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3. 21. 17:41ㆍ美學 이야기
[스크랩] 민화 이야기 회원쉼터
민화의 따스한 아름다움
일월오봉(악)도 /왕권을 상징
까치 호랑이 /벽사의 구실
호작도 /벽사의 구실
삼족오 /전설의 태양새.불멸 번영
봉황 가래개 / 군왕, 태평성대
쌍압도 /장원급제
연리도 /과거 급제
연화도 / 선비정신,부부애
연화도/ 선비정신, 다산
일월부상도 /우주 천지의 순행
일응도/ 축삼재(액 막음)
해학반도도 /장생도, 장수
황묘농접도 /장수 불멸
초충도/여성적인 미적 감각
어변성룡도/ 입신출세
어해도
어해도(魚蟹圖)는 어류와 게를 주제로 그린 수묵화를 말하기도 하지만 민화의 어해도에 등장하는 어류는 붕어, 잉어,
숭어, 방어, 병어, 피라미, 쏘가리, 송사리, 메기에서부터 상어, 고래, 도미, 가자미, 가오리, 홍어, 꼴뚜기와 게, 새우,
홍합, 전복, 조개, 대합 등이 있다. 민화의 물고기 그림은 단순히 물고기를 감상하고자 그려진 그림이라기 보다는
여러 가지 길상적 의미가 담긴 상징화이다.
# 벽사의 의미
물고기는 낮이나 밤이나 눈을 뜨고 있기 때문에 항상 삿된 것을 경계할 수 있다고 생각하여 다락문에 물고기 그림을
붙여놓기도 했다. 다락에는 귀중한 것들이 많이 간직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지킨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쌀 뒤주에
물고기형의 자물쇠를 달거나 서랍의 물고기형 손잡이 역시 이와 같은 물고기의 상징성에서 온 것이다.
# 다산의 상징
많은 알을 낳는 물고기는 다산의 상징이기도 하다. 특히 배가 부른 물고기 그림은 풍요를 상징하는 것이다.
부녀자들의 삼작노리개에 쌍어를 달아주는 것 역시 다복과 득남의 상징이다.
# 부부의 금슬을 상징
이는 상상의 어류인 비목어(比目魚)와 관련된 것이다. 눈이 하나 뿐이어서 암컷과 수컷이 짝을 지어야만 헤엄을 칠 수
있다는 비목어는 암수 날개가 한 쪽 씩 밖에 없다는 '비익조'와 함께 금슬 좋은 부부의 상징이다.
그래서 물고기 두 마리가 금슬 좋게 나란히 헤엄치는 그림을 많이 그렸으며
이런 그림으로 병풍을 꾸며 부부의 방을 치장하는데 애용하기도 했다.
약리도
약리도(躍鯉圖 잉어가 뛰어 오르는 그림)라고도 부르고 어변성용도(魚變成龍圖 잉어가 용으로 변하는 그림)라고도 한다.
옛날 중국책에 용문(龍門)의 잉어 이야기가 실려 있다. 곤륜산에서 흐르는 물은 적석산을 통하고 나서 용문폭포에
이른다. 이 폭포 밑에는 해마다 봄이 되면 수천만의 잉어들이 모여와서 서로 폭포를 뛰어 넘는 내기를 한답니다.
이 폭포를 뛰어 오른 잉어만이 용이 된다고 하며 용이 되면 만사형통한다는 여의주를 갖게 된다. 이 과정을 잉어가
변하여 용이 된다고 하여 '어변성룡'이라 하고 여기서 비롯하여 잉어가 용으로 변하는 것처럼 과거에 급제하여
입신출세 하는 것을 '등용문'이라 하게 되었다.
이런 연유로 사람들은 과거급제를 위해 온갖 고초를 겪으면서 면학에 힘쓰는 선비들을 등용문에 오르기 위해
사투하는 잉어에 비유하였고 이런 뜻을 가지고 있는 잉어가 물위로 힘차게 뛰어 오르는 모습을 아침 해나, 거친 파도,
하늘과 여의주 등과 함께 그려서 과거를 앞둔 벗에게 출세를 기원하며 격려의 선물로 선사했던 경우가 많았고
또 스스로 자신의 책상위에 붙여두고 결의와 소망을 염원하였다.
약리도가 아닌 또 다른 잉어그림으로는 크기가 다른 두 마리 잉어를 함께 그려놓아 소과, 대과에 두 번 급제한다는
뜻으로 그리기도 했다. 살찐 쏘가리가 복숭아꽃과 함께 그려진 그림을 궐어도(闕魚圖)라고 부르는데 과거급제하여
대궐에 들어가기를 염원한다는 뜻이다. 이는 쏘가리 궐(魚+厥)자가 대궐 궐(闕)자와 동음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쏘가리 두 마리를 그리면 모반에 해당한다.
삼여도
삼여도(三餘圖)는 물고기 3마리를 그린 그림을 가리키며 "선비들의 면학하는 태도를 일깨운다"라는 의미가 있다.
이는 삼국지 위지 왕숙전에 나오는 내용이다. 어떤 사람이 동우에게 배움을 청하니 ‘책을 100권 읽으면 뜻이 저절로
통한다’며 거절했다. 그러자 그 사람은 매일 쪼들리고 바쁘지 않은 날이 없어 책 읽을 시간이 없다고 하자 동우가
말하기를 세가지 여가만 있으면 충분하다고 했다. 밤과 겨울과 비 오는 날이 세가지 여유로운 여가에 해당하는데
"밤은 하루 나머지 시간이고, 비 오는 날은 평상시의 나머지 시간이며, 겨울은 일년의 나머지 시간"이라고 했다.
