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 운 ( 寞 云 ) / 성 종 대 왕

2013. 5. 20. 22:55茶詩

 

 

 

 

                         막    운 ( 寞 云 )

 

                                                    成     宗 (1457~1494)   李   헐

 

       

                                ㅡ  고요한 다실에서 왕후와 함께 차를 마시면서 ㅡ

 

 

      색비이화미칙가      色比梨花味則加       찻빛은 배꽃을 닮았지만 맛은 더욱 뛰어나고

 

      과후추정옥천사      過喉秋井玉泉斜       가을 샘물을 마시나니 맑은 샘이 기운 듯 하네.

 

      송요미가동조환      松요未可同朝喚       동기간 아침에 불러 송엽주 마시기에는 마땅치 아니하고                                                                                

              술 요 : 酉+불화변 뺀 燿

     죽엽나감일가차      竹葉那堪一가嗟       죽엽주를 옥잔에 마셔 보아도 절로 탄식만 나오는구나.

              옥잔 가 : 2口+민갓머리+斗

     

 

      청복경연선손치      淸馥更憐先손齒       맑은 향기 안타깝게 여겨  이빨에 먼저 굴려 보니

                  물뿜을 손 : 口+巽

      연자수식욕경사      軟姿誰識欲傾紗       비단결 같이 부드러운 자태 그 누가 알리요.

 

      상여한불지위조      相如恨不知爲早       서로 함께 뉘우치나 아직 이르다는 것 아지 못하고

 

      다음환청승작차      多飮還淸勝雀茶       작설차를 많이 마셔 맑은 마음 되돌려 보려 하네.

         

 

 

 

 

  작  약    /      창덕궁 낙선재 후원 화계에서

 

 

 

 

  작약과 괴석  ㅡ  괴석 받침돌에는 삼신산을 상징하는 소영주라는 글짜를 새김                            2013.5.17.   부처님 오신 날에

 

 

 

          

 창덕궁 희정당(熙政堂)  ㅡ  희정당은 원래 침전으로 쓰이다가 소실되어 연산군 2년(1496년)에 복원하면서 당초 이름인 숭문당을 희정당으로 바꾼다.

                                    옆에 보이는 청기와  건물인 선정전이 비좁아지자 왕의 집무실로 바뀐다.  왕비의 처소인 대조전(大造殿)이 바로 뒤에 있다.

                                    다시 1917년 화재로 소실되자 1920년에 경복궁의 강년전을 이전해서  중건하여 지금에 이르며, 현재 보물 제815호로 지정되어

                                    있다.   성종대왕이 위의 詩를 쓰실 때의 침소가 희정당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