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동서원 玉洞書院

2016. 3. 19. 15:39집짓기



       옥동서원 玉洞書院| 옥동서원

운영자 | 조회 117 |추천 0 | 2015.05.04. 14:21


● 옥동서원


  소 재 지: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 546

   ❏문화재지정: 경상북도기념물 제52(1984.12.29 지정)

   ❏배향인물: 황 희(黃 喜) 황효헌(黃孝獻) 전 식(全 湜) 황 뉴(黃 紐)

  ❏창건연도: 1518(중종 13)

  ❏사액연도: 1789(정조 13)

  ❏향 사 일: 3, 9월 초정(初丁)

 

 

   1518년(중종 13)에 예조참판과 강원도관찰사를 역임한 황맹헌(黃孟獻)과 홍문관수찬인 ·황효헌(黃孝獻) 형제가 모동면 수봉리 신덕촌에 방촌(尨村) 황희(黃喜)선생의 영정을 봉안하고 독서하던 백화서당 옥동서원의 모태이다.


   이후 1580년(선조 13)에 방촌 황희(黃喜)선생의 영당(影堂)을 건립하여 봄·가을에 향사(享祀)를 지내 왔다.

1714년(숙종 40)에 사서(沙西) 전식(全湜)을 추가 배향(配享)함과 동시에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으며,

1746년(영조 22)에 축옹(畜翁) 황효헌과 반간(槃澗) 황뉴(黃紐)를 추배하였다.

1789년에 ‘옥동(玉洞)’이라 사액(賜額)되어 선현 배향과 지방 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왔다.

이 서원은 1868년(고종 5) 대원군의 서원 철폐 때 훼철(毁撤)되지 않고 존속한 47개 서원 중의 하나이다.


   경내의 건물로는 3칸의 경덕사(景德祠), 5칸의 강당, 5칸의 문루(門樓), 3칸의 전사청(典祀廳), 고사(雇舍) 2동, 화직사(火直舍)·묘직사(廟直舍) 등과 부속건물로 팔각정이 있다. 묘우(廟宇)인 경덕사에는 4분이 모셔져 있는데 방촌 황희선생을 주벽(主壁)으로 좌우에 사서 전식 · 축옹 황효헌과 반간 황뉴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강당은 중앙의 마루와 양쪽 협실로 되어 있는데 남쪽은 착로재(露齋), 북쪽은 탁장재(琢章齋), 마루는 온휘당(蘊輝堂)이라 현액되어 있다. 강당은 유림의 회합 및 원내의 여러 행사와 학문강론 장소로 사용하고 있다.


   문루는 2층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아래층은 출입문으로 회보문(懷寶門)이라 현액되어 있고, 위층 남쪽은 진밀료(縝密寮), 북쪽은 윤택료(潤澤寮), 중간의 마루는 청월루(淸越樓)라 현액되어 특이한 건물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전사청은 향사 때 제수(祭需)를 장만해 두는 곳이며, 문루는 향사 때 유생들의 거처 및 행사의 모임 장소로 사용된다.

팔각정은 아래로 금강이 흐르는 산 끝에 자리잡고 있어 유생들의 휴식처 및 시(詩)·부(賦)를 읊는 곳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고사·화직사·묘직사는 각각 고직·화직·묘직이 서원을 관리하며 거처하는 곳이다.

이 서원은 경상북도 기념물 제52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매년 3월 상정(上丁:첫째번 丁日)과 9월 상정에 향사를 지내고 있다. 유물로는 황희의 영정 등이 있고, 소장 전적으로는 ≪갈천문집 葛川文集≫ 외 수백 권이 있다.

 

가) 경덕사(景德祠)



   경덕사는 옥동서원의 첫 번째 건물로, 방촌선생을 비롯한 사서 전식, 축옹 황효헌, 반간 황뉴선생의 위패를 봉안하였으며, 또한 방촌선생의 영정 모사본이 함께 모셔져 있다. 건립당시에 상량문은 창석 이준의 현손인 이증엽(李增曄)이 지었다.

건물의 규모는 전면 3칸 측면 1칸의 3량가 맛배 기와집으로 전면에 1칸 정도의 툇칸을 두었으며, 묘우내부는 우물마루를

시공하였다. 툇칸도 강회다짐으로 마감을 한 여타의 묘우와는 약간 다르다.

