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學 이야기(926)
-
조정육의 그림 스님에 빠지다 6. 전(傳) 왕유, ‘복생수경도’
조정육의 그림 스님에 빠지다 6. 전(傳) 왕유, ‘복생수경도’| ******불교미술종합 고집통 | 2015.02.15. 06:22 6. 전(傳) 왕유, ‘복생수경도’ 위대한 가르침은 전등(傳燈)의 위대한 역사로 완성된다 ▲ 전(傳) 왕유, ‘복생수경도’, 중국 당, 비단에 연한 색, 25.5×45.5cm, 오사카 시립미술관. “..
2016.02.19 -
조정육의 그림 스님에 빠지다 5. 서위, ‘묵포도도’
조정육의 그림 스님에 빠지다 5. 서위, ‘묵포도도’| ******불교미술종합 고집통 | 2015.02.13. 06:31 //<![CDATA[ document.write(removeRestrictTag()); //]]> 5. 서위, ‘묵포도도’ “죄업을 녹이려면 사명감의 대지 위에 실천의 탑을 쌓아라” ▲ 서위, ‘묵포도도’, 중국 명, 종이에 먹, 166.3×64.5cm, 대..
2016.02.19 -
조정육의 그림 스님에 빠지다 4. 마화지, ‘고목유천도’
조정육의 그림 스님에 빠지다 4. 마화지, ‘고목유천도’| ******불교미술종합 고집통 | 2015.01.30. 07:08 .bbs_contents p{margin:0px;} 4. 마화지, ‘고목유천도’ “하늘은 텅 비어있되 빈 것이 아니다” ▲ 마화지, ‘고목유천도’, 중국 남송, 종이에 먹, 30×48.7cm, 대북 고궁박물원. “지금 내 병이 ..
2016.02.19 -
김대환의 文響 - 24 백자금채 매죽무늬 병(白磁金彩梅竹文小甁)
넓은 굽과 안정적 몸체가 조화로운 조선시대 畵金白磁를 만나다 김대환의 文響 - 24 백자금채 매죽무늬 병(白磁金彩梅竹文小甁) 2016년 02월 17일 (수) 11:30:48김대환 문화재평론가 editor@kyosu.net ▲ 사진3 백자금채매죽문소병(매화) 1990년대 필자는 국내 최초로 전남 강진군 계율리의 논둑에서 ..
2016.02.19 -
[중국회화사] 산수화와 기운생동 8/17/10
작성일 : 10-08-21 20:09 산수화와 기운생동 8/17/10 글쓴이 : 뽕킴 조회 : 3,981 중국회화사 2nd hour : Landscape Painting and the Life of the Spirit 산수화와 기운생동 삼국시대의 위, 촉, 오 나라가 망한 후, 위나라를 떠맡고 서진(265-316)이 섰지만, 외세 흉노족을 끌여들여 망한다. 명맥을 유지한 남은 왕족이..
2016.02.18 -
書畵|촌정필담 <추사의 부작란과 세한도는 書인가. 畵인가, 書畵인가?>
書畵|촌정필담 촌정 | 2015.03.15. 07:18 http://cafe.daum.net/callipia/WeNk/25 //<![CDATA[ document.write(removeRestrictTag()); //]]> <추사의 부작란과 세한도는 書인가. 畵인가, 書畵인가?> 중국 회화의 뿌리는 암각화이다. 암각화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그림이 문자의 역할을 함으로 감상하는 것이 아니..
2016.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