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이야기(1296)
-
[제2장. 다도의 문화사] 3. 고려의 다도 - 3) 茶詩를 통해 본 고려의 다도 문화 -1
3) 다시(茶詩)를 통해 본 고려의 다도문화 -1 이규보 이후로 이제현(李齊賢), 안축(安軸), 이곡(李穀), 이색(李穡), 정몽주(鄭夢周) 이숭인(李崇仁)등 차를 통해 선비의 도를 추구했던 고려문인들의 주옥같은 시를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이제현(李齊賢: 1287~1367)은 충선왕 당시 원나라로 초청..
2014.03.01 -
[제2장. 다도의 문화사] 3. 고려의 다도 - 차의 찬미를 통해 본 이규보의 삶
2) 차의 찬미를 통해본 이규보(李奎報)의 삶 다도가 고려 지배층의 문화로 자리잡아가면서 문인들을 중심으로 한 훌륭한 다인(茶人)이 많이 배출되었으며, 이들은 차를 주제로 한 수많은 시작(詩作)을 남긴 바 있다. 특히 고려시대 이후로 승려나 문인들 사이에서 차가 소중한 선물의 하나..
2014.03.01 -
[제2장. 다도의 문화사] 3.고려의 다도 - 1)儀式의 핵심이 된 차
1) 의식의 핵심이 된 차 고려는 신라의 문화와 예술을 계승, 발전시켜나가는 가운데 다도 역시 불교문화와 더불어 더욱 융성해졌으며, 각종 의식의 주요한 요소로 자리 잡게 되었다. 『고려사』「예부(禮部)」에 기록된 여러 의식을 살펴보면, 고려시대 이후부터 궁중에서는 여러 의식이 ..
2014.03.01 -
[제2장. 다도의 문화사] 2. 신라의 다도 - 3) 산천 속에서 다도를 행한 화랑도와 충담
3) 산천 속에서 다도를 행한 화랑도(花郞道)와 충담(忠談) 신라의 다도는 승려뿐만 아니라 화랑(花郞)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 채 발달하였다. 화랑들은 자연속에서 우주의 법도를 체험하며 본래의 한마음으로 돌아가려는 풍류정신(風流精神)를 실천하려는 이들이었는데, 이때 차는 수련의 ..
2014.03.01 -
[제2장. 다도의 문화사] 2. 신라의 茶道 - 2) 다도사상의 기반을 이룬 원효
2) 다도사상의 기반을 이룬 원효(元曉) 원효(元曉:618~686)스님은 한국불교를 통틀어 가장 빛나는 인물이라 할 수 있다. 『삼국유사』에서 ‘일정한 스승 없이 스스로 마음을 깨달은 사람’이라고 평했듯이, 원효스님은 삼국통일을 전후한 시기에 중생 교화를 위해 무애자재(無碍自在)한 삶..
2014.03.01 -
[제2장. 다도의 문화사] 2. 신라의 다도 - 1) 공양물로 정착된 차
2. 신라의 다도(茶道) 1) 공양물로 정착된 차 이 땅에 불교와 차가 차례로 전래된 이후, 차는 불교문화와 자연스럽게 불가분의 관계를 맺기에 이르렀다. 차는 승려들이 심신을 닦는 수행방편이었을 뿐만 아니라 부처님에게 오리는 주된 공양물의 하나이기도 하였다. 따라서 신라시대의 불,..
2014.03.01