여기에서 물고기 3마리를 그리는 것은 중국어로 물고기 어(魚)의 소리음이 남을 여(餘)와 독음이 같기 때문에
세 가지의 여유,즉 삼여(三餘)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참고로 쏘가리는 한 마리를 그리는데 쏘가리 궐(魚+厥)자가
대궐 궐(闕)자와 동음이란 의미에서 장원 급제하여 궁궐로 들어가라는 기원을 담고 있다.
이때문에 쏘가리 두 마리를 그리면 모반에 해당한다.
영수도(靈獸圖)
기린, 신구, 해태, 봉황, 불가사리, 사불상
영수도란 중국 고대 전설에서 수호신의 성격을 갖는 상상의 동물인 영수(靈獸)를 그린 그림이다. 민화에 나타나는
영수들은 길상(吉祥)적인 짐승들로 벽사(辟邪)의 의미를 지닌다. 민화에 등장하는 영수로는 호랑이, 불가사리, 해태,
봉황, 용, 기린, 신구, 사불상, 천록, 삼두(三頭) 독수리 등을 비롯해 여러 가지가 있다.
이들 가운데 호랑이는 상상의 동물이 아니지만 나머지는 여러 동물들의 신체의 일부분을
합성시켜 만든 모양으로 그리고 있다.
기린
기린은 땅짐승을 대표하는 영수로 수컷을 기(麒)라 하고, 암컷을 린(麟)이라고 한다.
기린은 인자하기 짝이 없어 봉황과 마찬가지로 기린이 나타나면 세상에 성군이 나와 왕도를 펼 길조라 생각했다.
기린은 이마에 뿔이 하나 돋아 있는데 그 끝에 살이 있어 다른 짐승을 해치지 않을 뿐 아니라 생물을 아껴서
풀도 밟지 않는다고 한다. 그래서 인수(仁獸)의 영장이라는 점에서 걸출한 인물에 비유되고
뛰어난 기품을 보이는 젊은이를 기린아(麒麟兒)라고 했다.
민화에서 기린은 영웅이나 인재를 상징하며 그림에서는 대개 한 쌍으로 그려지는데 이는 부부가 금슬 좋게
살아가면서 지혜롭고 재주가 뛰어난 기린아같은 자식을 낳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고있는 그림이라 하겠다.
신구
신구(神龜)는 옛날부터 사령수(四靈獸) 즉, 용, 봉황, 거북, 기린 중 하나인 거북을 신격화한 것으로 3천 년을 산다하여
장수의 상징으로 여겼다. 등껍질은 하늘의 지붕을 나타내고 그 표면에는 별자리가 나타나 있으며 배의 껍질은 땅을
나타낸다. 즉 상하의 껍질은 천지음양의 힘을 나타내는 것이라 하여 수명과 우주를 상징하기도 한다.
신격화된 거북의 모습은 우리가 주변에서 볼 수 있는 귀여운 모습 대신 거북의 머리를 용의 머리로 표현하여
신비스러움을 더한 것이다.
우리 선조들은 거북을 좋아하여 그림이나 공예품 등 생활 용품에 많이 활용 하였으며 심지어 이순신 장군은
거북의 모양을 지닌 거북선을 만들어 임진왜란 때 왜군을 섬멸하기도 하였다. 또한 삶에 있어 거북과 관련된 이야기를
통하여 삶의 지혜와 교훈을 얻게되는데 우리 모두가 잘 알고 있는 ‘토끼와 거북이’ 우화는 거북이처럼
모든 일에 근면과 성실로 최선을 다하라는 교훈을 준다.
민화에서 거북은 대개가 두 마리가 함께 그려지는데 이는 부부의 화합과 거북이 갖는 상징성 곧 장수를 기원하기
위함이다. 또한 한 쌍의 거북을 연실(蓮實)이 달린 연꽃과 함께 그리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연생귀자도(連生貴子圖)
라는 그림으로 그 뜻을 살펴보면 연꽃의 연(蓮)은 독음이 같은 ‘잇다을 연(連)’의 뜻으로서 잇달아 이어진다는
의미이고 거북의 귀(龜)는 독음이 같은 '귀할 귀(貴)‘의 뜻이며 연꽃의 연밥인 연실(蓮實)은 열매, 즉 자식을 의미한다.
따라서 연생귀자도(連生貴子圖)는 ‘연달아서 귀한 자식을 많이 낳는다’는 바람을 담은 그림이라 하겠다.
해태
해태(海陀)는 중국 동북지방 깊은 수풀이나 산 속에 사는 짐승으로 신선이 먹는다는 멀구슬 나무 열매만 먹기에
그 둘레에는 파리 한마리 꾀지 못한다는 성스러운 짐승이다. 기린처럼 생긴 머리에 외뿔이 돋쳐 있고
우수마면(牛首馬面)에 발톱은 둘로 갈라졌으며 온몸에 푸른 비늘이 돋아 있다.
힘도 어찌나 센지 백수가 당해 낼 수 없지만 성질이 올곧고 사람이 싸우는 것을 보면
반드시 그 사악한 자에게 대들고 사람이 논쟁하는 것을 들으면 부정한 쪽에 달려들어 물어 뜯는다.
곧 곡직을 능히 판단하는 충직한 짐승으로 구덕(九德)을 갖추고 있다.
봉황
봉황(鳳凰)은 고대 중국의 전설로부터 전해오는 상서로운 상상의 새로,
태평성대를 이룰 성군과 함께 세상에 나타난다고 한다.
봉황은 암수를 각기 따로 부르는데, 수컷을 봉(鳳)이라 하고 암컷을 황(凰)이라 한다.
