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5. 18. 09:36ㆍ茶詩
復 用 前 韻 贈 之
다시 앞의 운을 서서 글을 적어 보내다
서북녘 추위에 손가락이 떨어지려 하는데, 西北寒威方墮指
남녘에서는 섣달에도 봄날씨 같구나. 南方臘月如春氣
금빛 좁쌀눈은 가지에 실매듭 처럼 맺혔는 데, 金粟점枝巳結뢰 점 : 차질 점 뢰 : 실마디 뢰(뇌)
같은 하늘 아래 각지의 기후는 다르네. 均天所履地各異
註) 금빛 좁쌀눈(金粟)은 소동파의 한시 <여枝嘆>에서 나오는 좁쌀알 싹(粟粒芽)을 가리킨다.
孫玉堂得之 李史館允甫 王史館崇 金內翰轍 吳史館柱卿 見和 復次韻答之
옥당 손득지 사관 이유보 사관 왕 숭 내한 김 철 사관 오주경의 화답을 보고 다시 운을 이어서 화답하다
강남의 눈을 무릅쓰고 거두지 않으면 不是江南冒雪收
이월까지 서울에 어찌 보내랴 京華二月何能致
孫翰長復和 次韻奇之
손한장이 다시 화답하기에 운을 이어서 붙이다
하여서 화걔에서 차따는 때를 논한다면 因論花溪採茶時
관청에서 노인과 어린이 막론하고 집일꾼들을 감독하고 官督家丁無老稚
장기어린 고개마루에서 천금같이 귀중한 찻잎을 따서 장嶺千重眩手收
풍토병 장 : 병부질 안+章
머나먼 서을에 헐벗은 어깨로 짐을져서 보냈다네. 王京萬里적肩致
붉은빛 정 : 赤+貞
'茶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속초 영랑호 제영시의 서정성 고찰 / 속초문화원 <속초문화> (0) | 2013.10.18 |
---|---|
閒坐 / 橘山 李裕元 外 (0) | 2013.08.26 |
新夏 / 文徵明(1470~1559) , 明나라, 서화가,문인 (0) | 2013.07.14 |
막 운 ( 寞 云 ) / 성 종 대 왕 (0) | 2013.05.20 |
雲峰住老珪禪師 得早芽茶示之 予目爲孺茶 師請詩爲賦之 (0) | 2013.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