문화

백운동등유기

 

임영(林泳) 

1649(인조 27) ~1696(숙종 22) 

창계집(滄溪集) 
   

재유조계기(再游槽溪記) 

 

권두경(權斗經)

1654(효종 5)∼1725(영조 1)

창설재집(蒼雪齋集

   

유북한기(遊北漢記)

1717

송상기(宋相琦)

1657(효종 8) ~ 1723(경종 3)

옥오재집

  경기문화

북한산성금위영이건기(北漢山城禁衛營移建記)

 

이이명(李命)

1658(효종 9)∼1722(경종 2)

 

  경기문화

삼각도봉(三角道峰)

 

이만부(李萬敷)

1664(현종 5)∼1732(영조 8)

식산집

  경기문화

청담동부기(淸潭洞府記)

1742

어유봉(魚有鳳)

1672(현종13)∼1744(영조20)

 

   

유삼각산기(遊三角山記)

1707

이익(李瀷)

1681(숙종 7)∼1763(영조 39)

성호문집

  경기문화

유북한기(遊北漢記)

 

이익(李瀷)

1681(숙종 7)∼1763(영조 39)

성호전집

  경기문화

삼각산기

 

신경준(申景濬)

1712(숙종 38)∼1781(정조 5)

 

   

등화산백운대(登華山白雲臺)

 

안석경(安錫儆)

1718(숙종 44)∼1774(영조 50)

霅橋集卷一 詩 

   

우이동구곡기(牛耳洞九曲記)

 

홍양호(洪良浩)

1724(경종 4)∼1802(순조 2)

이계집

  경기문화

우이동장기(牛耳洞庄記)

 

홍양호(洪良浩)

1724(경종 4)∼1802(순조 2)

이계집

  경기문화

북한도봉산유기(北漢道峰山遊記)

1779

이엽(李曄)

1729(영조 5)∼1788(정조12)

농은집

  경기문화

유삼각산기(遊三角山記)

1779

유광천(柳匡天)

1732(영조 8) ∼1799(정조 23)*

귀락와집

  경기문화

화악일기(華嶽日記)

 

이의숙(李義肅)

1733(영조 9)~1807(순조 7)

頤齋集卷四 記

   
풍계집승기(楓溪集勝記)
1790

김양근(金養根)

1734(영조 10)∼1799(정조 23

 

   

등백운대(登白雲臺)

 

박영석(朴永錫)

1735(영조 11)∼1801(순조 1)

만취정유고(晩翠亭遺稿) 詩

   

유북한기(遊北漢記 )

1760

김구주(金龜柱)

1740(영조 16)∼1786(정조 10)

 

   

기유북한(記遊北漢)

1761

이덕무(李德懋)

1741(영조 17)∼1793(정조 17)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경기문화

士典[一] 

 

이덕무(李德懋)

1741(영조 17)∼1793(정조 17)

 

   

정릉유록(貞陵遊錄)

 

권상신(權常)

1759(영조 35)∼1824(순조 24)

 

   

제중흥유기권후(題重興游記卷後)

 

이옥(李鈺)

1760(영조 36)~1812(순조 12)

담정유고(?庭遺藁)

   

중흥유기(重興遊記)

1793

이옥(李鈺)

1760(영조 36)~1812(순조 12)

담정총서庭叢書

  경기문화

산수기(山水記)

 

성해응(成海應)

1760(영조 36)∼1839(헌종 5)

연경재전집

  경기문화

유세검정기(游洗劍亭記)

1791

정약용(丁若鏞)

1762(영조 38)∼1836(헌종 2)

여유당전서

  경기문화

북영벌사기(北營罰射記)

 

정약용(丁若鏞)

1762(영조 38)∼1836(헌종 2)

여유당전서

  경기문화

유청담(遊淸潭)

1783

김조순(金祖淳) 

1765(영조 41)~1832(순조 32) 

楓皐集卷之一 詩

   

유청담(遊淸潭)

1783

김조순(金祖淳)

1765(영조 41)~1832(순조 32) 

楓皐集

0 0

제중흥유기권후(題重興遊記卷後)

1793

김려(金鑢)

1766(영조 42)∼1822(순조 22)

담정총서

  경기문화

한북산성기(漢北山城記 )

 

홍경모(洪敬謨)

1774(영조 50)∼1851(철종 2)

冠巖全書冊十八

   

진관사기(津寬寺記 )

 

홍경모(洪敬謨)

1774(영조 50)∼1851(철종 2)

冠巖全書

   

청담기(淸潭記 )

 

홍경모(洪敬謨)

1774(영조 50)∼1851(철종 2)

冠巖全書冊十八 記

   

북한산행기

 

이해응(李海應)

1775(영조 51)∼1825(순조 25)

 

   

유도봉기(遊道峯記)

 

홍직필(洪直弼)