 


나) 내삼문(內三門) 


 

  묘정으로 들어가는 출입문으로 삼칸 솟을대문이다.


 

다)온휘당(蘊輝堂)


 


   옥동서원의 주된 건물로 정면 5칸 측면 3칸의 팔작기와지붕으로 가운데 3칸을 어칸으로 우물마루이며, 전면에는 어칸만

두리기둥이며, 반캄 정도의 툇칸을 두었다. 양쪽에는 온돌 통칸으로 북쪽 방은 탁장재(琢章齋), 남쪽 방은 착로재(斲露齋)

이며, 강당 상량문은 휘암 채팽윤(希菴 蔡彭胤)이 지었다.


 

라)청월루(淸越樓)





   청월루는 외삼문과 누정이 결합된 조선중후기 건축양식의 대표적인 건물이다.

누 아래는 삼칸의 문을 두어 외삼문의 기능을 하고 있으며, 문의 이름은 회보문(懷寶門)이며, 위층은 누정으로 중앙의 2칸은 어칸으로 우물마루이며 양옆에 온돌방을 시설하였다. 누의 사방에는 반칸의 툇칸을 시설하고 계자각 난간을 시설하였다.

온돌은 아래층에서 난방용 불을 지필 수 있도록 한 고상주택 양식을 취한 복합형 건물이다.

북쪽의 온돌은 윤택로(潤澤寮), 남쪽 온돌방은 진밀료(縝密寮)이며, 청월루의 상량문은 입재 정종로가 지었다.


 

마)전사청(典祀廳)


 

  서원 향사시 제물을 봉치하여 두는 건물로 묘우담장과 연하여 남향하고 있다. 정면 3칸 측면 1칸의 맛배지붕으로

  가운데는 우물대청마루이며 양협실은 온돌로 시설하였다.

 

바) 백옥정(白玉亭)

 

      서원에 부속된 건물로 서원옆의 옥봉 정상에 있는 팔각형 정자이다.

기둥은 모두 두리기둥으로 시설하였으며,

       지붕은 하나의 보를 가로질러 지붕을 시설하였다.

 

연 혁

   옥동서원은 1518(중종 13)에 황희(黃喜)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백화서원(白華書院)을 건립하면서 창건되었다. 1580(선조 13)에 영당(影堂)을 건립하여 향사(享祀)를 지내면서 서원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1714(숙종 40)에 전식(全湜)을 배향하였고, 1715(숙종 41)에 현재의 위치로 이건(移建)하였다.

1716(숙종 42)에 강당을 건립하였고, 1783(정조 7) 황효헌(黃孝獻)과 황뉴(黃紐)가 추가로 배향되었다. 1789(정조 13)에 사액되었으며, 1789(정조 13)에 청월루(淸越樓)를 건립하였다. 1987년 청월루를 보수하였고, 1991년 경덕사(景德祠)와 온휘당(蘊輝堂)을 보수하였다. 이 서원은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도 훼철(毁撤)되지 않은 47개 서원 중의 하나이다. 지금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해마다 3월과 9월 상정일(上丁日)에 향사를 지내고 있다.

 

배향인물

1)황희(黃喜, 1363~1452)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초명은 수로(壽老). 자는 구부(懼夫), 호는 방촌(厖村). 석부(石富)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균비(均庇)이고, 아버지는 자헌대부 판강릉대도호부사(資憲大夫判江陵大都護府使) 군서(君瑞)이며,

어머니는 김우(金祐)의 딸이다. 개성 가조리(可助里)에서 출생하였다.

1376(우왕 2) 음보로 복안궁녹사(福安宮錄事)가 되었다. 1383년 사마시, 1385년 진사시에 각각 합격하였다.

그리고 1389년에는 문과에 급제한 뒤, 1390(공양왕 2) 성균관학록에 제수되었다.


1392년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杜門洞)에 은거하였다. 그러다가 1394(태조 3) 조정의 요청과 두문동 동료들의 천거로

성균관학관으로 제수되면서 세자우정자(世子右正字)를 겸임하였다. 이후 직예문춘추관·감찰 등을 역임하였다.