봉황의 생김새는 AD 2세기경 후한(後漢)때 허신(許愼)이 편찬한 중국 최초의 문자학 자전(字典)인 설문해자(說文解字)
등 고서마다 다소 다른 모습이 전하는데, 그 중 한 모습을 살펴보면 앞모습은 기러기, 뒤는 기린, 뱀의 목, 물고기의
꼬리, 제비의 턱, 닭의 부리를 가졌으며, 오색(五色)을 갖추고 있다고 한다.
봉황을 그릴 때는 대개가 오동나무와 대나무를 함께 그리는데
이는 봉황은 오동나무 아래 깃들고 삼천년 만에 한번 열린다는
대나무 열매인 죽실(竹實)을 먹고 산다고 전하기 때문이다.
봉황(鳳凰)은 용, 거북, 기린 등과 함께 사령(四靈)의 하나로서 일찍이 용과 더불어 우리 생활에 길상적인 의미로
많이 사용되었다.또한 봉황도는 봉황의 상징성으로 인하여 궁궐 등의 장식용으로 사용되었다. 민간에서는
봉불탁속(鳳不啄粟-봉황은 배가 고파도 좁쌀을 쪼지 않는다)이라 하여 굳은 절개와 청렴의 바람을 담고 있으며
봉황과 태양을 함께 그린 조양군봉도(朝陽群鳳圖)는 입신출세의 기원을 담고 있는 길상적 그림이라 하겠다.
불가사리
불가사리는 쇠, 구리, 대나무 뿌리를 먹고 살며 악귀를 쫓는다는 전설 속의 동물로 생김새는 곰의 몸에 코끼리의 코,
코뿔소의 눈, 호랑이의 발, 쇠톱같은 이빨, 황소의 꼬리를 가졌으며 온몸에는 바늘 같은 털이 나있고
암컷에만 줄무늬가 나있어 이것으로 암수가 구별된다. 악몽을 물리치고 요사스러운 기운을 쫓는다.
사불상
사불상(四不像)은 뿔이 사슴이면서 사슴이 아니고 목이 낙타이면서 낙타가 아니며,
발굽이 소와 같지만 소가 아니고,
꼬리 형상이 나귀면서 나귀가 아닌 짐승으로 전해지고 있다.
민화에 나타나는 사불상은 꽃과 괴석을 배경으로 하여 진한 색채로 한쌍을 그리거나
해태상과 비슷한 모습으로 그리기도 하며 사신도 중에 가끔 호랑이 대신 등장하는 경우도 있다.
이 역시 악귀를 쫓는 주술적인 것이라 여겨진다.
민화에서는 기린과 해태, 사불상을 비슷하게 그리고 있어 혼동하기 쉽다.
개 | 집을 지켜주고 재난을 예방, 집안의 행복 |
다람쥐 | 근면, 성실, 풍요, 재복 |
돼지 | 재물, 풍요 |
말 | 신성함, 위대함, 의리와 충절 |
사슴 | 장수, 우애, 福祿 |
소 | 富, 번창 |
양 | 평화, 온정 |
토끼 | 달과 함께 장수, 부부애 |
호랑이 | 벽사, 용맹. |
기린 | 뛰어난 재주와 기량, 사회의 안정 |
봉황 | 고귀함, 상서로움 |
용 | 권위, 벽사, 고귀함, 신령함 |
해태 | 정의, 뛰어난 판단력 |
공작 | 화려함과 부귀 |
금조 | 고귀함 |
기러기 | 평안, 부부애. 갈대와 함께 그려지면 노후의 안락함 |
까치 | 기쁜 소식 |
꿩 | 화려함, 지조 |
딱따구리 | 길상, 벽사 |
매 | 용맹, 벽사 |
물총새 | 多子 |
백로 | 고고함, 쌍으로 그려지면 부부애, 연밥과 함께 과거 합격 |
부엉이 | 70세 장수, 도둑을 물리침 |
수대조 | 장수 |
수탉 | 출세, 벽사. 암탉/병아리와 함께 그려지면 부부애/가족의 화목함 |
앵무새 | 부부애 |
오리 | 부부애, 다산 |
원앙 | 부부화합 |
제비 | 福 |
참새 | 기쁨 |
팔과조 | 孝, 의리 |
학 | 吉祥, 장수 |
나비 | 꽃과 함께 쌍으로 그려져 부부애, 80세 장수 |
방아깨비 | 남녀간의 사랑에 있어서 정절, 예의 |
벌 | 성실, 꽃과 함께 그려지면 남성 |
거북이 | 장수, 하늘과 땅의 조화 |
게 | 장원급제, 출세 |
두꺼비 | 복, 행운 |
메기 | 입신출세 |
복어 | 福 |
붕어 | 多産 |
새우 | 부부가 해로함, 순조롭게 잘 풀린다. |
소라 | 웅변, 학식 |
쏘가리 | 장원급제, 성공 |
숭어 | 多子 |
잉어 | 孝, 多産. 뛰어오르는 모습은 과거급제/출세 |
어해도 | 여러 가지 어류를 함께 그려 평화, 다복, 다산을 상징 |
조개 | 多産 |
국화 | 장수, 높은 절개, 고상함과 품위 |
나리꽃 | 풍요, 마음의 안정, 다산, 화합 |
매화 | 행복, 장수 |
난초 | 자손번창, 군자의 기상 |
모란 | 부귀영화, 장수 |
목련 | 선비, 군자 |
복숭아꽃 | 미인, 불로장생 |
연꽃 | 군자의 고고함, 청빈함. 원앙/물고기와 함께 그려지면 부부화목과 행복을 의미, 연밥을 쪼는 새는 다산 |
원추리 | 득남 |
장미 | 영원한 젊음 |
패랭이 | 청춘, 절개 |
해당화 | 미인, 모란과 함께 집안 가득한 부귀(富貴玉堂), 팔가조/목련과 함께 귀한 집에 효자가 난다는 의미(玉堂啼鳥) |
화조도 | 꽃과 새가 함께 그려져 부부화목, 부귀, 장수 |
귤나무 | 부귀영화, 효 |
단풍나무 | 대궐, 조정 |
대나무 | 절개, 바위와 함께 그려지면 장수 |
등나무 | 부부애 |
출처 :영주중16회 원문보기▶ 글쓴이 : 無曲(김동혁)
cafe.daum.net/yjla/BJi/1225 한국문인협회 영주지부
- 신경미 논설위원 <hmk0697@hanmail.net>
- 승인 2019.03.06 19:23
[서울시정일보] 봉황의 의미는 봉황은 수컷은 봉이라하고 암컷은 황이라고 하는데 암수 한쌍이 만나서 봉황이라 한다.
