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8. 28. 12:11ㆍ美學 이야기
|
<황제복을 입은 나폴레옹 1세> 프랑수아 제라르(남작)(1770~1837) 캔버스 유채, 223Ⅹ143cm
이 그림은 역대 왕들의 공식적인 초상화를 그리는 도상학적 전통을 따르고 있다. 정치적인 관점에서 볼 때, 이 작품의 화면 구성은 압도적이지 않으면서도 위엄 있는 황제의 이미지를 보여주기에 적합했다. 제라르는 황제를 나타내는 도상학적 전통을 부정하지 않으면서도 그 전통을 뛰어넘어 좀더 복합적인 이미지를 창출해 내었다. 그림 속 나폴레옹은 금으로 수놓은 흰 구두를 신고, 흰 담비털이 덧대어져 있고 금색 꿀벌이 수놓인 자줏빛 망토의 황제복을 입고 있다.
|
|
<루브르의 콜로나드 전경> 피에르 앙투안 드 마쉬(1723~1807) 캠버스 유채, 48Ⅹ78cm
드 마쉬의 작품의 전형을 보여주는 이그림에는 미완성 단계인 콜로나드의 웅장한 규모와 철거 중인 음침한 분위기의 벽이 대조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벽 앞에는 잔해를 바라보는 행인들과 물을 나르는 사람, 초소를 지키는 보초, 건물 잔해를 실은 수레가 보인다. 아침 햇살을 받아 환하게 빛나는 건축물은 그림 앞쪽에 등을 지고 있는 인물들의 어두운 실루엣과 대비를 이룬다.
|
|
<이삭을 제물로 바치는 아브라함> 안니발레 카라치 (1560~1609) 동판에 유채, 46x35cm
|
|
<안젤리카를 구하는 로제> 장 오귀스트 도미니크 앵그르(1780~1867) 캔버스에 유채, 147Ⅹ190cm
앵그르는 자신의 화폭에 고대 작품에서 볼 수 있는 부드러운 곡선의 몸매와 창백한 피부를 가진 여인과 군마 히포그리프를 타고 있는 중세 기사의 단단하고 빛나는 갑옷 사이에 도는 긴장감을 담아 내었다. 앵그르는 낭만주의자들이 애호했던 중세의 환상적인 세계를 화폭에 담아낸 최초의 화가이다.
|
이 작품은 조각같이 부드럽고 매력적인 신고전주의의 진수를 보여주고 있다. 신고전주의적 전형을 보여주는 여성의 길고 섬세한 코와 반듯한 타원형의 얼굴은 당시 미술사가들에게 '이상적인 미'로 격찬을 받을 정도로 매끄러우면서도 완벽하다. 프시케는 비너스로부터 받은 수많은 시련에 맞서 끈기있게 통과의례를 치러나갔고, 초자연적인 힘의 도움을 받아 결국 모든 시련을 극복했다. 이 작품의 또다른 이름은 <에로스로부터 첫 키스를 받는 프시케>이다.
|
|
<회개하는 성 제롬이 있는 풍경> 티치아노(본명:베첼리오 티치아노) (1488/1490~1576) 캔버스에 유채, 80Ⅹ102cm
달빛 속의 성 제롬은 이미 조르조네에 의해 그려진 적이 있었다고 한다. 이는 당시 베네치아 에서 유행하던 주제로서, 티치아노는 나무에 가려진 달을 정면에 배치하였다. 뒤쪽에서 비치는 빛으로 인해 언뜻 무섭게 보이는 나무의 실루엣은, 화면 전체를 비슷한 크기의 삼각형으로 나누는 대각선을 수직으로 가로지른다. 늙은 고행자의 건장한 체격에 두드러진 근육은 낯설어 보이기도 한다. 바위 위의 추기경 모자는 기독교 교회의 교부였던 성 제롬의 길고 험난한 종교적 여정을 알려준다.
|
'美學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松下吹笙 / 단원 김홍도 (0) | 2013.08.29 |
---|---|
조화와 균형 - 16세기 이탈리아 르네상스 미술 (0) | 2013.08.28 |
삼미신(三美神) / 루벤스 - 제민일보 기사 (0) | 2013.08.28 |
역사상 가장 부유했던 화가, 루 페테르 파울 루벤스 (0) | 2013.08.28 |
퐁피두미술관에서 만난 소녀 /김복동 (0) | 2013.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