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學 이야기(926)
-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30> 무량사 극락전과 제우스 신전의 ‘공포’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30> 무량사 극락전과 제우스 신전의 ‘공포’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동서양 건축의 꽃 ‘공포’… 만물의 탄생 상징 용·제우스 오롯이… 그 웅장함에 흠뻑 빠지네 입력 : 2015-09-04 00:04 | 수정 : 2015-09-16 16:00 한국의 목조 건물은 1308년 창건..
2016.01.24 -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29>파리 노트르담성당의 무량보주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29>파리 노트르담성당의 무량보주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세계 곳곳의 국화·연꽃 조형 동서양 보편적 상징의 표현 입력 : 2015-08-27 18:00 | 수정 : 2015-09-16 16:03 서양 미술에는 로제트(rosette)라는 국화같이 생긴 조형이 있다. 문양집에는 ‘장미..
2016.01.24 -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28> 루브르 박물관의 만병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28> 루브르 박물관의 만병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서양의 만병은 동양의 용…만물의 화생을 담고 있어 입력 : 2015-08-20 23:54 | 수정 : 2015-09-16 16:06 조형언어에 대해 이제 말할 때가 됐다. 조형언어는 문자언어에 대응하는 용어다. 문자언어는 ..
2016.01.24 -
한국화 화가의 분류
한국화 화가의 분류 [화가의 분류 1] 화원화가 화원 화가란, 국가나 왕실에서 필요로 한 그림을 그리기 위해 고용한 화가를 말합니다. 조선 시대에는 예조 산하에 이러한 그림을 전문적으로 그리는 도화서(초기에는 도화원)가 설치되어 직제상 종6품에서 종9품까지의 화가 5명이 배속되어 ..
2016.01.23 -
[화가의 분류 7] 승려화가
[화가의 분류 7] 승려화가 승려 가운데 절에 필요한 불화나 장식 그림을 전문적으로 그리는 사람을 일컫는 말은 많이 있는데 대개 불화사(佛畵師) 또는 금어(金魚)라고 합니다. 금어라는 말은 불화에 적힌 화기(畵記)에서 종종 확인할 수 있는데,이들에 대한 존칭으로 파악됩니다. 조선시..
2016.01.23 -
[화가의 분류 6] 여류화가
[화가의 분류 6] 여류화가 딱히 분류라고 하기는 뭣하지만, 여자들의 대외활동에 제약이 많았던 조선 시대에도 드물지만 그림을 잘 그린 여류화가가 알려져 있습니다. 신사임당(1504-1551) <초충도> 대표적인 여류화가로 율곡 이이의 모친인 사임당 신씨를 꼽을 수 있겠습니다. 오세창의..
2016.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