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學 이야기(926)
-
이공린(李公麟), <산장도(山莊圖)>
이공린(李公麟), <산장도(山莊圖)> 李公麟山庄图_百度图片 image.baidu.com - 查看全部1,212张图片 李公麟的《山庄图》 - 日志 - 杨云祥 - 雅昌博客频道 blog.artron.net/space-... - 百度快照 - 90%好评 李公麟《山莊圖》(下)賞析(國寶珍品)_香如故_新浪博客 blog.sina...
2016.02.01 -
김대환의 文響 - 8. 용머리 은잔(銀製龍頭花形杯)
고려 금속공예의 정수 ‘王은 龍이다’ … 그렇다면 용머리잔은 중국에서 왔을까? 김대환의 文響 - 8. 용머리 은잔(銀製龍頭花形杯) 2015년 06월 10일 (수) 11:24:53김대환 문화재평론가 editor@kyosu.net ▲ ①용머리 은잔 일반적으로 용머리 잔의 기원을 중국으로 보는 경우가 많으나 확실하지 않..
2016.02.01 -
김대환의 文響 - (7) 백자청화 ‘기사윤구월’명 산수인물무늬 항아리
조선초기 회화사 연구에 중요 … 16세기 왕실관요 제작으로 추정 김대환의 文響 - (7) 백자청화 ‘기사윤구월’명 산수인물무늬 항아리 (白磁靑畵 ‘己巳閏九月’銘 山水人物文有蓋壺) 2015년 05월 28일 (목) 11:13:48김대환 문화재평론가 editor@kyosu.net ▲ 굽바닥의-명문 小品을 제외한 조선 초..
2016.02.01 -
김대환의 文響 - (6)은도금모란무늬받침잔(銀製鍍金牧丹文托盞)
고려 왕실 위해 특별 제작 … 최상층의 화려한 생활 엿보여 김대환의 文響 - (6)은도금모란무늬받침잔(銀製鍍金牧丹文托盞) 2015년 05월 12일 (화) 15:34:55김대환 문화재평론가 editor@kyosu.net ▲ 사진1. 은도금모란무늬잔. 잔받침 잔과 잔 받침의 알맞은 비례감이 器形의 곡선과 어울려서 유려함..
2016.02.01 -
이쾌대, 전율을 불러 일으키는 대서사극 <군상4>가 보여주는 1948년 해방공간의 풍속도
이쾌대, 전율을 불러 일으키는 대서사극 <군상4>가 보여주는 1948년 해방공간의 풍속도 최열(미술평론가) 이쾌대, <군상4>, 216x177cm, 천에 유채, 1948. 개인소장. 지금 2015년은 해방 70주년이다. 이러한 해를 맞이하여 이쾌대의 <군상>을 마주할 수 있음은 지독한 행복이다. 지금으..
2016.02.01 -
이쾌대, 1938년 인류의 <운명>
이쾌대, 1938년 인류의 <운명> 최열(미술평론가) 이쾌대, <운명>, 156x128cm, 천에 유채, 1938. 개인소장. 1938년은 일본이 중국대륙에서 중일전쟁을 시작한지 한 해가 지난 때로 전시체제 총동원령 체제가 본격화되던 시절이다. 이 때 이쾌대는 일본 제국미술학교를 갓 졸업한 26살의 청..
2016.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