1398년 문하부우습유(門下府右拾遺) 재직 중 언관으로서 사사로이 국사를 논의했다고 문책되어 경원교수(慶源敎授)

편출되었다가, 1398(정종 즉위년) 우습유로 소환되었다. 이듬 해 언사로 파직되었다가 그 해 2월경 문하부우보궐에

복직되었다.

그러나 또다시 언사로 파직되었으며, 곧 경기도도사(京畿道都事)를 거쳐 형조·예조·이조·병조의 정랑을 역임하였다.

 1401(태종 1)경 지신사(知申事) 박석명(朴錫命)이 태종에게 천거해 도평의사사경력(都評議使司經歷)에 발탁되었다.

그 뒤 병조의랑에 체직되었다가 1402년 아버지의 상으로 사직하였다. 그러나 그 해 겨울 군기(軍機)를 관장하는 승추부의

인물난으로 기복되어 대호군 겸 승추부경력에 제수되었다. 1404년 우사간대부를 거쳐 승정원좌부대인에 오르고,

 이듬 해 박석명의 후임으로 승정원지신사에 발탁되었다.


1409년 참지의정부사가 되고, 형조판서를 거쳐 이듬해 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대사헌 등을 지냈다. 1411년 병조판서,

1413년 예조판서를 역임하고, 이듬 해 질병으로 사직했다가 다시 예조판서가 되었다.

1415년 이조판서 재직중 송사(訟事) 처리와 관련해 육조에 문책이 내려지면서 파직되었다.

그러나 그 해 행랑도감제조(行廊都監提調)에 복위된 데 이어, 참찬·호조판서를 역임하였다. 1416년에는 세자인 양녕대군(讓寧大君)의 실행(失行)을 옹호하다가 다시금 파직되었다.

그 뒤 조정으로 복귀해 공조판서가 되었다. 그리고 평안도도순문사 겸 평양윤, 판한성부사를 역임하였다.

1418년 세자 폐출의 불가함을 극간하다가 태종의 진노를 사서 교하(交河)로 유배되고, 곧 남원부에 이치(移置)되었다.

세종의 치세가 시작되고 아울러 상왕(上王 : 태종)의 노여움이 풀리면서, 1422(세종 4) 남원으로 소환, 직첩과 과전을 환급받고 참찬으로 복직되었다.


 1423년 예조판서에 이어 기근이 만연된 강원도에 관찰사로 파견되어 구휼하였다.

그리고 판우군도총제(判右軍都摠制)에 제수되면서 강원도관찰사를 계속 겸대하였다. 1424년 찬성,

이듬해에는 대사헌을 겸대하였다. 또한 1426년에는 이조판서와 찬성을 거쳐 우의정에 발탁되면서 판병조사를 겸대하였다.

1427년 좌의정 겸 판이조사가 되었고, 그 해 어머니의 상으로 사직하였다. 그 뒤 기복되어 다시 좌의정이 되었다. 이어 평안도도체찰사로 파견되어 약산성기(藥山城基)를 답사하였다. 이 때 약산이 요충지라 해서 영변대도호부를 설치한 뒤 평안도도절제사의 본영으로 삼게 하였다.


1430년 좌의정으로서, 감목(監牧)을 잘못해 국마(國馬) 1,000여 필을 죽인 일로 해서 사헌부에 구금된 태석균(太石鈞)의 일에 개입해 선처를 건의하였다. 그러나 일국의 대신이 치죄에 개입함은 부당할 뿐더러, 사헌부에 개입하는 관례를 남기게 되므로 엄히 다스려야 한다는 사헌부의 탄핵을 받아 파직되었다.

그래서 한때 파주 반구정(伴鷗亭)에 은거하였다. 1431년 다시 복직되어 영의정부사에 오른 뒤 1449년 치사(致仕 : 나이가 많아 벼슬을 사양하고 물러나는 것)하기까지 18년 동안 국정을 통리(統理)하였다. 그리고 치사한 뒤에도 중대사의 경우 세종의 자문에 응하는 등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성품이 너그럽고 어질며 침착하였다. 그리고 사리가 깊고 청렴하며, 충효가 지극하였다. 학문에 힘써 높은 학덕을 쌓았으므로 태종으로부터 공신은 아니지만 나는 공신으로서 대우했고, 하루라도 접견하지 못하면 반드시 불러서 접견했으며, 하루라도 좌우를 떠나지 못하게 하였다.” 할 정도로 두터운 신임을 받았다.