수컷은 장수와 자손번창을 의미하는데 머리위에 불로초 모양을 하고 화려하며 활짝 창공을 날으는 듯 취하고 있으며, 작품에 순금 가루로 작업을 하기도 하며, 성군이 나오거나 세상이 태평성대일때 나타난다는 설이 있다.
또, 오색으로 빛나는 몸에 다섯가지의 아름다운 소리를 내고 오동나무에 거주하며 예천에 흐르는 물을 마시며 천년에 한번 열리는 대나무 열매를 먹고 산다고 알려져 있다.
봉황의 몸은 각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가슴은 인 ▲날개는 의 ▲등은 예 ▲머리는 덕 ▲배는 신을 나타낸다고 한다.
살아있는 벌레를 먹거나 해하지 않고 살아있는 풀위에도 앉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하늘의 자손이라 여겨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매체로써 새를 중요시했다.
특히 봉황은 신조라하여 신성시 여겼으며 부부금슬뿐만 아니라 자손번창과 복이 따른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사전에는 고대 중국에서 신성시했던 상상의 새로 기린·거북·용과 함께 사령(四靈)의 하나로 여겼다. 수컷을 봉(鳳), 암컷을 황(凰)이라고 하는데 그 생김새는 문헌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묘사되어 있다.
≪설문해자 說文解字≫에는 봉의 앞부분은 기러기, 뒤는 기린, 뱀의 목, 물고기의 꼬리, 황새의 이마, 원앙새의 깃, 용의 무늬, 호랑이의 등, 제비의 턱, 닭의 부리를 가졌으며, 오색(五色)을 갖추고 있다고 하였다.
또 그러나 상서롭고 아름다운 상상의 새로 인식된 것만은 확실하다. 봉황은 동방 군자의 나라에서 나와서 사해(四海)의 밖을 날아 곤륜산(崑崙山)을 지나 지주(砥柱)의 물을 마시고 약수(弱水)에 깃을 씻고 저녁에 풍혈(風穴)에 자는데, 이 새가 세상에 나타나면 천하가 크게 안녕하다고 한다.
그래서 봉황은 성천자(聖天子)의 상징으로 인식되었다. 천자가 거주하는 궁궐문에 봉황의 무늬를 장식하고 그 궁궐을 봉궐(鳳闕)이라고 했으며, 천자가 타는 수레를 봉연(鳳輦)·봉여(鳳輿)·봉거(鳳車)라고 불렀다. 중국에서 천자가 도읍한 장안(長安)을 봉성(鳳城)이라 하였고 궁중의 연못을 봉지(鳳池)라고 불렀다.
이처럼 봉황이 천자의 상징이 된 까닭은 봉황이 항상 잘 다스려지는 나라에 나타난다고 믿어 천자 스스로가 성군(聖君)임을 표방한 데 연유한다. 한유(韓愈)의 <송하견서 送何堅序>에서는 “내가 듣기로 새 중에 봉이라는 것이 있는데, 항상 도(道)가 있는 나라에 출현한다(吾聞鳥有鳳者 恒出於有道之國).”라고 했다.
[그림여행] 봉황의 의미 봉황은 수컷은 봉이라하고 암컷은 황이라고...
오픈지식 : 여백의 미학, 동양화 감상법
2006.05.16 신고
동양화는 보고 느끼는 그림이 아니라 소재와 문자의 의미를 읽어내야 하는 읽는 그림이다 동양화를 읽는 방법은 크게 세가지로 나눈다
1>동음이자[同音異字]의 문구로 바꾸어 읽는 방법
2>그려진 사물의 우화적 의미[寓話的 意味]를 그대로 읽는 법
3>그려진 사물과 관련된 고전적 문구를 상기해서 읽는방법[[동음이자[同音異字]의 문구로 바꾸어 읽는 방법]]
ex)연 열매가 강조된 시든 연밭에 백로가 있는 그림
-해석 : 일로연과[一路連科], 한걸음에 향시[鄕試]와 전시[殿試] 두번의 과거 에 연속 등과하다....요즘 말로 하면 사법고시나 행정고시 1,2차 시험에 연속 합격하여 이름을 떨친다는 뜻이다
-분석 : 一鷺[일로] 백로 한 마리 -> 一路[일로] 한 걸음
蓮菓[연과] 연 열매 -> 連科[연과] 연속하여 과거에 오른다는 뜻
ex)장닭이 우는 그림은 공명도[功名圖]
-의미 : 많은 공을 세워 널리 이름을 떨치다
ex)소나무 + 까치 + 표범[호랑이] 그림은 신년 보희도[新年報喜圖]
-의미 : 새해를 맞아 기쁜 소식만 오다
ex)대나무와 바위그림은 축수도[祝壽圖]
-의미 : 회갑,장수를 축하,기원한다
-분석 : 죽[竹] = 축[祝] , 바위 = 수[壽]
ex)목숨 수[壽] 자 모양으로 그린 향나무 그림은 백수도[百壽圖]
-의미 : 백세가 되도록 오레오래 살기를 기원한다
-분석 : 백수[栢壽] = 백수[百壽]
ex)목숨 수[壽] 자를 16번 쓰면 회갑 축하의 뜻
-분석 : 십육[十六] = 수육십[壽六十] 壽자는 1자, 16자, 100자로 쓴다
ex)고양이와 참새가 한 화면에 있는 그림은 희수도[稀壽圖]
-의미 : 참새의수가 곧 자식의 수를 나타내는데 만약 그림안에 참새가 3마리가 있다면 3명의 자식을 거느린 동갑의 부부가 맞은 고희[古稀 70세 생일]를 축하한다..
