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學 이야기(926)
-
관아재 조영석(趙榮祏, 1686 ~ 1761) 그림 감상
사진 및 자료집 관아재 조영석(趙榮祏, 1686 ~ 1761) 그림 감상 조성래 21.04.26 16:24 조영석(趙榮祏, 1686년, 숙종 12년 ~ 1761년, 영조 37년)은 조선시대 후기의 화가, 시인, 서예가이다. 자는 종보(宗甫), 호는 관아재(觀我齋), 석계산인(石溪山人), 본관은 함안(咸安)이다. 1713년, 숙종 39년에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하여 벼슬은 도정(都正, 정3품)에 이르렀다. 산수와 인물에 뛰어나서 정선, 심사정(沈師正)과 함께 삼재(三齋)로 일컬어졌다. 또 시와 서예에도 능하여 그림과 함께 삼절(三絶)이라 불리었다. 화적(畵蹟)으로는 덕수궁 미술관 소장의 ,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및 개인 소장의 , 등이 있다. 다음 사이트를 눌리면 관아재 할아버지의 많은 그림을 볼 수 ..
2022.08.30 -
국유재산 조상땅찾기 확정판결 기판력
조상땅찾기 판례 국유재산 조상땅찾기 확정판결 기판력 조상땅 하늘님 2022. 3. 7. 12:54 국유재산 조상땅찾기 확정판결 기판력 대법원 1997. 6. 27. 선고 97다9529 판결 [토지소유권확인등] [공1997.8.15.(40),2348] 국유재산 조상땅찾기 확정판결 기판력 은제이화문합 뒷면 【판시사항】 [1] 국유재산에 관한 사무에 종사하는 직원이 타인 명의로 국유재산을 취득 및 전매한 행위의 효력(무효) [2] 소유권이전등기청구 소송에서 패소한 자가 소유권에 기하여 소유권 소유권확인 또는 진정한 등기 명의의 회복을 위한 소유권이전등기를 청구할 수 있는지 여부(적극) 은제이화문합 뚜껑 문양 【판결요지】 [1] 구 국유재산법(1976. 12. 31. 법률 제295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2022.08.26 -
스크랩 영국화가 엘리자베스 키스가 그린 한국화
스크랩 영국화가 엘리자베스 키스가 그린 한국화 노을(정종환) 14.05.13 17:08 마음으로 그린 90년전 한국과 한국인 엘리자베스 키스 1887-1956 ‘Portrait of Miss Elizabeth Keith’ by Ito Shinsui, 1922 20세기 일본 화단의 대가로 꼽히는 이토 신수이(伊東深水, 1898-1972)가 그린 키스의 초상화 1919년 엘리자베스 키스라는 호기심 많은 한 영국 여인이 극동의 작은 나라 조선을 방문했습니다. 그녀는 곧, 일제 식민 지배에서 신음하는 이 가난한 나라의 사람들과 풍습과 경관에 빠져들었고 깊은 애정으로 이를 그림과 글로 담아냈습니다. 그러나 정작 그녀의 그림은 오랫동안 우리에게는 알려지지 않다가 2006년에야 재미동포 송영달 선생의 노력으로 비로소..
2022.08.20 -
『고과화상화어록(苦瓜和尙畵語錄)』의 일획론(一劃論)
『고과화상화어록(苦瓜和尙畵語錄)』 // 화가는 첫 붓에 예술혼을 적신다 염생이 ・ 2021. 10. 25. 1:02 『고과화상화어록(苦瓜和尙畵語錄)』의 일획론(一劃論) 우리가 '그림' 하면 삶의 여백이나 여가의 즐거움쯤으로 생각하기 쉽다. 더구나 '동양의 그림' 하면, 먼저 문인들의 여기(餘技)나 풍류(風流) 생활과 멋을 연상하기 십상이다. 그러나 명(明)나라와 청(淸)나라의 교체기인 석도(石濤)의 시대와 생애를 염두에 두면, 석도의 그림과 이론을 그렇게 인식할 수만은 없다. 석도는 나라를 잃고 방황하던 자기 현실에서 생존을 위한 몸부림으로 그림을 대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즉, '태고의 무법에서 찾은 일획론'도 그 절박한 역사 환경에서 탄생한 것이다. 석도가 한 획을 그음에 얼마나 긴장하였는지, 붓 ..
2022.08.20 -
한국화 기법 外
소담의 갤러리 스크랩 한국화 기법 소담11.02.27 09:57 출처: 그림이 있는 풍경마을 원문보기 글쓴이: 정열 스크랩 한국화 기초이론 소용돌이 20.01.07 00:32 한국화 기초이론 1. 한국화의 정의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에서는 오랫동안 공동 문화권을 형성하면서 동양화라는 회화 장르를 만들다. 근세에 이르러 아시아 국가들은 서양 제국의 침략을 받는 과정에서 자국의 주체성 확보를 위하여 중국이 가장 먼저 동양화를 중국화로 독립시키고, 이어 일본은 일본화, 북한은 조선화라고 부르기 시작하였다. 우리는 계속해서 동양화라는 명칭을 사용하다가 1970년대부터 일부 화가들이 한국화라는 용어를 쓰기 시작하였고, 1982년 제1회 대한민국 미술대전에서 한국화라는 명칭을 공식적으로 사용하였다. 일반적..
2022.08.20 -
중원 호령 고구려인 기상ㆍ생활상 담긴 걸작 外
문화재 디지털 복원 ⑦ 고구려 고분벽화(안악 3호분) / 박진호 고구려 고분벽화는 우리나라 고대 조형예술 사상 가장 자랑스럽고 귀중한 유산의 하나로, 같은 시기 세계미술을 대표할 만한 우수한 작품이다. 특히 고구려인의 강인함과 전투적 기상을 소박하면서도 생동 감 있는 필치로 묘사했고, 색채를 자유자재로 구사, 회화미를 십분발휘했다는 점에서 세계미술사상 큰 주목을 끌고 있다. 2004년 6월 유네스코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됐다. 벽화가 있는 고구려 고분은 약 100여 기에 달하는데, 압록강 통구 일대와 평양을 중심으로 하는 대동강유역, 황해남도 안악 지방에 이 르기까지 분포돼 있다. 벽면에 곱게 회를 바른 뒤에 벽화를 그린 무덤이 있고, 부분적으로 화강석 또 는 대리석으로 벽을 만든 후 벽면에 직접 벽화를 그린..
2022.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