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8. 29. 09:26ㆍ美學 이야기
“단원은 어릴 적부터 그림을 공부하여 못 하는 것이 없었다. 인물, 산수, 신선, 불화, 꽃과 과일, 새와 벌레, 물고기와 게 등에 이르기까지 모두 묘품(妙品)에 해당되어 옛사람과 비교할지라도 그와 대항할 사람이 거의 없었다. 특히 신선과 화조를 잘하여 그것만 가지고도 한 세대를 울리며 후대에까지 전하기에 충분했다. 또 우리나라 인물과 풍속을 잘 그려내어 공부하는 선비, 시장에 가는 장사꾼, 나그네, 규방, 농부, 누에 치는 여자, 이중으로 된 가옥, 겹으로 난 문, 거친 산, 들의 나무 등에 이르기까지 그 형태를 꼭 닮게 그려서 모양이 틀리는 것이 없으니 옛적에는 이런 솜씨는 없었다. 그림 그리는 사람은 대체로 천과 종이에 그려진 것을 보고 배우고 익혀서 공력을 쌓아야 비로소 비슷하게 할 수 있는데, 단원은 독창적으로 스스로 알아내어 교묘하게 자연의 조화를 빼앗을 수 있는 데까지 이르렀으니, 이는 천부적인 소질이 보통 사람보다 훨씬 뛰어나지 않고서는 될 수 없는 일이다.” 단원 김홍도의 스승이었던 강세황의 글이다.
강세황에게 그림을 배우다
스무 살 무렵 이미 당대 최고의 실력을 인정받다
정조의 총애를 받고 현감의 자리에 오르기도
아름다운 풍채가 신선 같았다
관련링크 : 단원 김홍도의 주요 작품 보기
|
다음지식 미드사랑 님의 글에서
'美學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림트의 자연인물화 (0) | 2013.09.20 |
---|---|
조선시대 호생관 최북의 야성적 필치의 그림읽기 外/ 향리어귀 님의 글 (0) | 2013.09.16 |
옛 그림, 그림만 보면 50점 / 인터파크 도서 광고 (0) | 2013.08.29 |
松下吹笙 / 단원 김홍도 (0) | 2013.08.29 |
조화와 균형 - 16세기 이탈리아 르네상스 미술 (0) | 2013.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