-분석 : 참새 작[雀] = 까치 작[雀] -> 喜[기쁨]
-참고 : 기쁨을 의미하는 까치를 그리지 않은 이유는 까치가 큰 새라서 조형적으로 잘 어울리지 않아서 같은 발음의 참새를 그려넣은 듯하다 참새를 황작이라 하는데 [황]자가 [환]과 중국식 독음이 비슷하다는 이유도 있다
ex)흰사슴을 그려넣은 그림은 백록도[百祿圖]
-의미 : 온갖 복록이 다 함께 하길 원한다
ex)기러기가 갈대밭에서 노는 그림은 노안도[老安圖]
-의미 : 편안한 노후를 즐겨라
ex)오리 한 마리가 버드나무 밑에서 노는 그림
-의미 : 과거에 장원급제하는 행운이 계속 머물기를 바란다
-분석 : 오리 압[鴨]을 파자하면 갑[甲]자가 되고 이는 일갑[一甲]즉 장원급제를 뜻함..[[그려진 사물의 우화적 의미[寓話的 意味]를 그대로 읽는 법]]
ex)학이 파도치는 바닷가에 있으면 일품당조도[一品當朝圖]
-의미 : 당대의 조정에서 벼슬이 일품에 오르길 바란다..
-분석 : 학은 천수[千壽], 일품[一品]은 제일, 조[朝]는 밀물 조[潮]와 발음이 같다..
ex)석류그림은 다자도[多子圖]
-의미 : 석류알처럼 자식을 많이 낳으라는 의미
ex)모란꽃 그림은 부귀도[富貴圖]
-의미 : 부자가 되라는 의미
ex)모란 + 해당화 + 목련은 부귀옥당도[富貴玉堂圖]
-의미 : 좋은집에서 부귀영화를 누려라
ex)매화가지에 까치가 한 마리 앉아 있는 그림은 희보춘선도[喜報春先圖]
-의미 : 봄을 맞아 맨먼저 기쁜소식이 있길 바란다
ex)원앙새가 연못에서 노는 그림은 연생귀자도[連生貴子圖]
-의미 : 귀한자식 낳고 원앙새처럼 행복하게 잘 살아라
ex)학과 소나무 그림은 학수송령도[鶴壽松齡圖]
-의미 : 학과 소나무처럼 오래오래 건강하라는 의미
ex)학과 대나무 그림은 축수소[祝壽圖]
-의미 : 내내 건강하시고 생복하시길 빕니다는 의미
ex)피라미 + 부평초 + 꽃 + 작은잉어 + 큰잉어가 그려진 그림
-의미 : 타향살이의 고생에도 불구하고 학문에 힘써 학업을 마치고 소과,대과에 두루 합격하여 등용되기를 바라며, 연이어 귀한자식을 낳아 편안한 노후를 즐기기를 기원하노라..
ex)장미꽃은 장춘도[長春圖]
-의미 : 젊음이 오래 이어지길 바랍니다
-분석 : 장미꽃은 월계화[月季花],장춘화[長春花]라고 함 춘[春]은 인생의 봄 즉 청춘[靑春]
그려진 사물과 관련된 고전적 문구를 상기해서 읽는방법ex)아홉마리의 해오라기 그림은 구사도[九思圖]
-의미 : 자고로 군자는 항상 아홉가지 덕목을 지켜야 하느니라
굼자가 사물을 대할때 생각하는 아홉가지 일로써 [논어]의 <계시편>에 나오는 유명한 구절이다 사물을 대할때는 밝게, 들을 때는 총명하게, 안색은 온화하게, 태도는 공손하게, 말은 신중하게, 일할때는 성실하게, 의심스러울 때는 물어서 밝히고, 화날때는 잘못하여 환난이 주위에 미치지 않을까 생각하고, 이득이 있을때는 그것이 의로운가를 생각하라
ex)창덕궁 옥좌의 뒤에 있는 병풍은 삽장생도가 아니니 천보구여도[天保九如圖]이다
-의미 : 구여란[시경]중 천보[天保]의 시에서 유래한 말로 축솔[祝頌]의 뜻을 지니고 있다 여[如]가 아홉자 들어서 구여[九如]가 되었다 그시를 번역하면 아래와 같다[하늘이 당신을 안정시키사 매우 굳건히 하셨네당신을 크고 두텁게 하사 모든 복을 갖추게 하셨으며 높은 산과도 같고 큰 땅덩이 같으며 높은 산등성이 같고 높은 언덕과도 같으며 강물이 흘러오듯 달이 밝아지는듯 하며해가 뜨는 듯하며 남산이 무궁함 같으며 소나무가, 잣나무가 무성하듯이당신의 일은 끊임없이 이어지네]
ㅡ 다음 Tip 자료 오픈지식 : Q 여백의 미학, 동양화 감상법 2006.05.16
질문
답변
답변 목록- 답변
원앙은 약 2,500년 전부터 중국에서 처음 기르기 시작하다가 약 2,000년 전부터 우리나라에 전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앙은 암수의 깃털이 워낙 차이가 나서 고대 중국에서는 서로 다른 새인 줄 알고 수컷은 ‘원’ 암컷을 ‘앙’으로 따로 이름을 붙였는데 나중에 같은 종임을 알고 원과 앙을 합쳐 원앙이라고 불린 것이다. 특히 수컷과 암컷 원앙 한 쌍이 있는 모습이 한 폭의 그림처럼 아름답다 하여 예로부터 그림이나 도자기 등 예술 작품에 자주 등장하곤 한다.