그는 농사개량에 유의해 곡식 종자를 배급하고, 각 도에 명령해 뽕나무를 많이 심어 의생활을 풍족하게 하였다. 또한 경제육전 經濟六典을 펴내면서, 종래 원집(元集)과 속집(續集)으로 나뉘어 내용이 중복되고 누락되거나 내용과 현실이 괴리되는 것을 수정, 보완하였다.

한편, 국방문제에도 관심을 기울여 북방 야인과 남방 왜에 대한 방비책을 강구하였다. 그리고 예법을 널리 바르게 잡는 데에 노력해, 원나라의 영향이 지대한 고려의 예법을 명나라의 예법과 조선의 현실을 참작해 개정, 보완하였다.

또한, 인권에 유의해 천첩(賤妾) 소생의 천역(賤役)을 면제하는 등 태종대의 국가기반을 확립하는 데 공헌하였다. 세종대에는 의정부의 최고관직인 영의정부사로서 영집현전경연예문관춘추관서운관사 세자사 상정소도제조(領集賢殿經筵藝文館春秋館書雲觀事世子師詳定所都提調) 등을 겸대하였다.


   그리고 중앙과 지방의 백성들의 마음을 진정(鎭定)시키면서, 46진의 개척, 외교와 문물제도의 정비, 집현전을 중심으로 한 문물의 진흥 등을 지휘, 감독하였다. 특히, 세종 말기에 세종의 숭불과 연관해 궁중 안에 설치된 내불당(內佛堂)을 두고 일어난 세종과 유학자 중신 간의 마찰을 중화시키는 데 힘썼다.

이처럼 그는 왕을 보좌해 세종성세를 이룩하는 데 기여하였다. 이로써 조선왕조를 통해 가장 명망 있는 재상으로 칭송되었다. 1452(문종 2) 세종묘에 배향되었다. 그리고 1455(세조 1) 아들 수신(守身)이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면서 순충보조공신 남원부원군(純忠補祚功臣 南原府院君)으로 추증되었다.

상주의 옥동서원(玉洞書院)과 장수의 창계서원(滄溪書院)에 제향되고, 파주의 반구정에 영정이 봉안되었다. 저서로는 방촌집이 있으며, 시호는 익성(翼成)이다.

 

2)황효헌(黃孝獻, 1491~1532)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자는 숙공(叔貢), 호는 축옹(蓄翁)·현옹(玄翁)·신재(愼齋). 한성 출신. 영의정 희()의 현손이며, 보신(保身)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종형(從兄)이고, 아버지는 부사 관()이며, 어머니는 집의(執義) 강미수(姜眉壽)의 딸이다.

진사로서 1514(중종 9)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이듬해 홍문관정자가 되어 사가독서(賜暇讀書 : 문흥을 일으키기 위하여 유능한 젊은 관료들에게 휴가를 주어 독서에만 전념케 하던 제도)한 뒤 홍문관직제학·동부승지 등을 지냈다.


   1526년 강원도관찰사를 거쳐, 이듬해 대사성과 황해도관찰사, 1528년 이조참의, 그리고 이조참판에 올라 1530년 이행(李荇) 등과 함께 신증동국여지승람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1532년 안동부사로 외보(外補)되었다가 갑자기 죽었다.

사람됨이 담론(談論)을 좋아하고 풍의(風儀)가 아름다워 귀공자 같았으며, 학문을 좋아하고 문장에 뛰어났으므로 갑작스러운 죽음을 많은 사람이 애석하게 여겼다 한다. 상주 옥동서원(玉洞書院)에 제향되었다.

 

3)전식(全湜, 1563~1642)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옥천(沃川). 자는 정원(淨遠), 호는 사서(沙西). 팽조(彭祖)의 증손으로, 아버지는 이조판서 여림(汝霖)이며, 어머니는 월성이씨(月城李氏)로 참봉 신()의 딸이다. 유성룡(柳成龍)·장현광(張顯光)의 문인이다.