1776(영조 52)∼1852(철종 3)

매산집(梅山集)

   

유북한기(遊北漢記)

 

신명현(申命顯)

1776(정조 즉위)~1820(순조 20)

평호유고(萍湖遺稿)

  경기문화

유도봉기(遊道峯記)

 

신명현(申命顯)

1776(정조 즉위)~1820(순조 20)

 

   

유도봉기(遊道峯記)

 

김노겸(金魯謙)

1781(정조 5)∼1853(철종 4)

 

   

삼각산기 

 

윤정기(尹廷琦)

1814(순조 14)∼1879(고종 16)

 

   

유도선암기

 

유치영(柳致榮)

1828(순조 28)~1908

 

   

유승가사기

 

유치영(柳致榮)

1828(순조 28)~1908

 

   

유청담기(游淸潭記)

 

한장석(韓章錫)

1832(순조 32)~1894(고종 31)

미산집( 眉山集)

   
유북한록(遊北漢錄)1874김영조(金榮祖)1842(헌종 8)∼1917죽담집  경기문화
유백운대1876 ~1883박주현(朴周鉉)
1844(헌종 10)∼1910
  현해당 
유백운대기(遊白雲臺記)1882박문호(朴文鎬)1846(헌종 12)~1918*호산집  경기문화
유북한기(遊北漢記)1898신기선(申箕善)1851(철종 2)∼1909양원유집(陽園遺集   
유북한기(遊北漢記)1880이계서(李溪墅)미상계서선생문집  경기문화
유삼각산기 김팔현     
북한기 만기요람     
등북한산성 안창재     
유북한기(遊北漢記)1858양의영(梁義永) 죽파유집  경기문화
유세검기 이장재     
 
                                               자료 출처 :  북한산 유산기 목록(수정중)
2015.10.27

cafe.daum.net/wawoonru/Xbeh/5   한국등산사연구회(와운루계회)  |   





조선시대 유산기-26건 요약...| 북한산 유산기관련 자료 

라빠르망|조회 55|추천 0|2015.10.22. 14:26

 

. 유산기 내용 요약

 

1. 유삼각산기, (월사집) 이정구, 李廷龜 1564(명종 19) ~ 1635(인조 13)

여정일: 계묘년(1603, 선조 36) 915

여정기간:2

여정경로:홍제교-중흥동-민지암, 산영루-향옥탄-노적봉-서울  


2. 유삼각산기, (난곡유고) 정길, 鄭佶 1566(명종 21)1619(광해군 11)

여정일:

여정기간:

여정경로:도성암-기우단-백운암-백운대-도성암


3. 유조계기, (월사집) 이정구, 李廷龜 1564 (명종 19) ~ 1635 (인조 13)

여정일: 숭정(崇禎) 경오년(1630, 인조 8)

여정기간:

여정경로:조계동


4. 고양산수, (미수기언) 허목, 許穆 1595(선조 28)~1682(숙종 8)

여정일:무술년(1658, 효종 9)

여정기간:5

여정경로: 북한성-민지암


5. 제설초자화산행후, (소대풍요) 이득원, 李得元 1600(선조 33)1639(인조 17)*

여정일: 여정기간: 여정경로:


6. 제화산기흥후, (소대풍요) 유찬홍, 庾纘洪 1628(인조 6)1697(숙종 23)

여정일: 여정기간: 여정경로:


7. 유삼각산록, (한천당유고) 오재정, 吳再挺 1641(인조 19)~1709(숙종 35)

여정일: 병자년(1696, 숙종 22) 316일 정축일

여정기간:2

여정경로: 탕춘대-사자항-문수사-보륭봉-중흥사-노적봉-인신봉-만경대-백운대-북한산성


8. 유삼각산기, (성호문집) 이익, 李瀷 1681(숙종 7)1763(영조 39)

여정일: 정해년(丁亥年 ; 1707, 숙종 33) 중춘(仲春) 17일 경자일(庚子日), 18일 신축일(辛丑日)

여정기간: 2

여정경로:동소문-조계동-보허각-조계사-석가령-중흥사-보현봉-북문


9. 유북한기, (옥오재집) 송상기, 宋相琦 1657(효종 8) ~ 1723(경종 3)

여정일: (정유년, 1717, 숙종 43) 91

여정기간:2

여정경로:창의문-탕춘대-무계동-북교-북한산성 남문-어영청 별관-보국사-동문-동장대-중흥사-경리청 별관-산영루-행궁-남문-탕춘대-신관


10. 삼각도봉, (식산집) 이만부, 李萬敷 1664(현종 5)1732(영조 8)

여정일: 여정기간: 여정경로:


11. 유북한기, (성호전집) 이익, 李瀷 1681(숙종 7)1763(영조 39)

여정일:

여정기간:2

여정경로:북한산성-백운봉-중흥사


12. 기유북한, (청장관전서) 이덕무, 李德懋 1741(영조 17)1793(정조 17)

