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學 이야기(926)
-
[화파 8] 중국과 조선후기의 남종화풍
[화파 8] 중국과 조선후기의 남종화풍 남종화풍 南宗畵風 남종화에 보이는 특징적인 화풍 전반을 남종화풍이라고 부릅니다. 동기창이 남북이종론(南北二宗論)을 주장하면서 당대에서 원말까지의 남종화 계보는 거론했지만 화풍상의 특징을 지적해 설명한 적은 없습니다. 그 때문인지 이..
2016.01.20 -
[화파 7] 명대 남종화
[화파 7] 명대 남종화 중국에 남종화와 북종화의 두 계보가 있음이 사실화되던 때는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초반에 걸친 명나라 말기입니다. 이때 이 주장의 중심에 있던 인물들이 강남의 송강(松江), 화정(華亭)을 중심으로 활동한 화가인 동기창(董其昌), 막시룡(莫是龍), 진계유(陳繼儒)..
2016.01.20 -
흙으로 빚은 작은 인물상이 말해주는 古代의 交流 - <백제 정림사와 북위 영녕사> 전
흙으로 빚은 작은 인물상이 말해주는 古代의 交流 - <백제 정림사와 북위 영녕사> 전 전 시 명 : 2015 뤄양박물관 문물교류전 - 백제 정림사와 북위 영녕사 전시기간 : 2015.11.24.-2016.1.24. 전시장소 : 국립부여박물관 한반도를 지리적 배경으로 하는 한국은 크게 보아 중화 문화권에 속한다..
2016.01.20 -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27) 고려 은제 광명대의 보주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27) 고려 은제 광명대의 보주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장엄한 영기문 뿜어내는 ‘대지의 정령’ 입력 : 2015-08-13 23:32 | 수정 : 2015-09-16 16:06 보주를 통해서 비로소 연꽃과 만나는 감격을 누릴 수 있었다. 연꽃에서 양쪽으로 발산하는 조형은 수없이 ..
2016.01.20 -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26>독일에서 찾은 용의 기운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26>독일에서 찾은 용의 기운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여래 감싸던 무량보주 성모 마리아도 감싸다 입력 : 2015-07-31 00:10 | 수정 : 2015-09-16 16:07 "용의 입에서 무엇이 나오는가’라는 물음을 보주에도 다시 던진다. 조각 작품에서는 보주를 보석으..
2016.01.20 -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25) 용, 연꽃과 만나다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25) 용, 연꽃과 만나다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용의 보주가 연꽃 중앙에… “영기문 무량 발산하는 영기꽃 상징” 입력 : 2015-07-23 17:46 | 수정 : 2015-09-16 16:08 사람들은 어려운 내용을 짧은 글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주기를 바란다. 인류가 종교..
2016.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