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學 이야기(926)
-
[붓과 먹 쓰는 법 2] 선염(渲染)
[붓과 먹 쓰는 법 2] 선염(渲染) 선염(渲染)은 수묵 표현의 한 방법으로 담묵이나 옅은 색채를 점차 엷게 칠하거나 점차 짙게 칠하는 등 점층적으로 사용하는 표현법을 가리킵니다. 영어의 그라데이션(gradation)과 의미가 같습니다. 선염에서 먹의 농도에 따른 짙고 옅어지는 효과를 통해 원..
2016.01.11 -
[붓과 먹 쓰는 법 1] 초묵, 농묵, 담묵
[붓과 먹 쓰는 법 1] 초묵, 농묵, 담묵 용필법과 용묵법 당나라 이후 수묵은 채색에 이어 동양화의 주요 재료로 등장합니다. 하지만 먹 한 가지로 평면상에 입체감을 나타내는 데에는 처음부터 많은 제약이 있었죠. 이 같은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오랜 세월동안 수묵화 기법이 개발되고 발..
2016.01.11 -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8) 송광사 관음전의 포벽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8) 송광사 관음전의 포벽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포벽에 龍 영기문… 영기 드나들어 법당이 곧 대우주 상징 입력 : 2015-03-05 23:52 | 수정 : 2015-03-12 18:42 관음전은 관음보살을 모시는 법당이다. 정면의 현판에 쓴 ‘觀音殿’(관음전)은 그 현판 자체..
2016.01.10 -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7) 淸 채색화 용 그림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7) 淸 채색화 용 그림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제1영기싹이 잇따라 이어진 게 용의 몸 입력 : 2015-02-26 18:10 | 수정 : 2015-02-27 09:56 우리는 우선 용의 모양이 얼마나 다양하게 표현돼 왔는지 살피고 있다. 중국이나 한국은 한(漢)시대 이래 당(唐)시대..
2016.01.10 -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6> 고려시대 ‘용 은입사 관불반’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 2015.08.01 13:42 http://blog.daum.net/ilhyangacademy/627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6> 고려시대 ‘용 은입사 관불반’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좌우로 회전하는 ‘두 분의 용’ 우주 생명의 대순환을 담다 국립전주박물관에는 고려시대 ‘용 은입사 관불반(..
2016.01.10 -
[서화 기초 9] 니금(泥金) 산수
[서화 기초 9] 니금(泥金) 산수 금분을 아교풀에 갠 것을 금니(金泥)라고 합니다. '금'은 금 금(金)자이고 '니'는 진흙 니(泥)자 입니다. 금니를 안료처럼 사용하여 그린 산수화를 "니금(泥金)산수화" 라고 합니다. 금분을 아교에 섞어 안료로 사용하는 것을 가리켜 중국에서는 니금, 일본에서..
2016.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