여정일:신사년(1761, 영조 37) 930

여정기간:2

여정경로:세검정-소림암-문수사-보광사-태고사

여정경로:용암사-중흥사-산영루-부왕사-원각사-진국사-상운사-서암사-진관사


13. 북한도봉산유기, (농은집) 이엽, 李燁 1729(영조 5)1788(정조12)

여정일: 기해년(1779) 415일 기사일

여정기간:3

여정경로:서울-창의문-한북문-홍제원-진관사-북루-대서문-산영루-중흥사-행궁-동장대-대동문-도원-세이정-청절사-도봉서원-의인재-동소문-서울


14. 유삼각산기, (귀락와집) 유광천, 柳匡天 1732(영조 8) 1799(정조 23)*

여정일: (기해년, 1779415일 기사일)(416일 경오일) (417일 신미일)

여정기간:3

여정경로:서울-창의문-한북문-홍제원-진관사-북루-대서문-산영루-중흥사, 행궁-동장대-대동문-도원-세이정-청절사-도봉서원, 의인재-동소문-서울


15. 유세검정기, (여유당전서) 정약용, 丁若鏞 1762(영조 38)1836(헌종 2)

여정일: 신해년(1791, 정조 15)

여정기간:1

여정경로:세검정


16. 북영벌사기, (여유당전서) 정약용, 丁若鏞 1762(영조 38)1836(헌종 2)

여정일: 신해년(1791, 정조 15) 가을 9

여정기간:

여정경로: 춘당대

여정경로: 북영


17. 중흥유기, (담정총서) 이옥, 李鈺 1760(영조 36) ~ 1812(순조 12)

여정일: 계축년(1793, 정조 17) 가을 822일 임오일 -29일 기축일

여정기간:8

여정경로:회현방-맹교-북한산-맹교


18. 제중흥유기권후, (담정총서) 김려, 金鑢 1766(영조 42)1822(순조 22)

여정일: 계축년(1793, 정조 17) 가을 822일 임오일 -29일 기축일

여정기간:8

여정경로:회현방-맹교-북한산-맹교


19. 삼각산산수기, (연경재전집) 성해응, 成海應 1760(영조 36)1839(헌종 5)

여정일: 여정기간: 여정경로:


20. 우이동구곡기, (이계집) 홍양호, 洪良浩 1724(경종 4)1802(순조 2)

여정일: 여정기간: 여정경로:


21. 우이동장기, (이계집) 홍양호, 洪良浩 1724(경종 4)1802(순조 2)

여정일: 여정기간: 여정경로:


22. 유북한기, (평호유고) 신명현, 申命鉉 1776(정조 즉위년)~1820(순조 20)

여정일: 84

여정기간:3

여정경로:창의문-세검정-연융대-승가사-북한산성-원각사-부왕사-청하동-태고사-중흥사-보국사-용암사-중흥사-산영루-진국사-중성문-서암사-대서문-진관사-홍제원-모화관-영은문-돈의문-비은당


23. 유북한기, (죽파유집) 양의영, 梁宜永 1816(순조 16)1870(고종 7)*

여정일: 무오년(1858, 철종 9) 가을 816-21

여정기간:6

여정경로:심계동-세검정-옥천암, 서암사, 상운사-원효봉, 상운사-중흥사, 산영루-용암사, 행궁-보국사-보광사


24. 유북한록, (죽담집) 김영조, 金永祚 1842(헌종 8)1917

여정일: 갑술년(1874, 고종 11) 3

여정기간:4

여정경로:홍제원-대서문-상운사-별장아문-진국사-백운동-산영루-중흥사-태고사-청하동-총융청-어영청-연융정-대남문-동장대-봉성암-문수암-탕춘대-세검정-창의문


25. 유북한기, (계서선생문집) 이계서, 李溪墅 미상

여정일:경진년(1880, 고종 18)

여정기간:2

여정경로:북문-대흥사-태고암-봉성사-산영루-동문


26. 유백운대기, (호산집) 박문호, 朴文鎬 1846 (헌종 12)~1918*

여정일: 임오년(1882, 고종 19), 임오년(1882, 고종 19) 33

여정기간:3

여정경로:북한산성 대남문-문수암-중흥사-산영루

여정경로:태고사-용암사-결단암-백운대

여정경로:도선암-혜화문-서울

 

*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 시스템 참고.



          자료 출처 : 조선시대 유산기-26건 요약...

2015.10.22           







'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대관령 옛길 주막터에서  (0) 2013.05.15
[스크랩] 성호 이익의 유삼각산기  (0) 2013.05.14
[스크랩] 설악골  (0) 2013.05.14
조선시대 설악산 遊山記  (0) 2013.05.14
六堂 崔南善과 설악  (0) 2013.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