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BigCrunch가 높은 10대 우주사진

2014. 4. 9. 07:39별 이야기

 

 

 

                                          2013년 10대 우주사진

 

      

 

 

 

 

10위 : 소행성 베스타의 지질학적 특성

 

 

2011년 7월부터 2012년 9월까지 Dawn 우주선은 소행성 베스타를 탐사한 바 있습니다.

독일 막스클랑크 연구소에서는 이 탐사 자료에 서로 다른 파장과 각도로 빛을 반사해내는 광물의 특성을 이용하여, 각 광물에 서로 다른 색체를 부여하였으며 그 결과 지질학적 연구에도 유용할 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도 매우 아름다운 사진을 만들어냈습니다.

출   처 : NASA Solar System Exploration 2013년 12월 16일 News Release
            http://solarsystem.nasa.gov/news/display.cfm?News_ID=45871
포스팅 :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66


 

 

9위 : NGC 6334 : APEX에 탑재된 강력한 망원경이 감지한 첫번째 빛

 

칠레 아타카마 사막 고지대에 위치한 12미터 구경의 망원경인 APEX((the Atacama Pathfinder Experiment)에
새로운 광대역 서브밀리미터 파장 카메라인 ArTeMiS를 부착한 이후 처음 촬영한 NGC 6334의 모습입니다.
이 장비의 부착으로 APEX는 하늘의 광대역 지도를 보다 빨리 그리고 보다 세세하게 그려낼 수 있게 되었다.

출   처 : 유럽 남반구 천문대(European Southern Observatory) Press Release  2013년 9월 25일자
             http://www.eso.org/public/news/eso1341/
포스팅 :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836


 

 

8위 : 고리성운(M57)의 구조를 추적하다.

 

NASA허블 우주망원경에 의해 취득된 가시광선 데이터와 아리조나 주에 위치한 대형 쌍안경으로부터 취득한 적외선 데이터로 조합해낸
유명한 행성상 성운인 고리성운(the Ring Nebula)의 드라마틱한 모습입니다.
천문학자들은 허블 우주망원경의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고리 성운의 3차원 구조를 분석해낼 수 있었습니다.
출   처 : 허블사이트 2013년 5월 23일 발표 뉴스
             http://hubblesite.org/newscenter/archive/releases/2013/13/
포스팅 :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622   


 

 

7위 : 호주에서 촬영된 금환일식

 

2013년 5월 10일 아침, 호주 코엔에서 한 인터넷 방송팀이 촬영한 금환일식 장면입니다.

일식 장면은 언제나 영감어린 사진을 만들어내곤 합니다만, 이 사진은 특별히 몽환적 느낌을 주는 아름다운 사진입니다.

출   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5월 11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511.html
포스팅 :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590        


 

 

6위 : 허블 우주망원경 발사 23주년 기념 릴리즈 - 적외선으로 촬영한 말머리 성운

 

NASA의 허블 사이트에서 매해 4월 19일에 발표하는 허블 발사 기념 뉴스는 항상 멋진 사진으로 네티즌들을 감동시킵니다.
허블 발사 23주년이 되는 올해에는 대중적으로 가장 유명한 암흑성운이기도 한 말머리 성운의 선명하고 입체적인 모습이 발표되었습니다.
출   처 : 허블사이트 2013년 4월 19일 발표 뉴스
             http://hubblesite.org/newscenter/archive/releases/2013/12/
포스팅 :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550


 

 

5위 : 독일에서 촬영된 판스타스 혜성

 

 

연초의 판스타스 혜성부터 연말 아이손 헤성까지, 올해는 다양한 혜성들이 지구를 방문한 해이기도 합니다.          
사진은 독일 슈트트가르트로부터 80킬로미터 떨어진 지역에서 호엔촐레른 성을 바라보며 촬영된 것으로,

마치 동화속 한 장면을 보는 듯한 멋진 광경이 연출되었습니다.

출   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3월 22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322.html
포스팅 :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515

 


 

4위 : 오리온 성운의 총알들

 

거대한 질량의 별로부터 쏟아져나온 별폭풍이 마치 총알처럼 주변의 성간먼지를 뚫고 나가는 인상적인 장면을 포착한 사진입니다.
파란색으로 보이는 고온의 가스구름은 사실 그 지름이 명왕성 공전 궤도의 10배에 이르며, 꼬깔처럼 보이는 구조 전체의 길이는 평균 5광년에 육박하는

어마어마한 크기입니다.

출   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월 10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110.html        
포스팅 :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412


 

 

3위 : 아타카마의 구름낀 밤하늘

 

 

지구상 한다하는 나라들의 천문대가 몰려 있는 지구에서 가장 건조한 지역 칠레 아타카마 사막.
이곳에도 간혹 폭풍구름이 몰려옵니다.
그리고 그 폭풍 구름들 사이로 마치 신들이 지구를 내려다보는듯이 우리 은하수가 지구를 내려다보는 환상적인 모습이 포착되었습니다.
출   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7월 27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727.html
포스팅 :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736   


 

 

2위 : 전파망원경으로 잡아낸 보이저 1호의 모습

 

 

2012년 8월 보이저 1호는 인간이 만든 우주선으로서는 최초로 성간 우주에 진입하였으며
NASA는 올해 9월 보이저 1호가 성간 우주에 진입하였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보이저 호는 너무나 멀리 떨어져 있어 더 이상 어떤 장비로도 가시광선 사진은 촬영할 수 없는 상태입니다.
이 사진은 8천 킬로미터 폭의 VLBA 전파 망원경 배열(Very Long Baseline Array)을 이용하여 라디오파로 포착한 보이저 1호의 모습이며
이 때 보이저 1호는 지구로부터 185억 킬로미터 거리에 위치하고 있었습니다.

출처 :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Jet Propulsion Laboratory) Photo Journal
         http://photojournal.jpl.nasa.gov/catalog/PIA17047
포스팅 :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817


 

 

1위 : 은하 중심을 향해 발사되고 있는 레이저

 

칠레 케로 파라날 천문대에 있는  ESO의 VLT 에서 우주 공간으로 쏘아올리는 레이저의 모습입니다.
이 레이저는 대기의 어른거리는 정도를 파악하여 이 정보를 망원경에 되돌려 주고, VLT는 화상에 대기의 어른거리는 정도를 역산하여

대기의 간섭이 최소화된 영상을 만들어냅니다.
인간의 기술진보와 함께 우주를 향한 인류의 도전과 열망을 상징하는 멋진 사진으로 이 사진을 2014년 최고의 사진으로 선정합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2월 1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201.html
포스팅 :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23        


 

 

2013년 올해에는 정말 아름다운 천체사진들이 많았던것 같습니다.

그저 제 느낌대로 뽑는 10대 사진임에도 단 열장을 골라내는데 꽤 애를 먹었답니다.

 

2013년 BigCrunch 블로그를 사랑해 주신 여러분들께 감사드립니다.
2014년에도 꾸준한 모습으로 찾아뵙겠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다음 블로그 <BigCrunch> BigCrunch 님의 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