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연종법요(蓮宗集要)』 제 5장 연종의 염불방법 - 4. 정행염불(正行念佛) - (11) 관상염불(觀想念佛)하는 법(法)
2014. 8. 4. 09:50ㆍ경전 이야기
홍인표 저 / 경서원에서 1983년『정토로 가는 길-蓮宗輯要-』
제 5장 연종(蓮宗)의 염불방법(念佛方法)
4. 정행염불(正行念佛)
(11) 관상염불(觀想念佛)하는 법(法)
관상염불(觀想念佛)은 행자(行者)가 먼저 서향(西向)하여
결가부좌(結跏趺坐)또는 반가부좌(半跏趺坐)하고,
아미타불의 수인(手印)을 맺은 뒤에
부처님의 몸빛이 진금색(眞金色)으로 되신 일장육척(一丈六尺)의 불상(佛像)이
칠보(七寶)로 된 연못 위에 서 계시거나 앉아 계신 것을 관념(觀念)하며,
또 삼십이상(三十二相)을 한 상(相)씩 낱낱이 관념하거나
혹은 미간(眉間) 백호상(白毫相)만 관념하는데,
이 백호상을 관념하는 것이 오래 되어서 숙습(宿習)하면
자연히 감응(感應)되어 삼십이상(三十二相) 즉, 부처님의 진금색 전신을
뵈올 수 있다 한다.
삼십이상(三十二相)을 관념하는 법은
삼십이상(三十二相) 중의 발바닥이 편평하게 찬
족하평만상(足下平滿相)에서부터 관념을 비롯하여 거슬러 올라가며,
한 상(相)씩 관념하여 정계육골상(頂髻肉骨相)에까지 이르고,
다시 정계육골상에서부터 순(順)으로 내려오면서
한 상씩 관념하여 족하평만상까지 이르되
조금도 다른 관념이 없이 똑똑하게 관념하는 것이다.
미간 백호상을 관념하는 법은
부처님의 눈썹 사이에 위로 향하여 흰 털 하나가 있는 것을
미간 백호상이라 하니
빛깔이 선명하고 희며 광채가 있고 맑기가 백설(白雪)보다 더 희며
부드럽기가 도라면(兜羅綿)과 같고 여덟모가 졌으며,
가운데가 비고 주위가 다섯 치[五寸] 이며,
잡아당기면 길이가 일장오척(一丈五尺)이요,
놓으면 오른 편으로 다섯 번 비틀려서 유리통(瑠璃筒)과 같이 된다고 한다.
이 상(相)을 관념하는 법도 32상을 관념함과 같이
조금도 다른 잡념이 없이 명확하고 똑똑하게 관념하는 것이다.
《註》
-. 결가부좌(結跏趺坐)
불타(佛陀)의 좌법(坐法)의 하나다.
전가부좌(全跏趺坐), 본가부좌(本跏趺坐),
전가부(全跏趺), 전가좌(全跏坐)라고도 한다.
먼저 오른쪽 다리를 구부려 오른발을 왼쪽 넓적다리 위에 올려놓고
다음에 왼쪽 다리를 구부려 왼발을 오른쪽 넓적다리 위에 올려놓고,
손은 왼손 등을 오른 손바닥 위에 놓고 앉는 법이다.
이 좌법을 여래좌(如來坐)라 한다.
-. 반가부좌(半跏趺坐)
반가부(반가부(半跏趺), 반가좌(半跏坐)라고도 한다.
왼쪽 다리를 구부려 오른쪽 넓적다리 위에 얹고 앉거나
혹은 오른쪽 다리를 구부려 왼쪽 넓적다리 위에 놓고 앉는 자세를 말한다.
전가부좌를 여래좌라 함에 대하여 이는 보살좌(菩薩坐)라 한다.
-. 숙습(宿習)
익숙하여 몸에 배임을 말한다.
-. 감응(感應)
중생의 감(感)과 부처님의 응(應)이 서로 통하여 하나가 됨을 말함이니
불심(佛心)이 중생의 마음 가운데에 들어가고
중생이 이를 느끼는 것을 말한다.
-. 정계육골상(頂髻肉骨相)
정상육계상(頂上肉髻相)이라고도 한다.
부처님의 정수리에 솟은 상투 모양의 살덩이를 말한다.
-. 도라면(兜羅綿)
도라면(堵羅綿), 두라면(蠹羅綿), 투라면(妬羅綿)이라고도 한다.
세면(細綿)이라 번역한다.
도라(兜羅)는 범어 tula의 음역이다.
백양수(白楊樹)나 양류 등 초목(草木)의 화서(花絮 꽃솜)니
도라라는 부드러운 꽃솜으로 만든 솜이다.
먼저 오른쪽 다리를 구부려 오른발을 왼쪽 넓적다리 위에 올려놓고
다음에 왼쪽 다리를 구부려 왼발을 오른쪽 넓적다리 위에 올려놓고,
손은 왼손 등을 오른 손바닥 위에 놓고 앉는 법이다.
이 좌법을 여래좌(如來坐)라 한다.
-. 반가부좌(半跏趺坐)
반가부(반가부(半跏趺), 반가좌(半跏坐)라고도 한다.
왼쪽 다리를 구부려 오른쪽 넓적다리 위에 얹고 앉거나
혹은 오른쪽 다리를 구부려 왼쪽 넓적다리 위에 놓고 앉는 자세를 말한다.
전가부좌를 여래좌라 함에 대하여 이는 보살좌(菩薩坐)라 한다.
-. 숙습(宿習)
익숙하여 몸에 배임을 말한다.
-. 감응(感應)
중생의 감(感)과 부처님의 응(應)이 서로 통하여 하나가 됨을 말함이니
불심(佛心)이 중생의 마음 가운데에 들어가고
중생이 이를 느끼는 것을 말한다.
-. 정계육골상(頂髻肉骨相)
정상육계상(頂上肉髻相)이라고도 한다.
부처님의 정수리에 솟은 상투 모양의 살덩이를 말한다.
-. 도라면(兜羅綿)
도라면(堵羅綿), 두라면(蠹羅綿), 투라면(妬羅綿)이라고도 한다.
세면(細綿)이라 번역한다.
도라(兜羅)는 범어 tula의 음역이다.
백양수(白楊樹)나 양류 등 초목(草木)의 화서(花絮 꽃솜)니
도라라는 부드러운 꽃솜으로 만든 솜이다.
출처 : 미주현대불교
글쓴이 : 염화미소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