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부임(赴任) 제3조 사조(辭朝) 전관(銓官)에게 들러 하직 인사를 할 때에 감사하다는 말을 해서는 안 된다.

2016. 3. 2. 16:10다산의 향기



       [12] 부임(赴任) 제3조 사조(辭朝) 전관(銓官)에게 들러 하직 인사를 할 때에

감사하다는 말을 해서는 안 된다. 목민심서 / 일표이서

2015.02.03. 17:32

           http://sambolove.blog.me/220261659156

번역하기 전용뷰어 보기




   전관(銓官)은 국가를 위하여 사람을 뽑아 썼으니 사은(私恩)을 끌어대서는 안 될 것이요, 수령은 자격에 따라 관직을 얻었으니 사은으로 마음속에 품어서는 안 된다. 한자리에서 상대하더라도 말이 주의(注擬)에 미쳐서는 안 될 것이니, 전관이 만약 스스로 그 말을 꺼내거든 다만,

“명공(明公)이 변변치 못한 사람을 잘못 천거하셨습니다. 일을 그르쳐 훗날에 명공께 누를 끼칠까 매우 두렵습니다.”

하고 대답할 것이다.
지금 무신으로서 수령이 되어 나가는 자는 전관의 집을 두루 돌아 하직할 때에 반드시 바라는 바가 무엇인가를 묻고, 전관이 짐짓 하찮은 물건을 구하는 척하면 수령은 다시 후한 것으로써 바치기를 청하며, 그가 부임하게 되면 공공연히 뇌물을 실어다 바치는 것을 당연한 일로 여기니, 염치의 도(道)가 없어짐이 곧 이에 이르렀다. 선배들에게는 이러한 풍습이 없었다.
참의(參議) 김변광(金汴光)이 전직 기랑(騎郞)으로서 물러나 시골에 궁하게 살면서 벼슬을 구하지 않았는데, 윤모(尹某)가 삼전(三銓)이 되자 그를 용강 현령(龍岡縣令)으로 차임(差任)하였다. 그 후에 윤씨가 딸의 혼인이 있자 말〔馬〕을 보내어 도움을 청하였다. 김변광이 답서를 보냈다.

“가난하면 서로 도와주는 것은 사람으로서 떳떳이 해야 할 일이나, 다만 혐의받을 만한 경우에는 군자로서 삼가야 할 것 같습니다. 제가 공(公)과는 전에는 서로 사귀던 사이가 아니었으며, 후에는 천거 발탁해 준 힘을 입었으니, 비록 명분 있는 선물이요 재물을 취하는 일이 아니겠지만, 모르는 자들은 반드시 말을 삼을 것입니다. 변변치 못한 이 사람이 수십 년 스스로 지켜온 바를 하루아침에 잃게 된다면, 어찌 청덕(淸德)에 누가 되고 아름다운 명예에 손상이 되지 않겠습니까? 심부름 온 사람을 헛되이 돌려 보내니, 도리어 부끄럽고 송구하기 그지없습니다.”

 

[주B-001]사조(辭朝) : 관원으로 임명된 자가 임금에게 하직 인사를 드리는 것이다.
[주D-001]주의(注擬) : 관원을 임명할 때, 먼저 문관은 이조, 무관은 병조에서 후보자를 정하여 임금에게 올리는 일을 가리킨다.


[주D-002]참의(參議) : 육조(六曹)의 정3품의 관직이다.
[주D-003]김변광(金汴光) : 1694~? 자는 경실(景實), 본관은 안동(安東)이다. 병조 정랑(兵曹正郞)을 거쳐 공조 참의에 이르렀다.


[주D-004]기랑(騎郞) : 병조(兵曹)의 낭관(郎官)이다. 병조의 별칭이 기조(騎曹)이다.
[주D-005]삼전(三銓) : 이조 참의(吏曹參議)의 별칭. 전조(銓曹)의 셋째 벼슬을 뜻한다. 이조에서 문관의 선임(選任)을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