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學 이야기(926)
-
[붓과 먹 쓰는 법 7] 비백(飛白)
[붓과 먹 쓰는 법 7] 비백(飛白) 비백(飛白) 비백은 원래 한자 서예에서 쓰는 용어입니다. 예서 등을 쓸 때 필획 속에 스치듯이 비치는 기교의 수법을 말하는 것으로, 후한(後漢)의 채옹(蔡邕)이라는 사람이 다른 이가 솔로 글자를 쓰고 있는 것을 보고 고안했다고 합니다. 심사정 <매월만..
2016.01.12 -
[붓과 먹 쓰는 법 6] 갈필(渴筆)
[붓과 먹 쓰는 법 6] 갈필(渴筆) 갈필(渴筆) 수묵화에서 개발된 기법의 하나로 이때의 갈은 목마를 갈(渴)자입니다. 물기가 거의 없는 붓을 사용해 마르고 거친 느낌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먹물이 흥건한 데서 오는 윤택한 느낌과는 정반대의 효과를 내는 것입니다. 이 갈필은 원 말기의 ..
2016.01.12 -
[붓과 먹 쓰는 법 5] 백묘(白描)
[붓과 먹 쓰는 법 5] 백묘(白描) 백묘 (白描) 고대의 선으로만 그린 그림인 "백화(白畵)"의 기법을 수묵화에 끌어들인 표현법이 "백묘"입니다. 색채를 일체 사용하지 않고 먹선으로만 윤곽을 그려 표현한 것을 말합니다. 이공린(李公麟), <산장도(山莊圖)> 부분, 북송, 두루마리에 수묵, 28..
2016.01.12 -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15> 철화백자 ‘바보 용’ 항아리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15> 철화백자 ‘바보 용’ 항아리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편견 벗은 龍 입력 : 2015-04-23 17:50 | 수정 : 2015-04-24 09:03 조선시대 철화백자 항아리와 청화백자 항아리 가운데는 중앙에서 파견된 화원(畵員)이 관요(官窯)에서 18세기에 그렸음 직한 ..
2016.01.12 -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14>당진 농기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14>당진 농기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역동적 위용 간직한 ‘마을의 상징’ 입력 : 2015-04-16 17:50 | 수정 : 2015-04-24 09:02 농기(農旗)란 농촌에서 한 마을을 대표하고 상징하는 깃발이다. 풍년을 빌기 위해 동제를 지내거나 두레 때 마을의 상징으..
2016.01.12 -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13> 마왕퇴 출토 비단 자수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13> 마왕퇴 출토 비단 자수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네 마리의 용, 한 마리 용으로 날다 입력 : 2015-04-09 17:52 | 수정 : 2015-04-10 14:26 마왕퇴 무덤에서 비단에 무엇인지 알아볼 수 없는 무늬의 자수를 놓은 단편이 출토되었다. 이 무덤이 BC 186년에 ..
2016.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