예부터 원앙은 부부간의 애정을 표현하는 동물로 알려져 있다. 신혼부부들이 가장 바라는 금술 좋은 부부의 상징이다. 원앙은 부부가 항상 같이 다니기 때문에 부부간의 금실이 좋은 새로 인식되었고, 그것을 바탕으로 원앙이 부부사이의 금슬을 좋게 해준다고 믿었던 사람들은 결혼할 때 원앙 조각 또는 원앙을 수놓은 이부자리 심지어 원앙 한 쌍을 선물하기도 했다.
하지만 실제 원앙은 부부금실이 그다지 좋지 않다. 일반적으로 겨울철 월동지에서 수컷이 암컷에게 구애를 하고 암컷이 마음에 드는 수컷을 짝으로 결정하고 부부가 되지만, 이러한 번식활동은 해마다 반복되므로 매년 부부가 바뀌게 된다. 더구나 원앙 수컷은 일단 둥지가 정해지고 나면 새끼 양육에 전혀 관여하지 않는다.
즉 번식초기에 암컷과 짝을 이루어 생활하다가 암컷이 알을 낳고 품기 시작하면 암컷은 거들떠보지도 않고 또 다른 암컷을 찾아 떠나버리는 것이다. 한편에서는 원앙 자신이 너무 화려해 적의 눈에 잘 띄기 때문에 새끼들의 안전을 위해 떠난다는 의견도 있지만 자세한 내막은 알 수 없다.
[네이버 지식백과] 원앙 [Mandarin Duck] - 두 가지 얼굴을 가진, 나무에 앉는 오리 (스마트과학관 - 우리나라 텃새, 국립중앙과학관)
ㅡ 다음 Tip 자료 : Q 원앙새는 금슬이 좋은 부부를 나타내기도 하는데 원앙새는 정말로 금슬도... 2017.06.29
질문
답변
답변 목록- 답변
*동양화(東洋畵) 읽는 법(法)*
◇ 동양화는 단순히 보는 그림이 아니라 읽는 그림입니다.
◇ 동양화는 그 그림을 감상하기에 앞서 그 그림이 나타내는 뜻(意味 의미)을 먼저 알아야 합니다.
◇ 동양화는 반드시 나타내고자하는 뜻이 있으므로 이치에 맞지 않거나 일정한 법칙이나 제한 등을 가지고 있습니다.
◇ 동양화가 나타내는 뜻을 알고 있으면,동양화 감상에 흥미가 생길 것이고, 좀더 친숙해질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림이 나타내는 뜻
1. 모란
모란은 5월 초순에 만개하는 꽃이다.화중지왕(花中之王)이라하여꽃 중의 왕으로 불리워지고, 富貴(부귀; 부유하고 귀함)을 뜻한다.
2. 목련
목련은 4월 초순에 만개하는 꽃이다.목필화(木筆花)혹은 옥란화(玉蘭花)라고 불리워지는데, 대게 玉(옥)자에서 뜻을 취하거나 筆(필)자에서 소리를취하여 必(필)의 뜻으로 쓴다.
3. 해당화
해당화는 6월에 꽃을 피운다.한자로 海棠花(해당화)라고 쓰는데, 대게 堂(당)자에서소리를 취하여 堂(당)의 뜻으로 쓰인다.
4. 장미
장미는 동양화에서 젊음과 청춘을 상징한다.
5. 패랭이 꽃
패랭이꽃은 석죽과 여러해살이 풀로 구맥(瞿麥),석죽(石竹) 이라고도 부른다, 꽃은 6~8월에 피고 가지 끝에 1개씩 달린다.돌을 뜻하는 石(석)은 장수를 뜻하고,대나무를 뜻하는 竹(죽)은 소리를 빌려 축하한다는 뜻의 祝(축)을 나타내므로 '장수하심을 축하한다'는 뜻이 된다.즉, 祝壽圖(축수도)라고 부른다.
6. 연꽃
수련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수초이다.연꽃은 더러운 물속에서 자라나 깨끗한 꽃을 피우는 식물로 '불교에서는 청정함의 상징이나 극락세계를 이꽃에 비유하고, 민간에서는 다산의 상징으로 여성의 옷에 연꽃무늬를 새겨넣어 자손을 많이 낳기를 기원하였다. 또한, 연꽃이 시들면 씨앗이 영그는데,이를 연과(蓮果 : 연꽃의 열매) 라 부르고 이 소리를 빌려 連果(연과 : 과거에 연달아 합격하다)라는 뜻으로 쓰고,연꽃은 물속에서 뿌리가 굳게 박혀서 가지가 번성한다는 뜻을 나타내어 本固枝榮(본고지영)의 뜻으로 쓰인다.연뿌리만 그리면 藕斷絲連(우단사운 ; 형제의 우애)를나타낸다.