1589(선조 22) 사마시에 합격하고,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아 왜적을 토벌해 많은 전과를 올렸으며, 김응남(金應南)의 추천으로 연원도찰방(連原道察訪)이 되었다.

1599년 예빈시직장(禮賓寺直長)으로 전임되었으나 나가지 않았고, 1603년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1607년 전적·예조좌랑과 정랑을 거쳐, 1611년 울산판관이 되어 고을 백성들의 교화에 힘썼다.

다음해 전라도도사가 되었으나 광해군의 실정으로 벼슬을 단념하고 정경세(鄭經世)·이준(李埈) 등과 산수를 유람해 세칭 상사(商社)의 삼로(三老)라 일컬어졌다. 1623(인조 1) 인조반정으로 새 왕이 등위하자 예조정랑에 이어 수찬·교리가 되어 경연(經筵)에 참석하였다.

1624년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태복시정(太僕寺正)이 되어 왕을 호종(扈從), 천안에 이르러 집의가 되었으며, 연평군(延平君) 이귀(李貴)와 원수 장만(張晩)의 실책을 논하였다. 이어 병조참의·병조참지에 승진했으나 나가지 않고 고향에 돌아갔다.

그 뒤 대사간·부제학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사퇴하였다.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적을 방어했고, 왕이 도성으로 돌아오자 부제학에 임명되었다. 그 뒤 예조참의와 예조참판에 임명되고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승계(陞階)했으나 사양하였다.

1638년 대사간·대사헌을 거쳐 예조참판·대사성이 되었다. 왕이 순검사에 명해 하삼도의 수군을 정비하게 했으나 적절한 시책이 아니라고 반대하였다. 1642년 자헌(資憲)의 품계에 오르고 지중추부사 겸 동지경연춘추관사(知中樞府事兼同知經筵春秋館事)에 임명되었다.

그 뒤 재차 대사헌에 임명되었으나 취임하지 않았다. 좌의정에 추증되었다. 상주 백옥동서원(白玉洞書院)에 제향되었으며,

시호는 충간(忠簡)이다.

 

4)황뉴(黃紐, 1578~1626)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자는 회보(會甫), 호는 반간(槃澗). 이조참판 효헌(孝獻)의 증손으로, 아버지는 현감 준원(俊元)이다. 정경세(鄭經世)의 문인이다.

1612(광해군 4) 생원이 되고, 이듬해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1616년 승정원주서가 되었다. 1625(인조 3) 지평이 되고, 이어 경성판관을 역임하였다. 어릴 때부터 뜻이 높고 재능이 뛰어났으며, 관직생활 중에는 거취를 분명히 하였다.

 

건축물

현존하는 경내의 건물로는 경덕사·온휘당·청월루·전사청·고사(雇舍)·화직사(火直舍)·묘직사(廟直舍)·팔각정(八角亭) 등이 있다. 경덕사는 향사(享祀)를 지내는 사우로 정면 3·측면 2칸 규모의 맞배지붕 건물이다. 중앙은 마루로 되어 있고, 좌우측은 온돌방으로 되어 있으며, 황희를 주벽(主壁)으로 좌우에 전식·황효헌·황뉴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온휘당은 원내의 모든 행사와 유림 회합 및 학문 토론 장소인 강당으로 정면 5·측면 2칸 규모의 팔작지붕 건물이다. 누문(樓門)인 청월루는 정면 5·측면 3칸 규모의 팔작지붕 2층 누각(樓閣) 건물이다. 1층은 출입문이고, 2층은 중앙이 마루로 되어 있으며, 난간을 두르고 있다. 전사청은 향사(享祀) 때 제수(祭需)를 장만해 두는 곳이며, 팔각정은 유생들의 휴식처로 이용되고 있다. 고사·화직사·묘직사는 각각 고직·화직·묘직이 서원을 관리하며 거처하는 곳이다.

 

중요물건

소장 전적으로는 갈천문집(葛川文集) 등이 있고, 유물로는 황희의 영정(影幀) 등이 있다.


 


cafe.daum.net/ahehdaus/crdC/1  옥동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