7. 매화
매화는 4군자(四君子)의 하나이다.이른 봄에 눈속에서 꽃을 피우는데, 여기에서 이른 봄 즉, 春先( 춘선)의 뜻으로 쓰이거나梅(매)자에서 소리를 취하여眉壽(미수)의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8 난초
난초는 4군자(四君子)의 하나이다. 한난(寒蘭), 석곡(石斛), 풍란(風蘭) 등으로 구분되는데, 25,000종이나 되는 다양한 종류가 있다.그 향기가 그윽하고 맑아서 맑은 향기라는 뜻으로 쓰이기도 하고,난초는 란손(蘭蓀)이라고 하는데, 蓀(향풀이름 손)에서 소리를 빌려 孫(자손 손)이라는 뜻으로 쓰인다.
9. 국화
국화는 4군자(四君子)의 하나이다. 그 향기가 그윽하여,술잔 위에 꽃잎을 띄워서 향기를 즐기기도 한다.
도연명의 귀거래사(歸去來辭)에 비유되여 은일(隱逸) 즉, 숨어서 유유자적하거나 장수(長壽)의 뜻을 나타낸다.
10. 맨드라미
비름과의 쌍떡잎식물로 한해살이 풀이다.꽃의 모양이 수탉의 볏과 비슷하여 계관화(鷄冠花)라고 쓴다.
즉, '닭이 관을 쓴 꽃이다'는 뜻이 된다. 여기에서 벼슬하다는 뜻을 나타낸다.
11. 버드나무
버드나무는 柳(유)로 쓰는데,柳(유)자에서 소리를 취하여 留(머물다 유)즉 '머물다'는 뜻을 나타낸다.
12. 갈대
갈대는 蘆(로)로 쓰는 여기에서 소리를 취하여,(임금이 하사한 음식)의 이라는 뜻을 나타낸다.
13. 석류
석류는 그 열매에 씨앗에 많다는 데서 "아이를 많이 낳다"는 뜻으로 다자(多子)를 나타낸다.
14 . 포도
포도는 그 열매가 많이 무리지어 달린 모양에서 아이를 많이 낳다는 뜻의 다자(多子)를 나타낸다.
15. 박
박이 주렁주렁 열린 모양에서 다자(多子)의 뜻을 나타내고, 그 덩굴째 그리게 되면 蔓帶(만대) 즉, 萬代(만대)의 뜻을 나타낸다.
16. 밤, 대추
밤대추는 요즘 민간에서 대추는 아들을 뜻하고, 밤은 여자아이를 뜻한다고 하는데, 이는 옳지 않다
대추는 棗(조)자에서 소리를 취하여 早(조)의 뜻을 나타내고, 밤은 栗(률)자에서 소리를 취하여 立(립)의 뜻을 나타낸다.
즉, 早立子(조립자)라는 뜻으로 '아이를 일찍 낳다'는 뜻이다.
17. 여뀌
여뀌는 한해살이 풀인데, 따뜻한 곳에서는 여러해살이 풀이 된다. 蓼(여뀌 료)로 쓰는데, 여기에서 소리를 빌려서 了(마치다 료)의 뜻으로 쓴다.즉, '학업을 마치다'는 뜻을 나타낸다.
18. 비파
비파는 '늘 푸르다'는 데서, 사계절 즉, 四時(사시)의 뜻을 나타낸다.
19. 복숭아
천도(天桃), 벽도(碧桃), 선도(仙桃)라 하여, 젊음, 청춘을 상징한다. 복숭아를 여러 개 그리면 多壽圖(다수도)가 되고,
복숭아를 내미는 그림은 供壽圖(공수도)가 된다.
20. 소나무
소나무는 사철푸른 나무이다.장수(長壽)를 뜻하는 십장생(十長生→百齡)의 하나이다.
松(소나무 송)이라고 쓰는데,여기에서, 소리를 빌려 頌(칭송하다 송)의 뜻을 나타낸다.
또한, 신년(新年)을 뜻하기도 하다.변하지 않는 푸르름에서 절개의 상징으로 쓰이기도 한다.
21. 대나무
대나무는 사군자(四君子)의 하나로, 곧고 굳은 절개를 상징한다.
竹(죽)으로 쓰는데,여기에서 소리를 빌려서 祝(축)의 뜻으로 쓰인다. 즉, '축하하다'는 뜻이다.
22. 향나무
향나무는 사철푸른 나무이다.栢(향나무 백)으로 쓰는 뜻으로 쓰인다.
여기에서 소리를 빌어 百(백)의 숫자를 뜻한다. 百壽(백수) 즉, 장수하다
23. 닭
닭은 대게, 수탉을 그리는데 닭의 벼슬 모양이 관을 쓴 것 같다 하여, 冠鷄(관계), '이름을 빛내다'는 데서, 公鷄(공계) 등으로 부른다. 즉, 이름을 날리다는 뜻의 功名(공명)을 나타낸다.
24. 메추리
대게 암컷 메추리를 그린다. 䨄(세가락메추라기 암)으로 쓰는데,여기에서 소리를 빌려서 安(편안하다 안)
즉, '편안하다'는 뜻을 나타낸다.
25. 오리
오리는 鴨(오리 압)으로 쓰는데, 여기에서 甲(갑)을 취하여 '첫째'의 뜻을 나타낸다.
즉, 좋은 성적으로 과거시험에 '장원급제하다'는 뜻이다.
26. 까치
까치는 길조(吉鳥)로 기쁨을 상징하여,喜(희)의 뜻을 나타낸다.
까치 두 마리를 그리면, '부부가 해로하는 기쁨을 누리다'는 뜻이 된다.
27. 백로
백로는 鷺(백로 로)로 쓰는데, 여기에서 '소리를 취하여 路(길 로)의 뜻으로 쓰인다.
백로 한 마리를 그리면, 一路(일로) 즉, 한번에 급제하다는 뜻이 된다.
28. 기러기
기러기는 雁(기러기 안)으로 쓰는데, 여기에서 소리를 빌려서 安(편안하다 안)의 뜻으로 쓰여서 "편안함"을 나타내는데,기러기는 암수의 사이가 좋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부부 해로"를 나타내기도 한다.
29. 참새
참새는 까치와 같이 기쁨을 나타낸다. 雀(작)으로 쓰는 데, 까치와 독음이 같다.
30 원앙새
원앙새는 부부 금슬이 좋다는 뜻을 나타낸다.여기에서 '부부가 금술이 좋으니,貴子(귀자 : 귀한자식)가 태어난다는 뜻을 나타낸다.
31. 학
학(鶴)은 십장생(十長生)의 하나로 장수를 의미한다. '오래 살다'는 뜻으로 千壽圖(천수도)이다.
32. 백두조
백두조(白頭鳥)는 머리 깃털이 흰색의 새이다. 즉, 백발의 노인을 뜻한다.
33. 박쥐
박쥐는 福(복 복)자와 소리가 같아서 오복(五福)의 뜻을 나타낸다. 오복(五福)은 시대에 따라 약간 다른데 대게, 壽(수), 富(부), 康寧(강녕), 修好德(수호덕), 老終命(노종명)으로 보면 된다.
34. 고양이
고양이는 猫(묘)로 쓰는데,여기에서 소리를 빌려서 (늙은이 모)의 뜻을 나타낸다. 즉, 70세 노인을 뜻한다.
35. 나비
나비는 蝶(접)으로 쓰는데, 여기에서 소리를 빌려서 (늙은이 질)의 뜻을 나타낸다. 즉, 80세 노인을 뜻한다.
36. 부엉이
부엉이를 猫頭應(묘두응)이라고 하는데 '노인이 70세(고희 古稀)가 되었음을 축하한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37. 개
개는 戌(술)로 쓰는 데,집을 지켜 도둑 맞지 말라는 뜻을 나타낸다.즉, 守(지키다 수)의 뜻으로 쓰인다.
38. 표범
표범 그림은 우리 민화에서 자주 접하게 되는데, 그 모양이 고양이와 호랑이 비슷하다.
표범은 豹(표)로 쓰느데,여기에서 소리를 빌려서 報(알리다 보)의 뜻을 나타낸다.
39. 흰사슴
흰사슴은 白鹿(백록)으로 쓰는데, 여기에서 百祿(백록;백가지 복록)의 뜻으로 쓰인다.
40. 게
게는 蟹(해)로 쓰는데, 등이 단단한 껍질에 쌓여있다. 여기에서 껍질을 뜻하는 甲(갑) 즉, '첫째' 의 뜻으로 쓰인다.
41. 바위
바위는 오랜 세월 변하지 않는다는 데서,'장수'를 뜻한다.
42. 달
달은 즐거움을 뜻하여 樂(락)의 뜻을 나타낸다.
43 죽순
대나무의 순은 筍(순)으로 쓰는데,여기에서 소리를 빌려서 孫(손자 손)의 뜻을 나타낸다.즉, 자손이나 손자를 나타낸다.
44. 갈대
갈대는 蘆(로)로 쓰는데,여기에서 소리를 빌려서 老(로)의 뜻으로 쓰인다. 즉, 노후 등의 뜻을 나타낸다.
45 쏘가리
쏘가리는 (궐)로 쓰는데,여기에서 소리를 빌려서 闕(대궐 궐)을 뜻한다.즉, 대궐이라는 뜻인데, 쏘가리를 두 마리 그리면 대궐이 두 개이므로 모반이 된다.
46. 책꽂이
책꽂이에 책이 꽂혀있고, 어항 등이 그려진 그림은 6판서에 이르는 모든 벼슬을 거처서 높은 벼슬에 오르라는 뜻이다.이때, 어항 속의 고기는 쏘가리이다.
47. 감
감은 枾(시)로 쓰는데,여기에서 소리를 빌려 事(사)의 뜻을 나따낸다. 즉, 어떤 일을 뜻한다.
48. 부평초
타향살이.
49. 피라미
어린시절
50. 구리그릇(銅甁 동병)
平安(평안: 편안하다)
51. 불수감(佛手柑)
福(복)
52. 백합꽃뿌리
百(백)
53. 불로초(不老草)
如意(여의: 모든 일이 순조롭다)
54. 장생과(長生果 땅콩)
長生(장생)
55. 귤(橘)
大吉(대길: 크게 좋은 일)
56. 수석(壽石)
壽(수: 장수)
57. 민물새우
동작이 순조롭다→뜻 같이 순조롭다
58. 물고기(魚)
餘(여: 여유)
59. 색비름(雁來紅)
'항상 붉은 색을 띠고 있어서 영원히 늙지 않음'을 상징한다.
60. 검정색 팔가조
孝(효: 효도)
61. 금붕어 여러마리
金魚(금어)→金餘(금여)→金玉滿堂(금옥만당)
즉, 금과 옥이 집안에 가득하다.
62. 마름풀
타향살이- 2006.06.16
ㅡ 다음 Tip 자료 : Q 알려주세요... 동양화 어떻게 읽어요?? 근데 그림도 읽는 방법이 있나요?? 2006.06.16
'美學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훼도- 화훼화 (0) | 2019.03.27 |
---|---|
조선후기 혜원(蕙園) 신윤복(申潤福)의 영모화(翎毛畵) ‘닭’ (0) | 2019.03.21 |
중국 북송대(北宋代) 휘종(徽宗) 조길(赵佶)의 비파산조도(枇杷山鸟图) (0) | 2019.03.20 |
중국 북송대(北宋代) 황거채(黄居寀)의 산자극작도(山鹧棘雀图) (0) | 2019.03.19 |
조선중기 동림(東林) 이준(李罇)의 포도도(葡萄圖) (0) | 2019.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